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쇼핑성향이 패션 콜라보레이션 제품의 선택기준, 태도 및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Shopping Orientation on Selection Criteria, Attitudes, and Preference of Collaborated Fashion Products 원문보기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v.14 no.4, 2012년, pp.567 - 577  

양효진 (경희대학교 의류디자인학과) ,  김칠순 (경희대학교 의류디자인학과) ,  김유영 (경희대학교 의류디자인학과) ,  김태은 (경희대학교 의류디자인학과) ,  배연진 (경희대학교 의류디자인학과) ,  손졸 (경희대학교 의류디자인학과) ,  양희순 (경희대학교 의류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he type of fashion shopping orientation influence the selection criteria, attitudes, and preference of fashion products developed through collaboration. For data collection,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in the Seoul and Metropolitan area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대를 중심으로, 쇼핑성향에 따른 패션 콜라보레이션 제품의 선택기준, 태도 및 콜라보레이션 유형별 선호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20대의 쇼핑성향의 요인을 분석하고, 패션 콜라보레이션 제품의 태도와 선택기준의 요인을 분석하여 쇼핑성향이 콜라보레이션 제품의 선택기준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의복의 복종 카테고리를 고려하여 패션 콜라보레이션의 다양한 유형에 대한 선호도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서 패션기업에게 경쟁력 있는 패션 콜라보레이션 전략기획과 적합한 소비자 타겟 설정, 효과적인 상품 기획, 마케팅 전략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대를 중심으로, 쇼핑성향에 따른 패션 콜라보레이션 제품의 선택기준, 태도 및 콜라보레이션 유형별 선호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20대의 쇼핑성향의 요인을 분석하고, 패션 콜라보레이션 제품의 태도와 선택기준의 요인을 분석하여 쇼핑성향이 콜라보레이션 제품의 선택기준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의복의 복종 카테고리를 고려하여 패션 콜라보레이션의 다양한 유형에 대한 선호도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 쇼핑성향은 소비자 개인의 행동, 흥미, 의견이 통합되어 나타나는 패턴화 된 쇼핑 양상이며(Kim, 2003), 쇼핑과 관련된 개인의 의견, 관심, 활동, 태도를 포함하는 총체적 라이프 스타일로써 소비자의 특성을 나타내는 기준이자 시장세분화의 기초가 될 수 있다(Choi, 2005).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쇼핑성향을 소비자를 유형화 할 수 있는 유용한 변인으로 선정하여 패션 콜라보레이션 제품의 선택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적합한 타겟 소비자를 선정하여 보다 차별된 마케팅 전략을 구사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 최근에는 패션 콜라보레이션 관련 연구에서도 쇼핑성향을 함께 다룬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는데(Choi & Chang, 2010; Lee, 2010; Park, 2011), 이는 쇼핑성향이 패션 콜라보레이션 제품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이라 볼 수 있으며, 패션 콜라보레이션 제품의 태도 및 구매행동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쇼핑성향을 패션 콜라보레이션 제품의 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선정하여 쇼핑성향이 패션 콜라보레이션 제품의 태도, 선택기준 및 유형별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하게 행해지고 있는 여러 유형의 패션 콜라보레이션을 밝히고 유형에 따라 소비자의 쇼핑성향이 이러한 패션 콜라보레이션 제품에 대한 구매행동 즉, 선택기준, 태도,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따라서 소비자의 관점에서 쇼핑성향을 패션 콜라보레이션 제품의 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유용한 변인으로 제안할 수 있으며, 향후 패션 콜라보레이션 제품의 시장 세분화 변수로 활용될 수 있음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최근 패션업계에서 다양한 유형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패션 콜라보레이션 전략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립하기 위한 마케팅 전략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소비자의 쇼핑성향에 따른 패션 콜라보레이션 제품에 대한 선택기준, 태도, 유형별 선호도를 살펴보았으며 연구결과와 마케팅적 제안점은 다음과 같다.
