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황련해독탕(黃連解毒湯)이 아토피 피부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임상적 연구
A Clinical Study on the Effect of Hwangryunhaedock-tang on Atopic Dermatitis 원문보기

大韓韓方小兒科學會誌 = The journal of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v.26 no.4, 2012년, pp.51 - 60  

고민정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백정한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 of Hwangryunhaedock-tang on Atopic Dermatitis Methods: This study population was 71 pediatric allergic rhinitis patients who had been treated in ${\bigcirc}{\bigcirc}$ hospital. All the patients were asked to answer the que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중증도에 관한 6개 항목과 주관적 증상에 대하여 낮, 밤을 나눠서 역시 4-point-system으로 평가하였다.
  • 2) 韓藥治療 후 설문기간 동안 다시 소아과를 내원한 경우 준비된 설문지를 배포하여 조사하였다.
  • 3) 韓藥治療 후 설문기간 동안 내원하지 않은 경우 전화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 黃連解毒湯 蒸氣藥 복용 기준은 2세 이하의 환자는 2첩으로 50 cc씩 6팩을 달여서 1팩/일을 수시로 分服하게 하였고, 3~4세는 4첩을 50 cc씩 12팩을 달여서 2팩/일을 수시로 分服하게 하였다.
  • 내원한 아토피 피부염환자 치료에 있어 黃連解毒湯 과립제, 黃連解毒湯 蒸氣藥을 각 환자마다 변증하여 사용하였다.

대상 데이터

  • 2010년 1월 1일부터 2012년 6월 30일까지 ○○대학교 부속 한방병원 한방소아과 외래를 방문한 아토피성 피부염으로 인한 피부 발적, 소양감, 건조감 등을 주소로 하는 환자 중 黃連解毒湯의 약물치료를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 선정기간 동안 아토피성 피부염으로 인한 피부 발적, 소양감, 건조감 등을 주소로 하여 한방치료를 받은 환자는 총 93명이었다.
  • 설문기간은 2010년 1월 1일부터 2012년 6월 30일까지, 전화 설문기간은 2012년 7월 1일부터 2012년 7월 14일까지였다.
  • 3) 韓藥治療 후 설문기간 동안 내원하지 않은 경우 전화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설문대상은 주로 환자 보호자였다.
  • 이 중 黃連解毒湯의 약물치료 외에 양방치료와 타 한방치료를 받은 경우, 설문기간 내에 내원하지 않은 환자 중 전화설문에 불응한 경우인 22명을 제외한 7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데이터처리

  • 통계처리는 SPSS 20.0 for window program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분석방법은 대응표본 T검정과 wilcoxon 검정을 시행하였으며, P-value는 0.05 및 0.01을 사용하였다.

