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패션 소셜커머스의 사이트 특성과 SNS 주관적 규범이 소셜커머스 태도 및 패션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haracteristics in Fashion Social Commerce Sites and SNS Subjective Norm on Consumer Attitudes towards Social Commerce and Purchase Intention of Fashion Products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6 no.11, 2012년, pp.1148 - 1161  

조윤진 (경남과학기술대학교 텍스타일디자인학과) ,  양희순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site characteristics in fashion social commerce and SNS subjective norms on the attitude of consumers towards social commerce and their purchase intentions for fashion products. In addition, this study tests consumer responses through a comparison of a group pu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소셜커머스를 통한 패션제품 구매와 관련된 변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은, 패션 소셜커머스의 웹사이트 특성이 소셜커머스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며, 소셜커머스의 특성상 SNS에 대한 주관적 규범 또한 소셜커머스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이를 살펴보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영향 관계에 있어, 패션제품을 판매하는 소셜커머스 유형에 따라, 즉 공동구매형인지 프라이빗 쇼핑몰인지에 따른 소비자 반응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은, 패션 소셜커머스의 웹사이트 특성이 소셜커머스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며, 소셜커머스의 특성상 SNS에 대한 주관적 규범 또한 소셜커머스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이를 살펴보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영향 관계에 있어, 패션제품을 판매하는 소셜커머스 유형에 따라, 즉 공동구매형인지 프라이빗 쇼핑몰인지에 따른 소비자 반응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향후 소셜커머스를 통한 패션제품 유통전략의 효과성을 살펴보고 소비자들에게 적합한 소셜커머스 쇼핑환경전략을 제안하고자 한다.
  • 아직까지는 패션제품과 관련해서 소셜커머스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시점이고 기존의 연구들은 상품의 특성을 반영하지 않고 진행되었기 때문에 패션제품과 관련한 소셜커머스 연구로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소셜커머스가 SNS를 활용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인터넷 쇼핑몰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SNS와 관련된 주관적 규범을 연구의 변수로 도입하여 소셜커머스를 통한 패션제품 구매에 대한 태도 및 구매의도와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소셜커머스의 호의적인 태도와 구매의도를 높일 수 있는 가격민감도 등 다양한 변수를 도입해야 하며, 실제 구매한 패션제품의 만족도와 같은 변수를 이용하여 소비자의 구매행동을 보다 폭넓게 이해해야 할 필요가 있다.
  • 본 연구는 소셜머커스 사이트 특성, SNS 주관적 규범이 소셜커머스를 통한 패션제품 구매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파악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제안된 연구모형은 [Fig.
  • 본 연구는 스마트폰, SNS의 확산과 더불어 급성장하고 있는 소셜커머스를 패션제품을 판매할 수 있는 유통 채널로서의 가능성을 살펴본 연구로 의의가 있다고 할수 있다. 아직까지는 패션제품과 관련해서 소셜커머스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시점이고 기존의 연구들은 상품의 특성을 반영하지 않고 진행되었기 때문에 패션제품과 관련한 소셜커머스 연구로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요즘 급부상하고 있는 소셜커머스에서의 소비자들의 패션제품 구매행동을 밝히려는 연구로 소셜커머스의 사이트 특성과 SNS 주관적 규범이 태도 및 패션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소셜커머스의 유형에 따라 소비자들의 반응을 살펴보기 위해 공동구매형 소셜커머스와 프라이빗 쇼핑몰 각각의 영향관계를 살펴보았다.
  • 그리고 이러한 영향 관계에 있어, 패션제품을 판매하는 소셜커머스 유형에 따라, 즉 공동구매형인지 프라이빗 쇼핑몰인지에 따른 소비자 반응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향후 소셜커머스를 통한 패션제품 유통전략의 효과성을 살펴보고 소비자들에게 적합한 소셜커머스 쇼핑환경전략을 제안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소셜커머스를 통한 패션제품 구매와 관련된 변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은, 패션 소셜커머스의 웹사이트 특성이 소셜커머스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며, 소셜커머스의 특성상 SNS에 대한 주관적 규범 또한 소셜커머스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이를 살펴보는 것이다.
  • 또한 소셜커머스의 유형에 따라 소비자들의 반응을 살펴보기 위해 공동구매형 소셜커머스와 프라이빗 쇼핑몰 각각의 영향관계를 살펴보았다. 특히 패션제품은 공동구매형 소셜커머스의 주요 품목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프라이빗 쇼핑몰에서도 유명 명품 브랜드 제품을 포함하여 패션제품이 주요 판매품목이기 때문에 패션제품을 판매하는 소셜커머스에서의 소비자들의 태도 및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살펴보고 향후 소셜 커머스의 전략적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셜커머스는 어떠한 유통방식인가? 소셜커머스란 소셜네트워크나 소셜릴레이션십이 상품의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e-커머스 혹은 소셜미디어를 활용하는 e-커머스이다(Lee, 2012). 이러한 소셜커머스는 2008년 공동구매형의 한 형태인 미국 그루폰(Groupon)이 등장하면서 주목을 받기 시작했는데 이는 판매자가 지정한 기간 내에 일정 수 이상의 구매자가 구매할 때 차별화된 할인가로 제품을 판매하는 유통방식이다(Shin, 2012). 그렇지만 소셜커머스는 특정한 비즈니스 모델이라기보다 전자상거래 시장에서의 새롭고 다양한 패러다임이라할 수 있다.
공동구매형 소셜커머스는 어떠한 방식인가? 먼저, 공동구매형 소셜커머스는 앞서 제시된 국내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소셜커머스 유형이며, 그루폰 코리아, 쿠팡, 위메이크 프라이스, 티켓몬스터 등이 있다. 보통 일정 기간 동안 30~50% 이상 할인된 공산품이나, 할인된 가격에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쿠폰을 판매하는데, 다만 상품 공급자가 정해놓은 최소 판매량이 달성되어야 할인 가능하며, 목표 판매량에 도달하기 위해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이용한다. 과거 공동구매가 공산품 위주였다면, 그루폰은 공연, 음식 등과 같은 오프라인 서비스를 온라인 쇼핑영역으로 새로 진입시켰다는 점(오프라인을 온라인화, O-to-O)에서 특징적이라 할 수 있다(C.
Jang(2012)은 소셜커머스의 유형을 어떻게 구분하였는가? 그렇기 때문에 좀 더 포괄적으로 다뤄질 수 있는데 공동구매형 이외에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기도 하며 연구자마다 조금씩 차이를 보인다. Wang(2012)은 소셜커머스의 유형을 소셜링크형, 소셜웹형, 오프라인 연동형, 공동구매형 방식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Jang(2012) 은 플래쉬 세일(flash sale), 그룹바이(group-by), 소셜쇼핑(social shopping), 소셜쇼핑 앱스(social shopping apps), 퍼체이스 쉐어링(purchase-sharing), 퍼스널 쇼퍼(personal shopper)로 구분하고 있다. 또한 Choi(2012)는 소셜커머스를 소셜미디어 내에서 상거래가 이루어지는 방식, 상거래 내에 소셜미디어적인 요소가 존재하는 방식, 상거래 서비스와 소셜미디어가 각각 독립적으로 연계되는 방식으로 분류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Ahn, K. H. (2011).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customer trust, satisfaction, and loyalty in social commerce context: Focusing on trust transfe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jong University, Seoul. 