  • 연구문제 2: 쇼핑성향이 패션 콜라보레이션 제품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 연구문제1: 쇼핑성향이 패션 콜라보레이션 제품의 선택기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 연구문제3: 쇼핑성향이 패션 콜라보레이션 제품의 유형별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 20대의 쇼핑성향의 요인을 분석하고, 패션 콜라보레이션 제품의 태도와 선택기준의 요인을 분석하여 쇼핑성향이 콜라보레이션 제품의 선택기준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의복의 복종 카테고리를 고려하여 패션 콜라보레이션의 다양한 유형에 대한 선호도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서 패션기업에게 경쟁력 있는 패션 콜라보레이션 전략기획과 적합한 소비자 타겟 설정, 효과적인 상품 기획, 마케팅 전략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 이상에서 패션 콜라보레이션과 소비자 태도가 밀접한 영향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브랜드를 중심으로 소비자의 태도 분석이 이루어졌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패션 콜라보레이션 제품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소비자의 태도 분석을 하기 위해 쇼핑성향을 세분화하여 쇼핑성향이 패션 콜라보레이션 제품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Choi and Chang(2010)의 연구에서는 과시적 소비성향과 콜라보레이션 패션제품 선택기준과의 관계에 대해 지위상징성향이 높을수록 외재적 속성을 고려하지만 체면지향의 성향이 높을수록 외재적 속성을 고려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위상징성향이 높을수록 내재적 속성을 고려하지만 체면지향의 성향이 높을수록 내재적 속성을 고려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선택기준은 과시적 소비성향에 따라 고려하는 선택기준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본 연구에서도 쇼핑성향이 패션 콜라보레이션 제품의 선택기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Park(2011)에 따르면 콜라보레이션 상품유형(가방, 의류, 신발)별 선호도에서 공통적으로 유행추구적 쇼핑성향이 나타났으며, 가방의 경우는 쾌락적, 동조적 쇼핑성향, 의류는 쾌락적, 충동적 쇼핑성향, 신발은 유행추구적 쇼핑성향이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처럼 쇼핑성향은 패션 콜라보레이션 제품의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패션 콜라보레이션 제품을 제휴 파트너 유형별로 세분화하여 쇼핑성향이 각각의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쇼핑성향은 소비자의 무엇이 통합되어 나타나는 패턴화 된 쇼핑 양상인가? 쇼핑성향은 소비자 개인의 행동, 흥미, 의견이 통합되어 나타나는 패턴화 된 쇼핑 양상이며(Kim, 2003), 쇼핑과 관련된 개인의 의견, 관심, 활동, 태도를 포함하는 총체적 라이프 스타일로써 소비자의 특성을 나타내는 기준이자 시장세분화의 기초가 될 수 있다(Choi, 2005).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쇼핑성향을 소비자를 유형화 할 수 있는 유용한 변인으로 선정하여 패션 콜라보레이션 제품의 선택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적합한 타겟 소비자를 선정하여 보다 차별된 마케팅 전략을 구사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콜라보레이션으로 무슨 효과를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가? Jang et al.(2002)의 연구에서도 콜라보레이션은 전략적 제휴의 일종으로 서로 다른 두 가지가 만나 서로의 경쟁력과 핵심 역량을 바탕으로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서술하고 있다. Jeong(2007)은 학계와 언론에서 사용하고 있는 콜라보레이션의 의미를 종합하여 콜라보레이션이란 브랜드나 기업, 혹은 독자적인 개인을 포함 하는 콜래보레이터(Collaborator)와 콜래보레이티(Collaboratee)가 협력적이고 동등한 위치에서 자신의 핵심역량을 바탕으로 일정 기간 동한 협업을 하는 것이라고 정의하였고, 최근에는 이러한 의미를 바탕으로 브랜드간 경쟁력을 유기적으로 결합해 시너지를 발휘하는 전략으로 널리 쓰이고 있다(Lee, 2008a).
21세기부터 본격화되기 시작한 콜라보레이션 비즈니스가 감성적 효익을 통한 이익의 극대화를 추구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으로 평가받고 있는 배경은 무엇인가? 21세기부터 본격화되기 시작한 콜라보레이션 비즈니스는 감성적 효익을 통한 이익의 극대화를 추구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으로 평가받고 있다(Kim & Park, 2008). 더 이상 하나의 브랜드와 기존의 고착화된 이미지로는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소비자의 다양한 감성을 충족시킬 수 없는 한계를 갖는다. 반면 콜라보레이션은 비교적 합리적인 비용으로 브랜드 전면에 걸친 수정과정 없이 각 기업 간의 혹은 기업과 개인 간의 상생을 통한 시너지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점차 급증하기 시작한 콜라보레이션은 브랜드 제휴, 기술 제휴, 유통 제휴, 프로모션 제휴 등 다양한 분야의 전략적 제휴나 협업, 합작의 형태로 추진되었으며 기업 이미지 제고, 차별적 우위 확보를 통한 매출증대, 가격 프리미엄의 획득, 기업의 창의성 증대, 새로운 시장 개척과 이에 따른 프로모션의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어 21세기 패션 마케팅의 화두로서 패션 분야에서도 주목받고 있다(Shin & Lee,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Aaker, D. A. (1997). Building strong brands. New York: Free Press. 

