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초에 부착하는 부착생물 군집의 생태학적 특성 - II. 물리화학적 요인이 잘피 및 부착생물에 미치는 영향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Epiphytes on Seagrass - II. Effects of Physico-chemical Factors on Eelgrass (Zostera marina L.) and Epiphytes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30 no.3, 2012년, pp.272 - 279  

정미희 (국립수산과학원 수산해양종합정보과) ,  윤석현 (국립수산과학원 수산해양종합정보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해초에 부착하는 부착생물 군집의 생태학적 특성에 대한 두 번째 연구로서 해초가 서식하는 연안 환경의 물리화학적 요인 변화에 따른 부착조류를 포함한 부착생물의 변화양상을 이해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결과를 살펴보면, 1) 잘피는 수주의 온도와 정상관 관계를 보임으로써 잘피의 성장이 온도에 의해 큰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2) 부착생물은 수온과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은 반면 수주의 염분과는 역상관 관계를 보였다. 이는 염분 25 이하 범위에서 서식이 용이한 미세규조 종들의 증가로 인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영양염의 결과와도 일치하였는데, 3) 잘피의 성장과 총질산염 (TN)과는 역상관 관계를 보임으로써 수주에 총질산염이 낮을 때 잘피의 성장이 좋았으며, 4) 부착생물의 현존량과 인산염과는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은 반면, 수주의 질산염, 아질산염 그리고 총질산염과는 정상관 관계를 나타냄으로써 부착생물의 성장에 질산염 계열의 영양염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염과 잘피의 성장, 그리고 부착생물의 현존량과의 상관관계 결과들을 종합해 보면 부착생물의 현존량 증가는 영양염의 증가로 인한 것이며, 이는 잘피의 성장을 감소시키는 원인-영향 과정과 깊은 관계가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was the second study on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epiphytes on seagrass leaf.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variation of epiphytes on seagrass leaf depending on the change of physico-chemical factors such as salinity, nutrients, and etc. This study showed the fo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1차 연구에서는 건중량, 유기물량, 잎의 넓이 및 길이 등의 측정을 통해 잘피의 성장과 부착생물의 건중량, 유기물량 그리고 부착조류의 엽록소량 (엽록소 a, 엽록소 c, 카로티노이드)을 측정하여 이들의 상관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생물학적 상호작용에 대해 이해하고자 하였다(정과 윤 2011). 2차 연구인 본 연구에서는 자연 상태에서 해초가 서식하는 수주의 이화학적 요인(수온, 염분 및 영양염)이 부착생물 및 부착조류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를 시도하였다.
  • 이 연구는 해초에 부착하는 부착생물 군집의 생태학적 특성에 대한 두 번째 연구로서 해초가 서식하는 연안 환경의 물리화학적 요인 변화에 따른 부착조류를 포함한 부착생물의 변화양상을 이해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결과를 살펴보면, 1) 잘피는 수주의 온도와 정상관관계를 보임으로써 잘피의 성장이 온도에 의해 큰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2) 부착생물은 수온과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은 반면 수주의 염분과는 역상관관계를 보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초생태계 내에서 부착조류 군집은 무엇으로 알려져 있는가? 해초생태계 내에서 부착조류 군집은 bottom-up (물리화학적 요인과의 관계) 영향과 top-down (섭이 및 섭식) 영향에 대한 연구에 매우 이상적인 생태계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bottom-up 영향은 영양염의 이용과 부착 기질인 해초의 성장에 따른 부착생물의 군집 변화를 의미하기 때문에 해초 생태계를 이해하기 위해 필수적인 연구로 이해되어지고 있다(Peterson et al. 2007).
질산염이 부착생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는 이유는 질산염이 어떤 영향을 주는 요인이기 때문인가? 부착생물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 중 하나인 영양염 중 질산염은 부족할 경우 식물플랑크톤을 비롯한 광합성 식물의 성장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Bougis 1976), 따라서 질산염이 부착생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지고 있다 (예, Williams and Ruckelshaus 1993; Coleman and Burkholder 1994, 1995; Cambridge et al. 2007; Frankovich et al.
1차 연구에서는 건 중량, 유기물 량, 잎의 넓이 및 길이 등의 측정을 통해 잘피의 성장과 부착생물의 건중량, 유기물량 그리고 부착조류의 엽록소량 (엽록소 a, 엽록소 c, 카로티노이드)을 측정하여 이들의 상관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생물학적 상호작용에 대해 이해하고자 한 이유는 무엇인가? 1978). 하지만, 이들 대부분의 연구는 인공적으로 질산염 공급을 하여 이에 따른 부착생물의 양적 변화에 대한 비교 연구이며, 자연 상태의 수주의 영양염과 부착생물의 관계를 이해하고자 하는 연구는 이미 해외에서는 2000년 이전에 생태 기초 연구로 시행되었던 반면, 국내의 경우 영양염과 부착생물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드문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정미희, 윤석현, 윤원득. 2010. Zostera속 해초에 부착하는 규조류의 부착 특성과 해초 종별 군집 변화. 한국해양학회지-바다. 15:184-191. 

  2. 정미희, 윤석현. 2011. 해초에 부착하는 부착생물 군집의 생태학적 특성- I. 잘피 (Zostera marina L.)의 성장에 따른 부착생물의 군집변화. 환경생물. 29:362-372. 

  3. 허성회, 곽석남, 남기완. 1998. 광양만 잘피와 착생해조류 의계절 변동. 한국수산학회지. 31:56-62. 

