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액체배양에서의 홍국균의 생장, 색소 및 monacolin K 생산 특성
Characteristics of Growth, Pigment and Monacolin K Production by Monascus strains in Liquid Culture 원문보기

KSBB Journal, v.27 no.5, 2012년, pp.301 - 307  

서진원 (차의과학대학교 바이오공학과) ,  김창섭 (한밭대학교 화학생명공학과) ,  서은정 (차의과학대학교 바이오공학과) ,  전체옥 (중앙대학교 생명과학과) ,  최형균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  박윤제 (차의과학대학교 바이오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hyphal growth, production of color pigments and monacolin K by Monascus strains were investigated in liquid medium. Thirty five different strains were collected and cultured in potato dextrose yeast extract broth (PDYB), potato dextrose broth (PDB) and malt extract broth (MEB) medea at $25^...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monacolin K 생산에 적합한 균주를 찾기 위한 방법으로 국내에 있는 35종의 Monascus 균주를 대상으로 액체배지에서의 균주별 배양 특성과 monacolin K 생산성 및 색소 생산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홍국쌀 제조에 사용되는 홍국균의 액체배지에서의 생장 및 색소생산과 monacolin K 생산에 관한 특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총 35개의 균주를 수집하여 PDYB, PDB, MEB 3개의 액체배지에 접종한 후 25℃에서 7일 동안 배양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홍국균이란 무엇인가? 홍국균 (紅麴菌)은 Monascus 속 균류가 쌀이나 콩에 발효하여 생성된 선홍색 누룩으로서, 1884년 van Tieghem에 의해 감자에서 처음 분리되었고 [1], 쌀에서는 1895년 Went에 의해 처음 분리되었다 [2]. 이후 다양한 종류의 균주가 쌀 등의 자연계로부터 분리되어 동정되었고, Hawkworth 등은 동양의 전통 식품으로부터 분리된 Monascus 균주를 M.
홍국이 생산하는 색소는 무엇에 따라 달라지는가? 이들 색소 성분 역시 항암 효과, 항균 효과 등 다양한 생리적 기능도 함께 나타내어 최근에는 홍국이 생산하는 색소의 중요성도 커지고 있다 [13,14]. 이들 색소의 생산은 사용균주와 영양성분, 및 배양조건에 따라 색소의 종류와 구성성분이 달라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5].
처음으로 홍국균이 쌀에서 분리된 시기는 언제인가? 홍국균 (紅麴菌)은 Monascus 속 균류가 쌀이나 콩에 발효하여 생성된 선홍색 누룩으로서, 1884년 van Tieghem에 의해 감자에서 처음 분리되었고 [1], 쌀에서는 1895년 Went에 의해 처음 분리되었다 [2]. 이후 다양한 종류의 균주가 쌀 등의 자연계로부터 분리되어 동정되었고, Hawkworth 등은 동양의 전통 식품으로부터 분리된 Monascus 균주를 M.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Tieghem, van P. (1884) Monascus, genre nouveau de l'ordre des Ascomycetes. Bull. Soc. Bot. Fr. 31: 226-231. 

  2. Went, F. A. F. C. (1895) Monascus purpureus le champignon de l'ang-quac une nouvelle thelebolee. Ann. Sc. Nat. Bot. 8: 1-17. 

  3. Hawksworth, D. L. and J. I. Pitt (1983) A new taxonomy for Monascus species based on the cultural and microscopical characters. Aust. J. Bot. 31: 51-61. 

  4. Choi, C. S. and C. P. Jeon (2009) Red yeast rice industry and green growth. Food Ind. Nutr. 14: 25-32. 

  5. Akihisa, T., H. Tokuda, K. Yasukawa, M. Ukiya, A. Kiyota, N. Sakamoto, T. Suzuki, N. Tanabe, and H. Nishino (2005) Azaphilones, furanoisophthalides, and amino acids from the extracts of Monascus pilosus-fermented rice (red-mold rice) and their chemopreventive effects. J. Agric. Food Chem. 53: 562-565. 

  6. Endo, A. (1979) Monacolin-K, a new hypocholesterolemic agent produced by a Monascus species. J. Antibiot. 32: 852-854. 

  7. Manzoni, M. and M . Rollini (2002) Biosynthesis and biotechnological production of statins by filamentous fungi and application of these cholesterol-lowering drugs. Appl. Microbiol. Biotechnol. 58: 555-564. 