  2. 'Bally collaboration with Saint Martin School'. (2011, March 10). Fashionbiz. Retrieved May 2, 2011, from http://www.fashionbiz.co.kr 

  3. Choi, J. I. (2005). A study on clothing shopping tendency and behaviors to purchase snowboard wear of university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4. Choi, J. W., & Chang, M. S. (2010). A study on conspicuous consumption and the purchasing motives, selection criteria, satisfaction of collaborated fashion produc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4(4), 628-641. 

  5. 'Diesel jeans Online'. Retrieved May 1, 2011, from http://www.dieseljeanssale.org 

  6. Fishbein, M. (1963). An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beliefs about an object and the attitude toward that object, Human Relations, 16, 233-240. 

  7. Fishbein, M., & Ajzen, I. (1975).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Boston: Addison-Wesley. 

  8. 'Funny collaboration YES!'. (2011, April 1). Fashionbiz. Retrieved May 2, 2011, from http://www.fashionchannel.co.kr 

  9. 'Hazzys, young artists collaboration', (2011, April 20). Etoday. Retrieved May 2, 2011, from http://www.etoday.co.kr 

  10. Hong, W. P., & Hwang, J. S. (2006). Transactions : The actual cond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fashion enterprises collaboratio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0(7), 1001-1011. 

  11. Howell, R. D. (1979). A multivariate examination of a patronage model: The impact of values and lifestyles on shopping orientation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Arkansas, Fayetteville. 

  12. Hwang, S. Y. (2003).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consumer's behavior to purchase prestigious brand produc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13. Jang, N., Hawley, J., & Dickerson, K. (2002).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of factors influencing apparel product success and failure. Journal of the Textile Institute, 93(2), 100-113. 

  14. Jeong, H. S. (2007). Collaboration between of design fields around fash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5. Kan, H. S. (2008). A study on the cultural traits of collaboration in the contemporary fash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16. Kang, K. J. (1999). A study of impulse buying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llege women by their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Costume Culture, 7(4), 625-636. 

  17. Kim, H. S. (1992). A studying on consumer's buying attitude about discount sale of fashion retail stor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18. Kim, J. A. (2006). Gender characteristics and consumption propensity depending on golfers' choice criteria of golf-wea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8(6), 655-664. 

  19. Kim, J. H. (2009). A study on the type of preference store and recognized environment of clothing store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clothing shopp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11(5), 732-740. 

  20. Kim, J. S. (2005). Research on consumer attitude of collaboration strategy according to brand imag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1. Kim, M. J., & Park, E. K. (2008). A case study of collaboration with designer and brand as trading up.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8(3), 79-94. 

  22. Kim, S. H. (2003). Development of conceptual structure and measurement scale for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3. Kim, S. H. (2010). Complex shopping behavior of economic consumers-Focused on shopping orientation and store selection criteri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12(5), 683-393. 

  24. Kim, S. H., & Rhee, E. Y. (2004). Transactions : A documentary study to determine the concept of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8(3), 472-482. 

  25. Kwon, D. H. (2008). The effects of consumer attitude based on shopping value, fashion brand sensitivity and types of collabor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26. Lee, D. (2008a). Collabornomics. Seoul: Heureum. 

  27. Lee, H. J. (2008b). Consumer's attitude on brand collaboration of fashion industry based on brand benefit and complementar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28. Lee, J. S. (2010). Shopping orientations and attitudes according to the collaboration of luxury brands and of fast fashion brand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29. Paik, S. Y. (2000). The effect of adolescents' consumption values on the clothing products evalu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30. Park, E. J. (2002). Korean women's golfwear buying patterns and design prefer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31. Park, H. J. (1990). A study on fashion preference of the women university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32. Park, J. K. (2011). Effects of consumer's shopping orientations, brand awareness, and collaboration characteristics on their preferences and purchasing intention of fashion produc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duk Women's University, Seoul. 

  33. 'Prada phone by LG official home page'. Retrieved May 1, 2011, from http://www..pradaphonebylg.co.kr 

  34. Rhee, S. C., & Kim, S. H. (2009). Research reports : A study on the collaboration of art and fashion brand -Focusing on 2008 S/S colle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15(3), 225-233. 

  35. Shim, S., & Kotsiopulos, A. (1992). Patronage behavior of apparel shopping: Part 1, Shopping orientation, store attributes, information sources and personal characteristic.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0(2), 48-57. 

  36. Shin, H. K., & Lee, I. S. (2009). Development of fashion design through collaboration - Focusing on TV dramas and women wear bran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9(7), 50-64. 

  37. Son, J. H. (2009). Impact of brand personality on customer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 : Effect of adjustments to performance and desig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38. Thurstone, L. L. (1931). Development of Personality Traits as an Object of College Instruction. The Journal of Business of the University of Chicago, 4(3), 23-35. 

  39. 'Uniqlo, with Jill Sander'. (2011, January 24). Ebnews. Retrieved May 28, 2011, from http://www.ebn.co.kr. 

  40. Westbrook, R. A., & Black, W. C. (1985). A motivation-based shopper typology. Journal of Retailing, 61(spring), 78-103. 

  41. Wikipedia. (2011). Collaboration. Wikipedia. Retrieved May 1, 2011, from http://ko.wikipedia.org 

  42. Yang, H. Y. (2010). Socio-cultural meanings of the trend of collaboration expressed in contemporary fashion.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8(2), 245-260. 

  43. Yeo, W. S. (2001). Marketing Management. Seoul: Sigmapress. 

  44. Yoon, S. H. (2008). A study on buying behavior of internet clothing products according to adolescents' shopping orient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45. Yun, J. Y. (2005). The typology of Alliances in fashion business and the attitude toward brand allia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