  2. Ahn, K. H., & Lee, Y. J. (2002). The study of the influence of consumer's shopping orient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ore image variables and on-line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Journal of Consumer Studies, 13(4), 101-122. 

  3. Bagozzi, R. P. (1992). The self-regulation of attitudes, intentions, and behavior. Social Psychology Quarterly, 55(2), 178-204. 

  4. Bagozzi, R. P., & Yi, Y. (1988). On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16(1), 74-94. 

  5. Bhatti, T. (2007). Exploring factors influencing the adoption of mobile commerce. Journal of Internet Banking and Commerce, 12(3), 1-13. 

  6. Blackwell, R. D., Miniard, P. W., & Engel, J. F. (2005). Consumer behavior (10th ed.). OH: South-Western College Pub. 

  7. Choi, S. (2012). A study on the factors that affect customers' intention to repurchase in social commerce. Unpu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8. Chung I. H., Chae, J. M., Kim, J. Y., Moon, H. K., Lee, M. A., Ji, H. K., Kim, H. S., & Joo, Y. H. (2010). Internet marketing for fashion product. Paju: Kyomunsa. 

  9. Do you buy Prada and Ferragamo in social commerce? (2011, June 28). Munhwa News. Retrieved July 1, 2011, from http://www.munhwa.com 

  10. Fishbein, M., & Ajzen, I. (1975).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MA: Addison-Wesley. 

  11. Gefen, D., Karahanna, E., & Straub, D. W. (2003). Trust and TAM in online shoppings: An integrated model. MIS Quarterly, 27(1), 51-90. 

  12. Gu, S. H., & Jang, S. Y. (2012). The study on the customer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on social shopping.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ngineers, Spring Conference, Korea, 2066-2078. 