  4. Apostolaki ET, S Vizzini and I Karakassis. 2012. Leaf vs. epiphyte nitrogen uptake in a nutrient enriched Mediterranean seagrass (Posidonia oceanica) meadow. Aquat. Bot. 96:58- 62. 

  5. Balata D, L Piazzi, U Nesti, F Bulleri and I Bertocci. 2010. Effects of enhanced loads of nutrients on epiphytes on leaves and rhizomes of Posidonia oceanica. J. Sea Res. 63:173-179. 

  6. Bougis P. 1976. Marine plankton ecology. N.H. publishing co. Netherlands. 355pp. 

  7. Cambridge ML, JR How, PS Lavery and MA Vanderklift. 2007. Retrospective analysis of epiphyte assemblages in relation to seagrass loss in a eutrophic coastal embayment. Mar. Ecol. Prog. Ser. 346:97-107. 

  8. Chetelat J, FR Pick, A Morin and PB Hamilton. 1999. Periphyton biomass and community composition in rivers of different nutrient status. Canadian J. Fish. Aquat. Sci. 56:60-69 

  9. Coleman VL and JM Burkholder. 1994. Community structure and productivity of epiphytic microalgae on eelgrass (Zostera marina L.) under water-column nitrate enrichment. J. Exp. Mar. Biol. Ecol. 179:29-48. 

  10. Coleman VL and JM Burkholder. 1995. Response of microalgal epiphyte communities to nitrate enrichment in an eelgrass (Zostera marina) meadow. J. Phycol. 31:36-43. 

  11. Frankovich TA, AR Armitage, AH Wachnicka, EE Gaiser and JW Fourqurean. 2009. Nutrient effects on seagrass epiphyte community structure in Florida Bay. J. Phycol. 45:1010- 1020. 

  12. Frankovich TA and JW Fourqurean. 1997. Seagrass epiphyte loads along a nutrient availability gradient, Florida Bay, USA. Mar. Ecol. Prog. Ser. 159:37-50. 

  13. Gacia E, MM Littler and DS Littler. 1999. An experimental test of the capacity of food web interactions (fish-epiphytesseagrasses) to offset the negative consequences of eutrophication on seagrass communities. Estur. Coast. Shelf Sci. 48: 757-766. 

  14. Hellebust JA. 1970. Light; Plants. pp.125-158. In Marine Ecology (Kinne O eds.). Wiley-Interscience, New York. 

  15. Lapointe BE, PJ Barile and WR Matzie. 2004. Anthropogenic nutrient enrichment of seagrass and coral reef communities in the Lower Florida Keys: discrimination of local versus regional nitrogen sources. J. Exp. Mar. Biol. Ecol. 308:23- 58. 

  16. Lepoint G, J Jacquemart, JM Bouquegneau, V Demoulin and S Gobert. 2007. Field measurements of inorganic nitrogen uptake by epiflora components of the seagrass Posidonia oceanica (Monocotyledons, Posidoniaceae). J. Phycol. 43: 208-218. 

  17. Orth RJ and J van Montfrans. 1984. Epiphyte-eelgrass relationships with an emphasis on the role of micrograzing: A review. Aquat. Bot. 18:43-69. 

  18. Penhale PA and GW Thayer. 1980. Uptake and transfer of carbon and phosphorus by eelgrass (Zostera marina L.) and its epiphytes. J. Exp. Mar. Biol. Ecol. 42:113-123. 

  19. Peterson BJ, TA Frankovich and JC Zieman. 2007. Response of seagrass epiphyte loading to field manipulations of fertilization, gastropod grazing and leaf turnover rates. J. Exp. Mar. Biol. Ecol. 349:61-72. 

  20. Phillips GL, D Eminson and B Moss. 1978. A mechanism to account for macrophyte decline in progressively eutrophicated freshwaters. Aquat. Bot. 4:103-126. 

  21. Ralph PJ, DA Tamasko, KA Moore, S Seddon and CMO Macinnis. 2006. Human Impacts on Seagrasses: Eutrophication, Sedimentation and Contamination. pp.567-593. In Seagrasses: Niology, Ecology and Conservation (Larkum AWD, RJ Orth and CM Duarte eds.). Springer, Dordrecht. 

  22. Round FE, RM Crawford and DG Mann. 1990. The diatoms: biology & morphology of the genera.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747p. 

  23. Smith WO and PA Penhale. 1980. The heterotrophic uptake of dissolved organic carbon by eelgrass (Zostera marina L.) and its epiphytes. J. Exp. Mar. Biol. Ecol. 48:233-242. 

  24. Snoijs P. 1999. Diatoms and environmental change in brackish waters. pp.298-333. In The Diatoms: Applications for the Environmental and Earth Sciences (Stoermer EF and JP Smol 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New York. 

  25. Strickland JDH and TR Parsons. 1972. A practical handbook of seawater analysis. Bull. Fish. Res. Bd. Can. 310p. 

  26. Tomasko DA and BE Lapointe. 1991. Productivity and biomass of Thalassia testudinum as related to water column nutrient availabilaty and epiphyte levels: field observations and experimental studies. Mar. Ecol. Prog. Ser. 75:9-17. 

  27. Williams SL and MH Ruckelshaus. 1993. Effects of nitrogen availability and herbivory on eelgrass (Zostera marina) and its epiphytes. Ecolgy 74:904-91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