$\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determine the contents of pesticide residues and sulfur dioxide residues in commercial herbal medicines in Korea. Methods : Chromatographic test was performed on 100 samples consisted with 10 kinds of medicinal plants including improted and domestic produ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재배되었거나 수입된 한약재 10품목 100건을 대상으로 농약과 이산화황의 잔류량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한약재의 유효성, 안정성, 안전성을 확립하고, 현재 유통되고 있는 한약재들의 오염 실태 자료로 확보하여 안전한 한약재 품질관리를 위한 자료로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황산염을 섭취 시 인체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한약재의 경우 가공ㆍ유통과정에서 색택을 좋게 하며 빠른 건조를 위해 연탄건조, 유황훈증 등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된 바 있다7). 아황산염은 생체 내에서 빠르게 산화되어 황산염으로 되어 아황산을 유리하는데 이는 위장을 쉽게 자극하므로 건강상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8). 그래서 FAO/WHO에서는 인체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어 아황산염류의 1일 섭취허용량을 이산화황으로써 0.
FAO/WHO에서 제한하는 아황산염류의 1일 섭취허용량은 얼마인가? 아황산염은 생체 내에서 빠르게 산화되어 황산염으로 되어 아황산을 유리하는데 이는 위장을 쉽게 자극하므로 건강상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8). 그래서 FAO/WHO에서는 인체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어 아황산염류의 1일 섭취허용량을 이산화황으로써 0.7 mg/kg 이하로 제한하고 있으며, 미국은 10 mg/kg 이상 함유된 식품의 경우는 잔류량을 표시하도록 의무화하고 있다9). 식약청에서는 2005년 생약의 잔류이산화황 검사기준 및 시험방법을 제정 고시하여 206품목에 대하여 30∼1,500 mg/kg 으로 그 양을 제한하기 시작하였고, 2008년에는 구절초등 60품목에 대한 잔류허용기준을 추가하여 총 206품목에 대하여 일괄적으로 30 mg/kg의 강화된 기준을 적용시키고 있다10).
생산 및 판매가 금지된 농약은 무엇인가? 현재 유통되는 한약재 중에 농약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고, 농약은 약용식물 재배시 해충 등의 제거목적으로 살포 되어 한약재에 잔류가능성이 많다4). 이에, DDT, Aldrin, Dieldrin과 Endrin은 1973년에, BHC는 1979년에 생산 및 판매가 금지되었고5), Endosulfan은 2012년부터 금지되었지만, 이들 유기염소계의 분해 반감기가 매우 길어 토양 등에 잔류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들의 잔류성을 필히 분석해야 한다. 현재 식약청에서 40여종의 한약재에 대해 잔류허용기준이 고시되어 있어, 인체에 치명적인 영향이 있는 만큼 농약의 잔류여부를 그 허용기준에 맞는지 유통품에 대한 품질검사를 필수적으로 진행하여야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Lee SH, Kim HS, Kim YM, Kim WS, Won YJ, Chae GY, Kim OH, Park HJ, Jeong SW. 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s in herbal medicines. J Environ Sci. 2006 ; 15(8) : 811-7. 

  2. Jung SJ, Lee SD, Kim SJ, Jo SA, Kim NH, Jung HJ, Kim HS, Han KY. Monitoring of sulfur dioxide residue in commercial medicinal herbs in seoul (2010). J Food Hyg Saf. 2011 ; 26(4) : 435-47. 

  3.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 KFDA's Notification No. 2011-42. 2011 : 3-5, 24-93, 94-106. 

  4. Seo CG, Huang DS, Lee JK, Ha HK, Chun JM, UM YR, Jang S, Shin HK.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residual pesticides and sulfur dioxide of before/after a decoction. Korean J Herbol. 2009 ; 24(1) : 111-9. 

  5. Kim JH. Residues of the organochlorine pesticides and heavy metal in culture environment of ginseng on sangju. J Environ Toxicol. 2004 ; 19(2) : 183-9. 

  6. Oh CH, Seo DW, Yook CS, Lee YJ, Chang SY, Ze KR, Park JY, Lee JP, Seong RS, Park JY, Ko SK, Lee PJ. The variation of residual sulfur dioxide and marker components of herbal medicines during drying process. Korean J Pharmacogn. 2007 ; 38(4) : 299-304. 

  7. Sin YM, Gho TY, Lee KS, Kim SH, Park HJ, Leem DG, Lee CH, Kim WS, Chae KR, Lee YJ, Choi SY. Studies on the contents of occuring sulfur dioxide in herbal medicines distributed at market. J Environ Sci. 2004 ; 13(12) : 1109-15. 

  8. Kim MK, Hur MH, Lee CH, Jin JS, Jin SK, Lee YJ. Monitoring of residual sulfur dioxide in herbal medicines. Korean J Pharmacogn. 2004 ; 35(4) : 276-82. 

  9. Kang IS, Lee HH, Seo JM, Oh MS, Jeong JH, Yu YN, Cho BS, Seo KW, Kim ES, Moon YW. A survey on safety of commercial fruit teas in gwangju area. J Food Hyg Saf. 2011 ; 26(2) : 100-6. 

  10. Lee HH, Seo JM, Oh MS, Gang IS, Park JJ, Seo KW, Ha DY, Kim ES. A survey on hamful materials of commercial medical herb in gwangju area. J Food Hyg Saf. 2010 ; 25(2) : 83-90. 

  11.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orean Pharmacopeia. KFDA's Notification No. 2012-9. 

  12.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The Korean Herbal Pharmacopeia. KFDA's Notification No. 2011-26. 

  13. Jung SY, Kim IY, Kim SD, Jang MR, Chang MS, Han KY. Determination of sulfur dioxide in pickles using HPLC-UV system. Report of S.I.H.E. 2002 ; 38 : 153-60. 

  14. Kim CM, Song BJ, Na HS. Determination of sulfite contents in medical herb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0 ; 29(3) : 375-9. 

  15. Lee CY, Lee JS, Lee HK, Park WH, Kim JG, Chung AH. Analysis of sulfur dioxide residue in commercial medicine prepared from crude drugs. Yakhak Hoeji. 2012 ; 56(1) : 55-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