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에서 자동화 무선 수면추적기와 주관적 수면도구를 이용한 수면측정
Measurement of nursing students' sleep using by an automated wireless sleep tracker and subjective sleep scales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19 no.4, 2012년, pp.434 - 443  

김미종 (한남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sleep patterns in nursing students as measured by an automated wireless sleep tracker and self-reported sleep scale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2011 to May, 2012. ZQ (a symbolic number that measures the quality and quantity of sleep)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수면관련 특성을 파악한다.
  • 본 연구는 간호학생의 수면행태를 파악하고, 새로운 도구인 자동화 무선 수면추적기와 주관적 수면측정도구의 간호연구와 임상에서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하며, 수면관련 근거중심의 간호실무의 기초를 삼아 궁극적으로 수면건강 증진에 이바지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자동화 무선 수면추적 장치를 이용하여 간호학과 학생들의 주관적 수면평가 점수와 비교하여 봄으로써 간호연구와 임상에서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자동화 무선 수면추적 장치와 주관적 수면측정 도구로 측정하여 간호학생의 수면행태를 파악하고 이 수면도구들의 수면건강 분야의 연구와 임상에서의 적용가능성이 있는지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37명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이 장치를 이용하여 2-4일간 수면을 취하게 한 후 자동화 무선 수면추적 장치의 측정값인 ZQ 수면점수를 수집하여 총 86일의 수면정도를 수집하였다.
  • 본 연구는 자동화 무선 수면측정기인 객관적 도구와 주관적 수면측정인 수면평가도구를 사용하여 간호학생의 수면행태를 파악하려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동화 무선 수면추적 장치라는 새로운 수면도구를 이용하여 건강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수면양상을 측정하고 이 측정값을, 타당성이 입증된 주관적 수면도구인 한국형 피츠버그 수면도구(Korean Version of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K)와 국내에서 개발된 Oh 등(1998)의 수면 측정도구 A (Sleep scale A), 그리고 수면이 종료된 후 해당수면에 대한 수면만족도와 비교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간호연구와 임상에서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하고 수면관련 근거중심의 간호실무를 실현할 수 있는 유용성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며 궁극적으로 수면건강 증진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 연구기간은 2011년 10월부터 2012년 5월까지였고 중간고사와 기말고사를 피하여 학기 중에 실시하였다. 본 연구자가 개별적으로 각 학생에게 기기의 사용법을 교육하고 잘 사용하는지 확인하였다. 간단한 기계이므로 많은 교육이 필요하지는 않았으며, 교육내용으로는 잠들기 직전 헤드밴드 센서를 머리에 둘러 감아 정확하게 착용하면, 침상 옆 단말기 LCD창에 아이콘이 뜨게 되고, 이를 확인한 후 수면을 취하면 되고, 잠에서 깨면 수면센서를 이마에서 뗀 후 단말기 위쪽에 센서충전기에 내려놓으면 검사를 마치게 된다는 내용이 포함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면이란 무엇인가? 수면은 인체의 기능을 최적의 수준으로 회복하고, 심신의 피로를 회복시키며 인간이 일상생활과 업무를 수행하는데 많은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건강요소이다. 그러나 바쁘고 경쟁적인 일상을 살아가는 현대인들은 일상에서 스트레스를 많이 경험하고, 늦은 TV시청이나 인터넷, 스마트폰 등 IT 기계사용으로 인해 충분한 수면을 취하지 못하는 환경에 처해 있다 (Jenaro, Flores, Gomez-Vela, Gonzalez-Gil, & Caballo, 2007).
수면의 평가에 가장 대표적으로 쓰이는 수면측정 도구는 무엇인가? 수면의 평가는 수면이 가진 주관적인 속성으로 인해 자가보고형의 주관적 수면측정이 주류를 이루어 왔다. 그 중 피츠 버그 수면질 지수(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는 Buysse, Reynolds, Monk, Berman, & Kupfer (1989)이 개발한 이후 전 세계에서 다양한 언어로 다양한 대상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주관적 수면측정 도구이다(Doi et al., 2000; Sohn, Kim, & Lee, 2012).
현대인들이 충분한 수면을 취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수면은 인체의 기능을 최적의 수준으로 회복하고, 심신의 피로를 회복시키며 인간이 일상생활과 업무를 수행하는데 많은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건강요소이다. 그러나 바쁘고 경쟁적인 일상을 살아가는 현대인들은 일상에서 스트레스를 많이 경험하고, 늦은 TV시청이나 인터넷, 스마트폰 등 IT 기계사용으로 인해 충분한 수면을 취하지 못하는 환경에 처해 있다 (Jenaro, Flores, Gomez-Vela, Gonzalez-Gil, & Caballo, 2007). 미국 국립보건원에 따르면 일반성인의 약 30-40% 가 수면장애를 경험하고 있으며 전체 인구의 5-10%에서 불면증을 진단 받는다고 한다(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lake, S., Pittman, S. D., McDonald, M. M. Sun, K., Lanzi, B., Clark, D., et al., (2009). Assessment of a wireless dry sensor to detect sleep in healthy volunteers and subjects with sleep disorders. Sleep, 32, A370. Retrieved September 25, 2012, from http://www.journalsleep.org/PDF/AbstractBook2009.pdf 

  2. Buysse, D. J., Reynolds, C. F., Monk, T. H., Berman, S. R., & Kupfer, D. J. (1989).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A new instrument for psychiatric practice and research. Psychiatry Research, 28, 193-213. 