  8. Ho, B.-Y. and T.-M. Pan (2009) The Monascus metabolite monacolin K reduces tumor progression and metastasis of Lewis lung carcinoma cells. J. Agric. Food Chem. 57: 8258-8265. 

  9. Park, C. D., H. J. Hang, H. W. Lee, H. S. Kim, and T. S. Yu (2005) Antioxidant activity of Monascus pigment of Monascus purpureus P-57 mutant. Korean J. Microbiol. 41: 135-139. 

  10. Hsu, W.-H., B.-H. Lee, T.-H. Liao, Y.-W. Hsu, T.-M. Pan (2012) Monascus-fermented metabolite monascin suppresses inflammation via PPAR-c regulation and JNK inactivation in THP-1 monocytes. Food Chem. Toxicol. 50: 1178-1186. 

  11. Martinkova, L., P. Juzlova, and D. Vesely (1995) Biological activity of polyketide pigments produced by the fungus Monascus. J. Appl. Bacteriol. 79: 609-616. 

  12. Shikeo, M. (1990) Function and utilization of Monascus sp. Tech. J. Food Chem. Chem. 12: 42-45. 

  13. Su, N. W., Y. L. Lin, M. H. Lee, and C. Y. Ho (2005) Ankaflavin from Monascus fermented red rice exhibits selective cytotoxic effect and induces cell death on Hep G2 cells. J. Agric. Food Chem. 53: 1949-1954. 

  14. Martinkova, L., P. Patakova-Juzlova, V. Kren, Z. Kucerova, V. Havlicek, P. Olsovsky, O. Hovorka, B. Rihova, D. Vesely, D. Vesela, J. Ulrichova, and V. Prikrylova (1999) Biological activities of oligoketide pigments of Monascus purpureus. Food Addit. Contam. 16: 15-24. 

  15. Juzlova, P., L. Martinkova, and V. Kren (1996) Secondary metabolite of the fungus Monascus. J. Ind. Microbiol. 16: 163-170. 

  16. Vinci, V. A., T. D. Hoerner, A. D. Coffman, T. G. Schimmel, R. L. Dabora, A. C. Kirpekar, C. L. Ruby, and R. W. Stieber (1991) Mutants of lovastatin-hyperproducing Aspergillus terreus deficient in the production of sulochrin. J. Ind. Microbiol. 8: 113-120. 

  17. Hajjaj, H., P. J. Blanc, E. Groussac, G. Goma, J. L. Uribelarrea, and P. Loubiere (1999) Improvement of red pigment/citrinin production ratio as a function of environmental conditions by Monascus ruber. Biotechnol. Bioeng. 64: 497-501. 

  18. Kim, H. J., G. E. Ji, and I. Lee (2007) Natural occurring levels of citrinin and monacolin K in korean Monascus fermentation products. Food Sci. Biotechnol. 16: 142-145. 

  19. Kim, S. J., J. W. Rhim, S. G. Kang, and S. T. Jung (1997) Characteristics and stability of pigments produced by Monascus anka in a jar ferment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60-66. 

  20. KFDA (2010) Health Functional Food Code. Korea Food and Drug Adminstration, Seoul, Korea. 

  21. Babitha, S., C. R. Soccol, and A. Pandey (2007) Effect of stress on growth, pigment production and morphology of Monascus sp. in solid cultures. J. Basic Microbiol. 47: 118-26. 

  22. Lee, C.-L. and T.-M. Pan (2012) Development of Monascus fermentation technology for high hypolipidemic effect. Appl. Microbiol. Biotechnol. 94: 1449-1459. 

  23. Lee, C. L., H.-K. Hung, J.-J. Wang, and T.-M. PAN (2007) Improving the ratio of monacolin K to citrinin production of Monascus purpureus NTU 568 under Dioscorea medium through the mediation of pH value and ethanol addition. J. Agric. Food Chem. 55: 6493-6502. 

  24. Lee, S.-K., G.-T. Chun, and Y.-S. Jeong (2008) Production medium optimization for Monascus biomass containing high content of monacolin-K by using soybean flour substrates. Korean J. Biotechnol. Bioeng. 23: 463-469. 

  25. Youn, U. K., Y. H. Kim, and S. D. Kim (2003) Pigment and monacolin K content of Beni-koji fermented with soybean curd residue. Korean J. Food Preserv. 10: 360-36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