  13. Hair, J. F., Black, W. C., Babin, B. J., & Anderson, R. E. (2010). Multivariate data analysis (7th ed.). New Jersey: Prentice Hall. 

  14. Hoffman, D. L., Novak, T. P., & Peralta, M. (1999). Building consumer trust online. Communications of ACM, 42(4), 80-85. 

  15. Hong, H. S. (2002). Effect of Internet shopping mall attributes on purchase intention for apparel on Internet.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0(4), 27-44. 

  16. Jang, M. H. (2012). (A) Study on model for marketing strategies based on the analysis of social commerce market in Ko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17. Kang, Y. R (2009). Acceptance factors of social shopp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18. Kim, C. H. (2011). Social commerce. Seoul: Bloterandmedia. 

  19. Kim, D. J. (2011). An empirical study on user satisfaction and the influencing factors for continuous usage of social network servi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20. Kim, D., Lee. S. H., & Park, J. H. (2003). A study on purchase intention of fashion products and affecting factors in the internet shopping malls. Journal of Channel and Retailing, 8(1), 69-89. 

  21. Kim, J. S. (2011). The influence of social commerce attitude on intention to use and intention to WOM.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22. Lee, A. R. (2012). Researching the effect that purchasing factor of social commerce have on customer satisfaction, customer loyalty and repurchas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23. Lee, H. S., & Im, J. H. (2011).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18.0/19.0. Seoul: JypHyunJae. 

  24. Lee, K. T., Koo, D. M., & Noh, M. J. (2011) The effect of customer perceived value on social commerce usage intention. Korean Journal of Marketing, 13(3), 135-161. 

  25. Martinez, B., & Kim, S. (2012). Predicting purchase intention for private sale sites. Journal of Fashion Marketing and Management, 16(3), 342-365. 

  26. Nysveen, H., Pedersen, P. E., & Thorbjornsen, H. (2005). Explaining intention to use mobile chat services: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22(5), 247-256. 

  27. Opening social shopping. (2010, December 1). MK News. Retrieved February 2, 2011, from http://news.mk.co.kr 

  28. Overby, J. W., & Lee, E. J. (2006). The effects of utilitarian and hedonic online shopping value on consumer preference and intention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59(10-11), 1160-1166. 

  29. Park, B. G., & Lee, J. G. (2009). Conceptualizing and measuring brand equity of celebrity endorser: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11(2), 155-192. 

  30. Park, E. J., & Kang, E. M. (2005). Effects of shopping value, fashion shopping mall attributes, emotions and purchasing intention on purchasing behavior in internet fashion shopping mall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3(7), 117-128. 

  31. Ryou, E. J., & Cho, O. S. (2005). The effects of the internet shopping values on internet shopping behavior of apparel products-Focused on the shopping mall attributes and perceived risk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3(2), 209-220. 

  32. Shin, D. H. (2010). Analysis of online social networks: A cross-national study. Online Information Review, 34(3), 473-495. 

  33. Shin, H. S. (2010). Moderating effects of personal innovative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usefulness, subjective norm and intention to use mobile internet.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19(3), 209-236. 

  34. Shin, S. (2012). Comparison of flow and loyalty of travelers using social commerce based on their motives and impulse buying tendenc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sung University, Busan. 

  35. Suh, K. S. (2008). The moderating effects of internet shopping involve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sability, trust of internet shopping sites and customer loyalty. Korea Society of IT Service Journal, 7(3), 1-29. 

  36. Sung, K. H. (2011). A study of the impact of SNS on e-commerce and the way for improvement-Focused on social shopp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37. To, P., Liao, C., & Lin, T. (2007). Shopping motivations on Internet: A study based on utilitarian and hedonic value. Technovation, 27(12), 774-787. 

  38. Trendmoniter. (2010). 2010 소셜커머스 인지도 및 이용 관련 조사 [2010 Social commerce awareness and research about related use]. Research Report, 2010(12), 1-29. 

  39. Trends of domestic social commerce market. (2011, February 7). Etnews. Retrieved February 10, 2012, from http://www.etnews.com 

  40. Venkatesh, V., & Davis, F. D. (2000). A theoretical extens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ur longitudinal field studies. Management Science, 46(2), 186-204. 

  41. Venkatesh, V., & Morris, M. G. (2000). Why don't men ever stop to ask for directions? Gender, social influence and their role in technology acceptance and usage behavior. MIS Quarterly, 24(1), 115-139. 

  42. Wang, F. F. (2012). The study on the factors that affect purchase behavior of social commer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eongju University, Cheongju.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