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패션기업의 콜레보레이션 실태와 특성
The Actual Cond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Fashion Enterprises' Collaborations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0 no.7 = no.155, 2006년, pp.1001 - 1011  

홍원표 (인하공업전문대학 패션디자인학과) ,  황진숙 (건국대학교 의상학과 차세대혁신기술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fashion enterprises of today, there are many kind of inter- enterprises' collaborations which are related to the strategic management for reinforcing their competitiveness in various fields. These inter- enterprises' collaborations, which began to increase in 2000, will increase even more i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패션기업의 콜레보레이션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분석하여 그 특성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특히 패션 콜레보레이션 비즈니스가 여러 분야를 결합한 하이브리드(hybrid) 형태를 띠면서 더욱 다양화 .
  • 이상의 내용에서 패션분야에서도 다양한 유형의 콜레보레이션이 시행되어 자사의 이익증대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사대상 업체를 자사로 보고 콜레보레이션을 하는 파트너사와의 관계를 통하여 패션 기업의 콜레보레 이션 현황을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콜레보레이션을 하는 패션기업의 실무진을 대상으로 콜레보레이션 자사(조사대상업체)의 특성, 콜레보레이션의 실태를 자사업종과 파트너업 체의 업종실태, 콜레보레이션 업체의 자사특성과 파트너특성과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콜레보레이션을 하고 있는 국내 패션기업 실무종사자 194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 즉 기업에서의 콜레보레이션은 제휴당사자간의 위상이 거의 동등하여 하청 및 단순 협력관계와는 다르고, 두 개 이상의 대등한 회사가 연구개발, 생산, 마케팅 등의 노하우와 자원을 상호 제공하여 서로의 이익을 추구하는 기업활동을 말한다(이경국, 1999).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공동의 이익을 위한 두 개 이상의 기업간의 활동을 콜레보레이션으로 지칭하고자 한다. 이는 콜레보레이션이 단지 어느 일부분의 기업간의 협력이 아닌 다양한 분야의 협력이 되므로 보다 포괄적인 개념을 담고 의미하는 콜 레보레이션의 용어를 사용하고자 한다.
  • 특히 패션 콜레보레이션 비즈니스가 여러 분야를 결합한 하이브리드(hybrid) 형태를 띠면서 더욱 다양화 . 세분화되고 있는 점을 중시해, 콜레보레이션을 하는 양쪽 업체의 특성도 구체적으로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패션기업이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콜레보레이션을 결정하고 진행하는 과정에서 보다 체계적인 의사결정에 도움을 제공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김경미.(1998) 상품수준에서의 전략적 제휴방식결정과 그에 따른 성과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 서나현. (2002). 기업특성과 국제 마케팅 전략이 해외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 서상봉. (2000). 국제 제휴기업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 여경철. (2001). 전략적 제휴의 사업성과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5. 육심현. (2001). 기업특성과 파트너쉽이 해외소싱 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 이경국. (1999). 최근 우리나라 기업의 전략적 제휴 실태. 산업경영연구, 6(12), 211-229 

  7. 이재훈 (2000). 섬유산업의 경쟁력 강화에 관한 연구. 경영연구, 15(4),99-116 

  8. 전현배. (2002). 전략적 제휴의 유형과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산업경영연구소, 5(1),173-191 

  9. 정승희. (1998). 파트너의 평판과 파트너간 관계가 제휴성과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제휴 브랜드. (2002,4). 패션비즈, p.144 

  11. 조대우, 송우용. (1997). 전략적 제휴의 생성에 관한 연구. 경영논집, 13(1),153-173 

  12. 조동성. (2004). 21C를 위한 국제경영. 서울: 서울경제경영 

  13. 콜레보레이션 시대 개막. (2002,4). 패션비즈, p.142 

  14. 하일학. (2001). 인터넷 비즈니스의 전략적 제휴에 대한 비교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5. TV홈쇼핑-유명디자이너, 전략적 제휴 의류브랜드 런칭. (2001, 9. 6) 어패럴 뉴스. 자료검색일 2004, 2. 23, 자료출처 http://apparelnews.co.kr 

  16. Barney, J. B. (1991). Firm resources and sustaind competitive advantage. Journal of Management. 17(1),99-120 

  17. Bukley, P. J. (1994). Cooperative forms of transnational corporation activity. London: Routledge 

  18. De la Sierra, M. C. (1995). Managing global alliances: Key steps for successful collaboration. Wokingham: AddisonWesley Publishing Company 

  19. Devlin, G. & Bleackley, M. (1988). Strategic alliances-guidelines for success. Long Range Planning, 21, 18-23 

  20. Dunning, J. H. (1995). Reappraising the eclectic paradigm in an age of alliance capitalism. Journal of International Business Studies, 26, 461-491 

  21. Miles, R. E. & Snow, C. C. (1986). Organization: New Concepts for New Forms.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28(3), 62-73 

  22. Milgrom, P. & Roberts, J. (1986). Price and advertising signals of product quality.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94, 796-821 

  23. Parkhe, A. (1993). Partner nationally & the structure-performance relationship marketing in strategic alliances. Organization Science, 301-324 

  24. Saxton, T. (1997). The effect of partner and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in alliance out-come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0(2), 443-461 

  25. Wildeman, L. (1998). Alliance and networks: The next generation. International Journal Technology Management, 1(15), 96-108 

  26. Yoshino, M. T. & Rangan, U. S. (1995). Strategic alliance: An entrepreneurial approach to globalization. MA: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