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합 고경이 감소된 보철물을 가진 환자의 전악 수복 증례
Full-mouth rehabilitation of a patient with reduced occlusal vertical dimension: a clinical report 원문보기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v.50 no.4, 2012년, pp.305 - 310  

정소미 (경희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치의학과 치과보철학교실) ,  김형섭 (경희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치의학과 치과보철학교실) ,  권긍록 (경희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치의학과 치과보철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직교합고경이 감소된 환자의 보철 수복은 치과의사에게 큰 도전이다. 여러 가지 방법들을 이용해 적절한 수직교합고경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85세 남자환자가 상악 우측 구치부 수복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임상 검사 결과 수직교합고경이 감소된 것으로 판단되었고, 안면 계측법, 발음 이용법, 하악 안정위 이용법, 통계적 치아 형태 이용법 등의 수직교합고경 평가 방법을 이용하여 소구치 부위에서 4 mm 증가하기로 결정하였다. 진단 왁스업을 시행하여 가역적인 overlay 형식의 임시 보철물을 상, 하악에 장착한 뒤 임상적으로 심미, 발음, 수직교합고경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8주 후 마모가 심한 치아에 근관 치료를 진행 한 뒤 fiber post & core를 접착하였고, 치아를 삭제하여 비가역적인 고정성, 가철성 임시보철물로 바꾸어 주었다. 8주 기간 동안 지켜본 뒤 최종 보철물을 장착하여 6개월 경과 관찰 중이며 양호한 임상결과를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is a great challenge for dentists to do prosthetic restorations of a patient with reduced occlusal vertical dimension (OVD). Proper determination of the OVD is significant. An 85-year-old male patient came in with missing right maxillary posterior teeth. After diagnostic wax-up, reversible prov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Light-post Double taper, Bisco, Schaumburg, USA) 레진 시멘트로 접착하였다.(RelyXTM Unicem, 3M ESPE, AG, Germany) overlay 형식의 임시 보철물의 수직교합고경을 유지하면서 고정성 임시 치아(AlikeTM, GC America Inc., Chicago, USA)와 가철성 임시 의치(Vertex Rapid-simplified, Vertex-Dental B.V, Zeist, Netherlands)를 제작하였다.
  • 16 약 8주간 불편감, 마모, 근육의 피로감, 측두하악관절 증상 등이 나타나지 않아서 두 번째 단계인 비가역적 임시 보철물으로 대체하였다. 두 번째 임시 보철물도 8주간 장착하여 평가한 뒤 최종수복하였다.
  • 두 번째 원칙에 따르면 근신경계의 적응 능력을 넘어서지 않도록 교합안정장치나 가철성 의치 등의 과정이 최종 보철물 수복 전에 선행되어 그 기간 동안 수직교합고경이 적절한지 평가해야만 한다.3 따라서 본 증례에서는 이 두 가지 원칙을 지켜 중심위에서 수직교합고경을 임의로 소구치 부위에서 4mm 증가시켰고, 근신경계의 적응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두 단계의 임시 보철물을 제작하였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비침습적이고 가역적 임시 보철물을, 두 번째 단계에서는 비가역적인 임시 보철물을 통해 심미적으로, 그리고 기능적으로 적응하는지를 관찰하였다.
  • 첫 번째 내원 시 임상검사와 방사선학적 검사를 통해 수직교합고경이 감소된 것을 알 수 있었고, 수직교합고경의 증가를 결정한 후 정밀한 진단을 위해 예비 인상을 채득(Alginate, GC, Tokyo, Japan) 하였다. Chin point guidance로 중심위로 유도하여 악간 관계 기록 채득 후 반조절성 교합기(KaVo PROTAR evo 5, KaVo Corp., Biberach, Germary)에 마운팅하여 진단 모형(Neo Plum Stone, Mutsumi Chemical Industries Co. Ltd., Japan)을 분석하였다. 수직교합고경 증가에 따른 적응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비침습적이고 가역적인 overlay 형식의 임시 보철물 과정을 거치기로 결정하였고, 환자가 임플란트 수술을 거부하여 최종 보철물은 고정성 및 가철성 국소의치로 결정하였다.
