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출동 응답 향상을 위한 적정 구급차 수량 및 배치 위치 결정 연구
Optimal Decisions on the Quantity and Locations of Ambulances for the Timely Response to Emergency Requests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31 no.3, 2017년, pp.137 - 143  

정용훈 (아주대학교 산업공학과) ,  정희나 (아주대학교 산업공학과) ,  고정한 (아주대학교 산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응급 상황 발생 시의 구급차 부족에 따른 출동 지연 감소를 위하여, 충분한 수의 구급차가 운영되어야 한다. 본 논문은 출동 지연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안전센터별 적절한 119 구급차의 수량을 결정하는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한다. 한 지방자치단체의 구급차 출동 요청을 분석하고, 출동 요청의 통계적 특성을 도출하였다. 119 안전센터 간의 상호 지원을 포함한 구급차 출동 시스템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모델링하였다. 구급차 요청의 통계적 특성과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분석 결과, 대부분의 출동 요청에 성공적으로 응답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출동수행률 향상을 위한 구급차 수 증가가 효과적임도 확인하였다. 또한, 구급차를 추가로 배치할 안전센터를 찾아내는 효율적인 방법론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적절한 구급차 수량 확보와 배치를 통하여, 응급환자 구조 서비스 개선에 활용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sufficient number of ambulances are critical for preventing delayed vehicle dispatch for emergency patients. This study presents effective methodologies for evaluating the effects of ambulance quantities on availability. The statistical properties of the emergency requests and responses were analy...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출동 수행 시 소요되는 시간의 통계적 특성 파악도 필수적이다. 따라서, 신고 시각 간격과 신고 처리 시간이 어떤 확률분포를 따르는지 조사하였다. 구급 현황 데이터에서 추출한 신고 시각, 응급 상황 처리 시간에 대하여 확률분포 추정 및 적합도 검정을 통계해석 전문 소프트웨어로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의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출동 요청에 대처하지 못하는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적절한 구급차의 수량 및 배정되는 안전센터를 결정할 수 있는 현실적인 방법론을 국내 한 지방자치단체의 실례를 활용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 한 지방자치단체의 119 안전센터 구급차 출동 시스템을 분석하고, 과거 출동 요청 데이터를 분석하여, 구급차 출동 수요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로 구급차 출동 시스템을 모델링하고 출동 요구의 통계적 분포를 활용하여, 구급차 수가 출동 요청 대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 응급 구조는 생명과 직결되는 중요한 문제이기 때문에, 성공률 목표를 가능한 100%에 가깝게 설정하는 것이 이상적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응급차를 추가로 배치함에 있어서, 어느 안전센터를 선택하는 것이 효과적인지 분석하였다. 1대의 응급차를 추가할 경우 JM 안전센터가 최적의 센터로 분석되었고, 2대의 응급차를 추가할 경우에는 JM, MS 안전센터가 최적의 센터로 분석되었다.
  •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의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출동 요청에 대처하지 못하는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적절한 구급차의 수량 및 배정되는 안전센터를 결정할 수 있는 현실적인 방법론을 국내 한 지방자치단체의 실례를 활용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 출동 요청에 대한 통계적 특성 파악은 적절한 구급차량 대수 선정을 위한 기초이다. 출동 수행 시 소요되는 시간의 통계적 특성 파악도 필수적이다.

가설 설정

  • 출동수행률과 실패율은 1의 보수(출동수행률=100%-출동실패율) 관계이다. 본 연구에서 출동불가능의 기준은 일정 시간 내가 아니라 즉시로 정하였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 3절에 기술된 대로, 수요가 적은 새벽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16시간이다. 시뮬레이션은 3년 동안의 응급수요 발생과 응급차량 출동시스템 운영을 가정하여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속한 응급상황 대응(출동 수행)에 필수적인 요소는 무엇인가? 이러한 신속한 응급상황 대응(출동 수행)에 필수적인 요소는 구급차 수의 충분한 확보이다. 구급차 수가 충분하지 않아 출동 가능한 차량이 없다면, 구급차 요청자는 대기하거나, 다른 응급차량 서비스를 찾아야 한다.
적절한 구급차량 대수 선정을 위한 기초는 무엇인가? 출동 요청에 대한 통계적 특성 파악은 적절한 구급차량 대수 선정을 위한 기초이다. 출동 수행 시 소요되는 시간의 통계적 특성 파악도 필수적이다.
구급 활동 현황 데이터는 어떤 것들로 이루어져 있는가? 분석을 위한 자료로 해당 도시의 2014-2015년 약 10만건의 구급 활동 현황 데이터를 활용하였다(10). 원 데이터의 각출동 요청별 데이터 속성은 30개로, 출동 안전센터명, 신고시각, 귀소 시각, 환자 연령, 환자 증상, 지역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중 본 연구의 주제인 출동수행률에 직접 관계되는 속성은 출동 센터, 신고 시각, 귀소 시각, 관내/외여부이며, Table 1에 예시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F. Borras and J. T. Pastor, "The Ex-post Evaluation of the Minimum Local Reliability Level: an Enhanced Probabilistic Location Set Covering Model", Annals of Operations Research, Vol. 111, No. 1, pp. 51-74, (2002). 

  2. C. Revelle and K. Hogan, "The Maximum Availability Location Problem", Transportation Science, Vol. 23, No. 3, pp. 192-200 (1989). 

  3. A. Ingolfsson, E. Erkut and S. Budge, "Simulation of a Single Start Station for Edmonton EMS", Journal of the Operational Research Society, Vol 54, No. 7, pp. 736-746 (2003). 

  4. H. Park, A. Shafahi and A. Haghani, "A Stochastic Emergency Response Location Model Considering Secondary Incidents on Freeways", IEEE Transactions on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Vol. 17, No. 9, pp. 2528-2540 (2016). 

  5. K. Jang, K. Kang, Y. Jang and K. Hahn, "Analysis of the Time Intervals in 119 Ambulance Services",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30, No. 4, pp. 128-134 (2016). 

  6. K. Kang, "Predictors of Emergency Medical Transports Use Based on 2009 Korea Health Panel",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28, No. 3, pp. 80-86 (2014). 

  7. I. Sung and T. Lee, "Study on the Algorithm to Develop an Ambulance Operation Plan for Response Capability of the Emergency Medical System to the Mass Casualty Incidents", Proceedings of the Spring Conferenc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ngineers, pp. 192-200 (2014). 

  8. Y. Lee, H. Chang and S. Lee, "A Study on the Optimal Number of Emergency Vehicles for Development of a Pre-hospital Emergency Medical System", Proceedings of the Spring Conferenc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ngineers, pp. 1276-1283 (2010). 

  9.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Attached Table 1", Regulations on the Fire Service Standard, (2014). 

  10. Gyunggi Data Dream, http://data.gg.go.kr, Accessed on November 2016 (2016). 

  11. S. Park, Modern Design of Experiments, Minyoung Publishing, (2009). 

  12. J. Ko, E. Nazarian, Y. Nam and Y. Guo, "Integrated Redistricting, Location-allocation and Service Sharing with Intra-district Service Transfer to Reduce Demand Overload and its Disparity", Computers, Environment and Urban Systems, Vol. 54, pp. 132-143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