  3. Chazal, P. D., Fox, N., O'hare, E., Heneghan, C., Zaffaroni, A., Boyle, P., et al. (2011). Sleep/wake measurement using a non-contact biomotion sensor. Journal of Sleep Research, 20, 356-366. 

  4. Choi, K., Son, H., Park, M., Han J., Kim, K., Lee, B., et al. (2009). Internet overuse and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in adolescents. Psychiatry and Clinical Neurosciences, 63. 455-462. 

  5. Doi, Y., Minowa, M., Uchiyama, M., Okawa, M., Kim, K., Shibui, K., et al. (2000). Psychometric assessment of subjective sleep quality using the Japanese version of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J in psychiatric disordered and control subjects. Psychiatry Research, 97, 165-172. 

  6. Faul, F., Erdfelder, E., Lang, A. G. & Buchner, A. (2007).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39, 175-191. 

  7.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2012). Insomnia surge in 5 years in Korea. Retrieved July 17, 2012, from http://www.hira.or.kr/dummy.do?pgmidHIRAA020041000000&cmsurl/cms/notice/02/1212851_13390.html 

  8. Hindmarch, I., Rigney, U., Stanley, N., Quinlan, P., Rycroft, J., & Lane, J. (2000). A naturalistic investigation of the effects of day-long consumption of tea, coffee and water on alertness, sleep onset and sleep quality. Psychopharmacology (Berl), 149, 203-216. 

  9. Jafari, B., & Mohsenin, V. (2010). Polysomnography. Clinical Chest Medicine, 31, 287-297. 

  10. Jenaro, C., Flores, N., Gomez-Vela, M., Gonzalez-Gil, F., & Caballo, C. (2007). Problematic internet and cell-phone use: Psychological, behavioral, and health correlates. Addiction Research & Theory, 15, 309-320. 

  11. Kim, J. K., Song, H. S., & Yeon, M. Y. (2009). The preliminary study of sleep patterns, circadian typology and depression level in Korean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4, 617-632. 

  12. Kushida, C. A., Chang, A., Gadkary, C., Guilleminault, C., Carrillo, O., & Dement, W. C. (2001). Comparison of actigraphic, polysomnographic, and subjective assessment of sleep parameters in sleep-disordered patients. Sleep Medicine, 2, 389-396. 

  13. Kwon, J. M., & Shim, J. A. (2002). Everyday life of college students II : How students in Kyunghee University spend a day.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18, 97-121. 

  14. Lee, E. J., & Kim, M. Y. (2006). Review on wake-sleep studies using actigraphy. Keimyung Journal of Nursing Science, 10, 157-166. 

  15.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12). How much sleep is enough? Retrieved August 15, 2012. from http://www.nhlbi.ni h.gov/health/public/sleep/healthy_sleep.pdf 

  16. Oh, J. J., Song, M. S., & Kim, S. M. (199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Korean Sleep Scale 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8, 563-572..0 

  17. Pollak, C. P., Tryon, W. W., Nagaraja, H., & Dzwonczyk, R. (2001). How accurately does wrist actigraphy identify the states of sleep and wakefulness? Sleep, 24, 957-965. 

  18. Seo, H. J., & Hong, S. C. (2010). Actigraphy in sleep disorders. Korean Journal of Psychopharmacology, 21, 183-194. 

  19. Shambroom, J. R., Fabregas, S. E., & Johnstone, J. (2012). Validation of an automated wireless system to monitor sleep in healthy adults. Journal of Sleep Research, 21, 221-230. 

  20. Shin, S. Y., Lee, J. S., & Jeong, D. U. (2008). Sleep patterns and academic performance in medical students.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15, 87-93. 

  21. Sohn, S. I., Kim, D. H., Lee, M. Y., & Cho, Y. W. (2012).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Sleep and Breathing, 16, 803-812. Retrieved September 10, 2011, from http://link.springer.com/article/10.1007/s11325-011-0579-9 

  22. Wright, K. P., Johnstone, J., Fabregas, S. E., & Shambroom, J. R. (2008). Evaluation of a portable dry sensor-based automatic sleep monitoring system. Sleep, 31, A337. Retrieved September 25, 2012, from http://www.journalsleep.org/PDF/AbstractBook2008.pdf 

  23. Zeo inc. (2009-a). Zeo personal sleep coach-user's manual, 8-9. Retrieved September 25, 2012, from http://www.myzeo.com/sleep/sites/default/files/MeetYourPersonalSleepCoach.pdf 

  24. Zeo inc. (2009-b). What is your ZQ? Retrieved September 25, 2012, from http://www.myzeo.com/sleep/sleepag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