  • , Kasugai, Aichi, Japan)로 변연 형성(PeriCompound, GC Corporation, Tokyo, Japan)하여 Vinyl polysiloxane impression material (ImprintTM II GarantTM regular body, 3M ESPE, MN, USA)으로 pick-up 인상 채득하였고 작업모형 제작하여 의치의 Framework를 제작하였다. Framework상에 wax-rim을 부착하여 악간 관계 채득하여 반조절성 교합기에 마운팅 한 후 가철성 국소의치를 제작하였다. 고정성, 가철성 보철물을 구강 내 시적 후 치료실재부착하여 교합조정을 한 후 환자에게 임시 장착하였다(Fig.
  • Overlay 형식의 임시 보철물(AlikeTM, GC America Inc., Chicago, USA) (Vertex Rapid-simplified, Vertex-Dental B.V, Zeist, Netherlands)을 제작 시(Fig. 4) 반조절성 교합기 상에서 진단 wax-up (Fig. 4A)을 시행하였다. 수직교합고경을 결정하기 위해 안면 계측법, 발음 이용법, 연하 기능 이용법, 하악 안정위 이용법, 통계적 치아 형태 이용법, 환자의 감각 이용법 등 여러 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증가량을 소구치 부위에서 4 mm로 정하였다.
  • Framework상에 wax-rim을 부착하여 악간 관계 채득하여 반조절성 교합기에 마운팅 한 후 가철성 국소의치를 제작하였다. 고정성, 가철성 보철물을 구강 내 시적 후 치료실재부착하여 교합조정을 한 후 환자에게 임시 장착하였다(Fig. 6). 상악 우측 제 1, 2 소구치 부위 Framework 내면에 Primer (Z-primerTM plus, Bisco, Schaumburg, USA)로 처리 후 magnetic assembly를 접착(Superbond C&B, Sun medical, Moriyan, Shiga, Japan)하였다.
  • 6A)를 계획하였다. 근관 내 삭제 후 인상채득 한 뒤 MAGFIT DX 400 keeper를 첨가하여 만든 주조 코핑을 인산아연시멘트(Elite cement 100, GC, Tokyo, Japan)로 합착하였다. 최종 고정성 보철물을 제작하여 구강 내 시적한 후 개인트레이(Ostron 100, GC Dental Products Corp.
  • 16 약 8주간 불편감, 마모, 근육의 피로감, 측두하악관절 증상 등이 나타나지 않아서 두 번째 단계인 비가역적 임시 보철물으로 대체하였다. 두 번째 임시 보철물도 8주간 장착하여 평가한 뒤 최종수복하였다.
  • 상, 하악 절치길이를 측정하여 한국 남성 상, 하악 절치의 평균 길이와 비교하여 진단 왁스업에 참고하였고, 안면 계측법으로는 Willis 분석을 참고하였다. 상, 하악 전치의 절단연에서 vestibule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평균 거리와 비교하였다.14,15
  • 상악 우측 제 1, 2 소구치 부위 Framework 내면에 Primer (Z-primerTM plus, Bisco, Schaumburg, USA)로 처리 후 magnetic assembly를 접착(Superbond C&B, Sun medical, Moriyan, Shiga, Japan)하였다.
  • , Japan)을 분석하였다. 수직교합고경 증가에 따른 적응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비침습적이고 가역적인 overlay 형식의 임시 보철물 과정을 거치기로 결정하였고, 환자가 임플란트 수술을 거부하여 최종 보철물은 고정성 및 가철성 국소의치로 결정하였다.
  • 4A)을 시행하였다. 수직교합고경을 결정하기 위해 안면 계측법, 발음 이용법, 연하 기능 이용법, 하악 안정위 이용법, 통계적 치아 형태 이용법, 환자의 감각 이용법 등 여러 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증가량을 소구치 부위에서 4 mm로 정하였다. 첫 번째 임시 보철물 장착 후 약 8주간의 적응 기간을 통해 수직교합고경 증가량이 적절하다고 판단되어 두 번째 비가역적인 고정성, 가철성 임시 보철물을 제작하였다(Fig.
  • 수직교합고경이 감소된 것이 의심되어 여러 가지 분석을 시행하였다. 코와 턱 끝의 점을 찍고 안정 시 수직고경과 편안하게 다물었을 때의 수직교합고경을 측정하였다.
  • 임시 보철물의 모형과 작업 모형을 크로스 마운팅 하였고, 적응된 임시보철물의 전치유도를 재현하기 위해 개인전방유도판(customized anterior guide table) (Pattern resin, GC Corporation, Tokyo, Japan)을 제작하였다. 심미적인 보철물을 위하여 상악 우측 견치에 clasp을 설계하지 않고 상악 우측 제 1, 2 소구치에 자석부착장치(Fig. 6A)를 계획하였다. 근관 내 삭제 후 인상채득 한 뒤 MAGFIT DX 400 keeper를 첨가하여 만든 주조 코핑을 인산아연시멘트(Elite cement 100, GC, Tokyo, Japan)로 합착하였다.
  • 약 8주 후 환자가 편안함을 느끼고 여러 가지 검사 소견에서 특이점이 발견되지 않아 안정되었다고 판단하였고, 지대치에 대한 최종 인상 채득 후(Silagum light bodied consistency, Putty consistency, DMG, Hamburg, Germany) 작업 모형(GC FUJIROCK eP, GC Europe N.V, Leuven, Belgium)을 제작하였다. 적응된 교합고경을 유지하기 위해 상, 하악 전치부 임시 보철물을 구강 내 장착한 상태로 악간 관계를 채득하였다.
