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과장애인 환자의 외래마취 하 치과치료 귀가 후 전화추후 관리 분석
Analysis of Telephone Follow-up Data of Out-patient Anesthesia for Dental Treatment of Disability Patients 원문보기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Society of Anesthesiology, v.12 no.2, 2012년, pp.93 - 97  

김미선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치과마취과) ,  서광석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치과마취과) ,  이정만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치과마취과) ,  김혜정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치과마취과) ,  한진희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치과마취과) ,  한희정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치과마취과) ,  이은희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치과마취과) ,  신순영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치과마취과) ,  신터전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소아치과) ,  김현정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치과마취과) ,  장주혜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장애인구강진료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Some disabled patients show insufficient cooperation during dental treatment, and general anesthesia in an outpatient setting can be successfully administered. To minimize post-anesthetic complications is an essential issue, and strict discharge protocols are required for the safety of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구강진료실에서 외래마취 후 귀가 한 환자에서 전화추후 관리를 시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귀가 후 상태에 대하여 전반적인 상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장애인 환자의 외래전신마취 관리 및 마취 후 간호 관리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외래전신마취 시스템의 문제점은? 그러나, 외래전신마취 시스템은 귀가 후 합병증 등이 발생하였을 경우, 즉각적인 처치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귀가 후 합병증의 감소를 위해 전화를 통한 환자관리가 퇴원 후 증상이나 합병증, 투약의 부작용 등의 문제를 줄일수 있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으며[5], 우리나라에서도 간호실무 현장에서 퇴원환자의 추후 전화관리가 점차 증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6].
외래전신마취 시스템의 귀가 후 합병증 발생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은? 그러나, 외래전신마취 시스템은 귀가 후 합병증 등이 발생하였을 경우, 즉각적인 처치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귀가 후 합병증의 감소를 위해 전화를 통한 환자관리가 퇴원 후 증상이나 합병증, 투약의 부작용 등의 문제를 줄일수 있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으며[5], 우리나라에서도 간호실무 현장에서 퇴원환자의 추후 전화관리가 점차 증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6].
본 연구에서 시행한 전화추후 관리 내용은 무엇인가? 치과마취과 간호사 중 다음 날 출근한 간호사가 오전 중에 다시 보호자에게 전화를 시행하였다. 전화추후 관리 내용은 환자가 정상적으로 집에 도착하였는지, 아침에 특별한 이상이나 불편감이 없는지에 대한 개방형 질문을 시행하였다. 환자 보호자 또는 환자가 불편감을 호소할 때 대처 방법을 재교육하였으며, 환자의 상태가 심각하다고 평가되는 경우, 가까운 응급실이나 본원으로 재방문을 지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김연남, 정성화, 이영은, 송근배, 이긍호, 정원균, 등: 장애인의 치아우식 경험 상태.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2006; 2: 10-6. 

  2. Haywood PT, Karalliedde LD: General Anesthesia for Disabled Patients in Dental Practice. Anesth Prog 1999; 45: 134-8. 

  3. 대한치과마취과학회(역). 진정법. 서울, 대한나래출판사. 2011. 

  4. 김혜정, 한진희, 한희정, 김현정, 염광원, 서광석: 외래전신마취 하 치과치료를 시행한 성인 치과장애인의 치과마취과 간호사에 대한 만족도 조사.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2006; 2(2): 136-41. 

  5. Anastasia PJ, Blevins MC: Outpatient chemotherapy: telephone triage for symptom management. Oncol Nurs Forum 1997; 24(1 Suppl): 13-22. 

  6. Kang HJ, Han K, Choe MA, Park SH, Kim YM, Kwon WK, et al: An investigational study on telephone calls to the pediatric nursing unit. J of Korean Child Health Nurs 1996; 2: 112-26. 

  7. 박동석: 외래 전신마취하 치과 장애인의 치과 치료 및 보호자의 반응에 관한 조사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치의학과 석사학위논문. 2001. 

  8. 이제호, 손흥규, 김진호: 외래 전신마취하의 치과장애인 치료에 대한 연구. 대한소아치과학회지 1997; 24(3): 581-9. 

  9. 서광석: 장애인의 치과치료 시 외래전신마취와 진정법.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2010; 6((2)): 77-83. 

  10. Steward DJ: Outpatient pediatric anesthesia. Anesthesiology 1975; 43(2): 268-76. 

  11. Coplans MP, Curson I: Deaths associated with dentistry. Br Dent J 1982; 153(10): 357-62. 

  12. 박창주, 염광원, 김현정: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장애인 진료실의 외래마취 하 치과치료.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2002; 2(1): 21-6. 

  13. 박창주, 정준민, 김현정, 장기택, 이상훈, 염광원: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장애인진료실의 외래환자마취 실태 분석. 대한소아치과학회지 2004; 31: 19-24. 

  14. 이송은, 김태완, 김영진: 외래 전신마취를 이용한 치과치료에 대한 만족도 조사-장애인환자 보호자를 대상으로-.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2006; 2(1): 31-8. 

  15. 김태엽, 황병문, 양홍석: 당일수술 환자의 마취 후 합병증. 대한마취과학회지 1999; 37: 268-75. 

  16. 류연숙, 김종수, 김승오: 충남장애인구강진료센터에서 시행된 외래전신마취와 치과치료에 대한 조사연구.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2011; 11(2): 133-40. 

  17. Lee NC, Wasson DR, Anderson MA, Stone S, Gittings JA: A survey of patient education postdischarge. J Nurs Care Qual 1998; 13(1): 63-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REEN

저자가 공개 리포지터리에 출판본, post-print, 또는 pre-print를 셀프 아카이빙 하여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