이론/모형

  • 를 이용하고 있으며, 이를 약간씩 변형한 방법을 사용하거나 또 다른 여러 가지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아토피 피부염의 중증도 평가방법으로 한, 양방에게 같이 인정받을 수 있으며, 한의학적으로 변증, 치료하고 그 치료에 따른 경과를 한의학적으로 해석하고 평가할 방법의 필요성을 느껴서 SCORAD index23), Clinical severity scoring system24), simple scoring system22) 등을 각 항목별로 나눠서 평가, 분석하여 서 등14)이 제시한 평가방법으로 설문조사하였다.
  • 아토피피부염에 대한 黃連解毒湯의 치료효과에 대한 설문지는 서 등17)이 아토피 피부염의 중증도 평가방법에 대한 연구에서 제안한 평가방법을 사용하였다. 중증도에 관한 6개 항목과 주관적 증상에 대하여 낮, 밤을 나눠서 역시 4-point-system으로 평가하였다<別添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의학에서는 아토피 피부염의 진행양상에 따라 어떻게 분류하는가? 아토피 피부염은 한의학에서 奶癬, 苔癬, 胎斂瘡, 濕疹, 濕瘡, 四彎風, 浸淫瘡 등의 범주에 속하며, 아토피 피부염의 진행양상에 따라 급성-습열형, 아급성-비허습성형, 만성-음허혈조형으로 나누어 치료한다. 세가지 형태에서 陰虛熱燥形을 제외하고는 濕을 그 원인으로 말하고 있는데1), 『東醫寶鑑』16)에서 “火熱生濕”이라하여, 濕은 火를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다.
梔子는 무엇을 치료하는데 쓰이는가? 梔子는 꼭두서니과에 속한 당녹관목인 치자나무 또는 동속실물의 성숙한 과실로 性은 寒하고 味는 苦하다. 心, 肝, 肺, 胃, 三焦經으로 歸經하여 瀉火除煩, 淸熱利濕, 凉血解毒의 효능으로 熱病心煩, 黃疸尿赤, 血淋澀痛, 血熱吐衄, 目赤腫痛, 火毒瘡瘍, 外治捻挫傷痛 등을 치료한다. 또한 梔子는 geniposide, genipin, gentiobioside, gardenoside, crocin 등을 함유하여 피부에 감염하는 몇가지 균주에 유효하여 항미생물 효과 및 항산화작용과 용량 의존적인 혈관신생 및 NO생성 저해 작용으로 소염작용을 가지고, prostaglandin E2 등의 유리 억제를 통해 항염증 작용을 가진다28,29).
본 연구에서 아토피 피부염 치료에 사용한 증류한약은 무엇인가? 火熱의 毒이 三焦에 가득 차서 大熱煩憂하고, 舌質紅, 舌苔黃, 脈數有力의 증후를 나타내고 肌肉에 壅滯하고 腐爛하시면 癰疽底節 등의 皮膚化膿症을 치료한다25). 치료에 증류한약을 사용하였는데, 증류한약은 근래에 사용되기 시작한 치료법 중의 하나로 한약재에서 추출한 한약 煎湯液을 한번 더 가열하여 기화시킨 다음, 이때 나오는 증기를 특수한 방식으로 냉각하여 얻어지는 것으로서 경구 투여시의 효과에 대해서 아직 논란의 여지가 많으나, 그 효용성에 대한 연구들이 나오고 있다26). 최27)의 연구를 보면 氣藥의 대표방으로 四君子湯, 血藥의 대표방으로 四物湯의 煎湯液과 증류 한약을 gas chromatogragh로 비교한 결과 그 유효성분이 증가 혹은 유사하게 측정되어 증류 한약의 효능이 煎湯液에 비해서 부족하거나 다르지 않을 것이라는 연구를 근거로 黃連解毒湯 煎湯液과 黃連解毒湯 蒸氣藥의 효과가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라 사료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Kim KB, Kim DG, Kim YH, Kim JH, Min SY, Park EJ, Baek JH, Yu SA, Lee SY, Lee JY, Lee HJ, Chang GT, Chai JW, Han YJ, Han JK. Hanbangsoacheongsonyeonuihak. Seoul: Ui Sung Dang Publishing Co. 2010:185-7, 751. 

  2. Lee HY, Lee JR, Roh JY. Epidemiological features of preschool childhood atopic dermatitis in Incheon. Korean J Dermatol. 2009;47(2):164-71. 

  3. Hur IH, Hong SM, Um YS, Byun HS, Sim SY, Kim KJ. A case of atopic dermatitis treated by exteral therapy. J Korean Orient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06;19(3):201-8. 

  4. Katayama I, Kohno Y, Akiyama K, Ikezawa Z, Kondo N, Tamaki K, Kouro O; Japanese Society of Allergology. Japanese guideline for atopic dermatitis. Allergol Int. 2011;60:205-20. 

  5. Schmitt J, Sch?l K, Schmitt N, Meurer M. Systemic treatment of severe atopic eczema: a systematic review. Acta Derm Venereol. 2007;87:100-11. 

  6. Kim YH. Overview for pattern and results of herbal medicine-derived Atopic Dermatitis Clinical Researches. J Korean Orient Pediatr. 2012;26(2):53-61. 

  7. Ha NL, Lee JC, Kim KB . Recent research on treatments of atopic dermatitis in Japan - within diet and Kampo medicine -. J Korean Orient Pediatr. 2012;26(1):16-35. 

  8. Min DL, Park EJ. Effects of Nardostachys Jatamansi on atopic dermatitis-like skin lesions. J Korean Orient Pediatr. 2012;26(1):13-24. 

  9. Seo HY, Han JK, Kim YH. Therapeutic effects of Yijungtang on atopic dermatitis-like skin lesions of NC/Nga mouse induced by Mite antigen. J Korean Orient Pediatr. 2011;25(1):1-27. 

  10. Jo MS, Han JK, Kim YH. The use of Oriental medicine for pediatric outpatients with atopic dermatitis. J Korean Orient Pediatr. 2011;25(2):8-15. 

  11. Yang HJ. Anti-inflammatory effects of Hwangnyeonhaedoktang and fermented Hwangnyeonhaedok-tang. Jeonbuk: Wonkwang Univ. 2011. 

  12. Kim DH, Park SJ, Jung JY, Kim SC, Byun SH.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he aqueous extract of Hwangnyeonhaedok-tang in LPS-activated macrophage cells. Kor J Herbology. 2009;24(4):39-47. 