  • 위의 분석을 토대로 수직교합고경의 감소를 확인하여 수직교합고경 거상을 동반한 치료를 계획하였다.
  • 여러 가지 분석을 통하여 수직교합고경을 회복시키는 것이지만, 결국 임의로 증가시킨 것이므로 적응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 증례의 환자에서는 교합고경을 거상시키고 그 적응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두 단계의 임시 보철물 과정을 거쳤다. 현재 6개월 경과 관찰기간 동안 어떠한 합병증도 나타나지 않았으며 앞으로 정기적인 관찰과 유지가 필요하겠다.
  • 이번 증례보고에서는 수직교합고경이 감소된 보철물을 가진 환자에서 적절한 수직교합고경을 결정하기 위해 임시 보철물을 장착한 후 회복된 수직교합고경이 적절한지를 평가하였고, 최종 보철물로 이행하여 6개월 경과 관찰하였다. 이 기간 동안 양호한 임상 결과를 보였으며 어떤 합병증도 발생하지 않았다.
  • 적응된 교합고경을 유지하기 위해 상, 하악 전치부 임시 보철물을 구강 내 장착한 상태로 악간 관계를 채득하였다. 임시 보철물의 모형과 작업 모형을 크로스 마운팅 하였고, 적응된 임시보철물의 전치유도를 재현하기 위해 개인전방유도판(customized anterior guide table) (Pattern resin, GC Corporation, Tokyo, Japan)을 제작하였다. 심미적인 보철물을 위하여 상악 우측 견치에 clasp을 설계하지 않고 상악 우측 제 1, 2 소구치에 자석부착장치(Fig.
  • 첫 번째 내원 시 임상검사와 방사선학적 검사를 통해 수직교합고경이 감소된 것을 알 수 있었고, 수직교합고경의 증가를 결정한 후 정밀한 진단을 위해 예비 인상을 채득(Alginate, GC, Tokyo, Japan) 하였다. Chin point guidance로 중심위로 유도하여 악간 관계 기록 채득 후 반조절성 교합기(KaVo PROTAR evo 5, KaVo Corp.
  • 3 따라서 본 증례에서는 이 두 가지 원칙을 지켜 중심위에서 수직교합고경을 임의로 소구치 부위에서 4mm 증가시켰고, 근신경계의 적응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두 단계의 임시 보철물을 제작하였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비침습적이고 가역적 임시 보철물을, 두 번째 단계에서는 비가역적인 임시 보철물을 통해 심미적으로, 그리고 기능적으로 적응하는지를 관찰하였다.16
  • 수직교합고경을 결정하기 위해 안면 계측법, 발음 이용법, 연하 기능 이용법, 하악 안정위 이용법, 통계적 치아 형태 이용법, 환자의 감각 이용법 등 여러 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증가량을 소구치 부위에서 4 mm로 정하였다. 첫 번째 임시 보철물 장착 후 약 8주간의 적응 기간을 통해 수직교합고경 증가량이 적절하다고 판단되어 두 번째 비가역적인 고정성, 가철성 임시 보철물을 제작하였다(Fig. 5). 하악 좌측 중절치와 상악 우측 중절치, 우측 견치, 좌측 중절치, 좌측 측절치는 치질이 부족하여 fiber post & core를 간접법으로 제작 후(D.
  • 근관 내 삭제 후 인상채득 한 뒤 MAGFIT DX 400 keeper를 첨가하여 만든 주조 코핑을 인산아연시멘트(Elite cement 100, GC, Tokyo, Japan)로 합착하였다. 최종 고정성 보철물을 제작하여 구강 내 시적한 후 개인트레이(Ostron 100, GC Dental Products Corp., Kasugai, Aichi, Japan)로 변연 형성(PeriCompound, GC Corporation, Tokyo, Japan)하여 Vinyl polysiloxane impression material (ImprintTM II GarantTM regular body, 3M ESPE, MN, USA)으로 pick-up 인상 채득하였고 작업모형 제작하여 의치의 Framework를 제작하였다. Framework상에 wax-rim을 부착하여 악간 관계 채득하여 반조절성 교합기에 마운팅 한 후 가철성 국소의치를 제작하였다.
  • 수직교합고경이 감소된 것이 의심되어 여러 가지 분석을 시행하였다. 코와 턱 끝의 점을 찍고 안정 시 수직고경과 편안하게 다물었을 때의 수직교합고경을 측정하였다. 환자에게 입을 벌렸다가 입술이 처음 닿을 때까지 천천히 다물라고 지시하여 안정 시 수직고경을 측정하였다.
  • 하악 안정위 이용법으로 interocclusal rest space 를 측정하여 정상치(2-4 mm)와 비교하였고, 발음 이용법으로 closest speaking space를 측정하여 정상치(1-2 mm)와 비교하였다. 상, 하악 절치길이를 측정하여 한국 남성 상, 하악 절치의 평균 길이와 비교하여 진단 왁스업에 참고하였고, 안면 계측법으로는 Willis 분석을 참고하였다.
  • 하악 좌측 중절치와 상악 우측 중절치, 우측 견치, 좌측 중절치, 좌측 측절치는 치질이 부족하여 fiber post & core를 간접법으로 제작 후(D.T. Light-post Double taper, Bisco, Schaumburg, USA) 레진 시멘트로 접착하였다.
  • 코와 턱 끝의 점을 찍고 안정 시 수직고경과 편안하게 다물었을 때의 수직교합고경을 측정하였다. 환자에게 입을 벌렸다가 입술이 처음 닿을 때까지 천천히 다물라고 지시하여 안정 시 수직고경을 측정하였다. 환자의 안정 시와 교합 시 수직고경의 차이는 7 - 8 mm로 측정되었다.

대상 데이터

  • 상악 우측 구치부 수복을 주소로 내원한 85세 남성 환자로 임상 및 방사선학적 검사상 상악 좌측 견치는 수복되지 않은 자연치 상태로 상아질이 노출된 심한 마모를 보였고, 상악 우측 측절치와 하악 좌측 측절치 금속 도재 보철물의 도재 파절된 것과 상악 우측 견치, 상악 우측 제 1, 2소구치 보철물이 탈락된 것이 관찰되었다(Figs. 1-2).
  • 상악 우측 제 1, 2 소구치 부위 Framework 내면에 Primer (Z-primerTM plus, Bisco, Schaumburg, USA)로 처리 후 magnetic assembly를 접착(Superbond C&B, Sun medical, Moriyan, Shiga, Japan)하였다. 약 8주 동안 지켜본 뒤 고정성 보철물을 RMGI시멘트(GC FujiCEM, GC Corporation, Tokyo, Japan)로 접착하였고, 환자는 최종 보철물 장착 후 변화에 만족하였고(Fig. 7), 문제가 발견되지 않아 정기적으로 내원하여 검사 시행 중이다.
  • V, Leuven, Belgium)을 제작하였다. 적응된 교합고경을 유지하기 위해 상, 하악 전치부 임시 보철물을 구강 내 장착한 상태로 악간 관계를 채득하였다. 임시 보철물의 모형과 작업 모형을 크로스 마운팅 하였고, 적응된 임시보철물의 전치유도를 재현하기 위해 개인전방유도판(customized anterior guide table) (Pattern resin, GC Corporation, Tokyo, Japan)을 제작하였다.