  13. Kim BA, Yang JC, Park CI. Effect of Hwangryunhaedok-tang extracts on DNCB-induced allergic contact dermatitis. Kor J Herbology. 2009;24(2):1-5. 

  14. Seo JM, Lee SG, Hwang SY, Kim SC, Wang HR, Cho SE, Baek JH. Clinical investigation of child dose of herb medicine. J Korean Orient Pediatr. 2006;20(3):33-50. 

  15. Naver health. Accessed online October 3, 2012. at: http://health.naver.com/drug/detail.nhn?medicineCodeA11AKP08G1669. 

  16. Heo J. Donguibogam. Kyungnam: Donguibogam Publishing Co. 2005;1098, 1155. 

  17. Seo JM, Kim SC, Hwang SY, Hwang BM, Jee SY, Lee SG, Baek JH. A study on the severity scoring systems of atopic dermatitis; comparison, analysis and establishment of childhood patients in Oriental medicine. J Korean Orient Pediatr. 2006;20(2):1-14. 

  18. Chao YF. Chao Shi Zhu bing Yuan Hou Lun. Shanghai : Jiwenshuju. 1965:505. 

  19. Xuekai. Baoyingquanshu. Taibei : Xinwenfengchubangongsi. 1979:252-256. 

  20. Wuqian. Yizongjinjian(Xia). Beijing: Ren Min Wei Sheng Publishing Co. 1982:443-4. 

  21. Hanifin JM, Rajka G. Diagnostic features of atopic dermatitis. Acta Derm Venereol (Stockh). 1980;92(Suppl):44-7. 

  22. Costa C, Rillet A, Nicolet M, Saurat J-H. Scoring Atopic Dermatitis : The Simpler the Better? Acta Derm Venereol(Stockh). 1989;69:44-5. 

  23. European Task Force on Atopic Dermatitis. Severity Scoring of Atopic Dermatitis : The SCORAD Index. Dermatol. 1993;186:23-31. 

  24. Noh GW, Lee KY. Successful interferon alpha therapy in atopic dermatitis of Besnier's Prurigo pattern with normal serum IgE and blood eosinophil fraction: Randomized case-controlled study. Cytokine. 2001;13:124-8. 

  25. Kim SC, Kim SH, No SH, Park SD, Park SG, Seo BI, Seo YB, Shin MS, Lee SI, Lee JC, Lee CH, Ju YS, Choi HY. Bangjehak. Seoul: Yeong Rim Sa Publishing Co. 2003:180-2. 

  26. Koh YT, Shim SM, Kim TS. A case of distillation Herbal medicine and Counseling on insomnia. J Orient Neuropsychiatry. 2006;17(2):217-25. 

  27. Choi SM. Study on the gas chromatography of Samul-tang, Sakunja-tang and their distillate. Korean J Orient Physiol Pathol. 2006;24(4):942-5. 

  28. Hanuigwadaehak Bonchohak Pyeonchanwiwonhoe. Bonchohak. Seoul: Yeong Rim Sa Publishing Co. 2005:209-11, 218-25. 

  29. Kim DH, Kim HM, Ryu JH, Um JY, Kim SC. Hanbangyakrihak. Seoul : Shinilbooks Co. 2010:242-52, 648-51. 

  30. Kim BA, Kim MS, Kang BM, Byeon SH, Park IH, Park JH, Jung JW, Ahn EM, Jung HA, Jang JH, Bae W, Lee HY, Choi PN, Park CI. Inhibitory studies of Hwangryunhaedok-tang on development of atopic dermatitis in NC/Nga mice. Kor J Herbology. 2008;23(2):59-65. 

  31. Kim JH. Review articles : Current understanding of atopic dermatitis. Korean J Ped. 2004;14(1):12-3. 

  32. Yun HJ, Ko WS. Clinical study of atopic dermatitis; the classification of Oriental medical clinical type and treatment. J Korean Orient Med. 2001;22(2): 10-21. 

  33. Gang SY. Diagnosis and Treatment of Allergic Diseases. Seoul : Ilchokak Co. 1993:241-52. 

  34. Kim KH, Kim SS. Study on analgesic; anti-inflammatory and antipyretic effects of aqua-acupuncture and administration per orally of Hwangryunhaedogtang and Onsungouhyoulbang. J Korean Orient Med. 1994;15(1):9-25. 

  35. Park SH, Kwon YU, Lee TH. Effects of Hwangryunhaedok-Tang and Geongangbuja-Tang on the Change of Interleukin-6 and $TNF-{\alpha}$ Level Induced by LPS I.C.V. Injection in Mice. Korean J Orient Med Prescription. 2007;15(1):185-9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