이론/모형

  • 하악 안정위 이용법으로 interocclusal rest space 를 측정하여 정상치(2-4 mm)와 비교하였고, 발음 이용법으로 closest speaking space를 측정하여 정상치(1-2 mm)와 비교하였다. 상, 하악 절치길이를 측정하여 한국 남성 상, 하악 절치의 평균 길이와 비교하여 진단 왁스업에 참고하였고, 안면 계측법으로는 Willis 분석을 참고하였다. 상, 하악 전치의 절단연에서 vestibule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평균 거리와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직교합고경은 무엇인가? 수직교합고경은 교합 접촉 시 임의의 두 점 간의 거리로 정의된다.1 생리적인 치아 마모로 수직교합고경의 소실이 일어나면 보상적으로 지속적인 치아 맹출과 치조골 증대가 일어난다.
생리적인 치아 마모로 수직교합고경 소실이 일어나면 어떻게 되는가? 수직교합고경은 교합 접촉 시 임의의 두 점 간의 거리로 정의된다.1 생리적인 치아 마모로 수직교합고경의 소실이 일어나면 보상적으로 지속적인 치아 맹출과 치조골 증대가 일어난다.2 이런 보상 기전보다 더 빠르게 치아가 마모될 경우 수직교합고경이 감소된다.
수직교합고경을 결정하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는가? 수직교합고경을 결정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안면계측법, 발음 이용법, 연하 기능 이용법, 하악 안정위 이용법, 통계적 치아 형태 이용법, 두부 x선 사진 이용법, 환자의 감각 이용법, 근전도 이용법 등이 그것이다.3,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Weinberg LA. Vertical dimension: a research and clinical analysis. J Prosthet Dent 1982;47:290-302. 

  2. Murphy T. Compensatory mechanisms in facial height adjustment to functional tooth attrition. Aust Dent J 1959;4:312-23. 

  3. Abduo J, Lyons K. Clinical considerations for increasing occlusal vertical dimension: a review. Aust Dent J 2012;57:2-10. 

  4. Mays KA. Reestablishing occlusal vertical dimension using a diagnostic treatment prosthesis in the edentulous patient: a clinical report. J Prosthodont 2003;12:30-6. 

  5. Rivera-Morales WC, Mohl ND. Restoration of the vertical dimension of occlusion in the severely worn dentition. Dent Clin North Am 1992;36:651-64. 

  6. Willis FM. Features of the face involved in full denture prosthesis. Dent Cosmos 1935;77:851-4. 

  7. Silverman MM. The speaking method in measuring vertical dimension. 1952. J Prosthet Dent 2001;85:427-31. 

  8. Silverman MM. Determination of vertical dimension by phonetics. J Prosthet Dent 1956;6:465-71. 

  9. Pound E. Let /S/ be your guide. J Prosthet Dent 1977;38:482-9. 

  10. Turner KA, Missirlian DM. Restoration of the extremely worn dentition. J Prosthet Dent 1984;52:467-74. 

  11. Rivera-Morales WC, Mohl ND. Restoration of the vertical dimension of occlusion in the severely worn dentition. Dent Clin North Am 1992;36:651-64. 

  12. Hemmings KW, Howlett JA, Woodley NJ, Griffiths BM. Partial dentures for patients with advanced tooth wear. Dent Update 1995;22:52-9. 

  13. Ibbetson RJ, Setchell DJ. Treatment of the worn dentition: 2. Dent Update 1989;16:300-2, 305-7. 

  14. Fayz F, Eslami A. Determination of occlusal vertical dimension: a literature review. J Prosthet Dent 1988;59:321-3. 

  15. Oh YR, Lee SB, Park NS, Choi DG. A study of intraoral anatomic landmarks of Korean adult-upper jaw. J Korean Acad Prosthodont 1995;33:753-68. 

  16. Badr SE, Unger JW. Reconstruction of a severely abraded dentition using an overdenture. Quintessence Int 1986;17:293-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