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백두대간 댓재에서 백봉령구간 마루금의 식물군집구조 특성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Daetjae(hill)~Baekbongryung(ridge), the Baekdudaegan Mountains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6 no.5, 2012년, pp.719 - 729  

이수동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조경학과) ,  홍석환 (부산대학교 조경학과) ,  김지석 (부산대학교 바이오환경에너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백두대간은 남한구간만 약 670km로 전체 지역에 대한 생태적 특성을 파악하기는 어려워 각 지역에 대한 상세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백두대간 구간 중 댓재에서 백봉령구간의 식생구조를 밝히고 향후 복원 및 관리계획 수립시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마루금을 중심으로 $10m{\times}10m(100m^2)$ 조사구 40개소를 설치하였다. TWINSPAN에 의한 군집분류 결과 구상나무군집, 소나무 우점군집, 신갈나무 우점군집, 일본잎갈나무 우점군집 등 8개로 유형화되었다. 구상나무군집과 소나무군집은 신갈나무와의 경쟁을 회피할 수 있는 능선부 또는 암반지대에 분포하였으나 낙엽활엽수와의 경쟁으로 쇠퇴할 가능성이 높아 보호의 필요성이 있었다. 단위면적당($400m^2$) 종다양도는 0.8046~1.1283이었으며 단일종 우점군집이 낮고 경쟁상태인 군집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 층위구조가 형성된 보호가치가 있는 숲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ekdudan has 670km long within South Korea, so the study for detail vegetation characteristics is needed. In this study, we surveyed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from Daetjae to Baekbongryung for the next restoration and management plan. We designated 40 quadrats ($10m{\times}10m(100m^2)$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럼에도 불구하고 약 670㎞에 달하는 백두대간 남한구간의 생태적 특성을 파악하기는 어려워 기초자료가 축적되지 않은 지역에 대한 상세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는 식물군집에 대한 생태적 특성연구가 거의 없음에도 백두대간 구간 중에서도 식생군락이 양호한 지역으로 판단되는 구간 중 하나인 댓재에서 백봉령구간의 식생구조를 밝히고 향후 복원 및 관리계획 수립 시 필요한 기초인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75%)가 나타났다. 교목층과 아교목층에서 신갈나무의 세력이 우세하고 하층에 극상수종이 출현하지 않아 현상태가 유지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백두대간이란? 백두대간이란 역사시대에 형성된 개념으로 백두산에서 시작하여 원산, 낭림산, 두류산, 금강산, 오대산, 태백산, 속리산을 거쳐 지리산에 이르는 가장 큰 산줄기를 말한다(Lee et al., 2003).
분수령을 바탕으로 한 대간이란 무엇을 의미하나요? , 2003). 분수령을 바탕으로 한 대간 개념은 신라말엽에서 고려초기 사이에 잉태되어 고려시대에 성장하였고 조선시대에 완성된 분수령과 유역, 수계와 산계가 결합된 개념이다(Shin, 2004). 이는 정맥이 강을 기준으로 명명된 사실에서 잘 나타난다(Lee et al.
백두대간의 식생구조는 어떤 방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는가? 식생구조는 방형구법(quadrat method)으로 조사하였으며 각 조사구내에 출현하는 수종을 대상으로 수관의 위치에 따라 교목층, 아교목층, 관목층으로 구분하여 수종명과 규격을 측정하여 기록하였다. 흉고직경(DBH) 2cm 이상인 교목 및 아교목층은 흉고직경, 수고, 지하고, 수관폭을, 수고 2m 이하인 관목층은 수고, 지하고, 수관폭을 조사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hn, T.M., I.H. Kim, J.Y. Lee, C.K. Kim, H.S. Chae, Y. Lee, M.S. Young and M.W. Kim(2009) Development of participatory ecological restoration system through integrative categorization of disturbed areas in BaekDooDaeGahn. J. Korean Env. Res. & Reveg. Tech. 12(4) : 11-2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Brower, J.E. and J.H. Zar(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mpany, 194pp. 

  3. Cho, H.J.(2009) Vegetation types and life-form composition of Pinus densiflora forests on the ridge of the Baekdudaegan in South Korea. Jour. Korean For. Soc. 98(4): 472-47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Cho, H.S. and S.H. Choi(2002)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the Baekcheon valley in Taebaeksan area, the Baekdudaegan. Kor. J. Env. Ecol. 15(4): 369-37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Cho, J.C.(1994) Stand structure and growth pattern Pinus densiflora S. et Z. and their relationship to forest fire in Sokwang-Ri, Uljin-Gun. Seoul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Dissertation for the Degree of Doctor of Philosophy, 101pp. 

  6. Choi, S.H.(2002) Community structure of the ridge area in the Cheongoksan, the Baekdudaegan. Kor. J. Env. Ecol. 15(4): 344-35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Curtis, J.T. and R.P. McIntosh(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nsconsin. Ecology 32: 476-496. 

  8. Hill, M.O.(1979) TWINSPAN-A FORTRAN program for arranging multivariate data in an ordered two-way table by classification of the individuals and attributes. Ithaca, NY: Ecology and Systematics, Cornell University, 90pp. 

  9. Kim, D.P. and S.H. Choi(2004) Vegetation Structure of Mountain Ridge from Gajisan to Neungdongsan in the Nakdong- Jeongmek. Kor. J. Env. Ecol. 18(3): 279-287 

  10. Kim, G.T. and G.J. Baek(1997) Studies on the stand structure of Taxus cuspidata forest at Janggunbong arae in Taebaeksan. Kor. J. Env. Ecol. 12(1): 1-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im, G.T., G.C. Choo and G.J. Baek(2003)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Daedeoksan- Geumdaebong Nature Ecosystem Preservation Area in Baekdudaegan. Kor. J. Env. Ecol. 17(1): 9-1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im, G.T., G.C. Choo and T.W. Um(1996)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Dongdaesan, Turobong, Sangwangbong Area in Odae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l. 9(2): 147-15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Kim, N.C., U.J. Nam and K.J. Shin(2008) A study on the slope ecologic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models of the Baekdu- Mountain Range. J. Korean Env. Res. & Reveg. Tech. 11(1): 72-8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Kwon, T.H., S.H. Choi and K.J. Yoo(2004a) Establishing the managerial boundary of the Baekdu-daegan-An approach by watershed expanding process. The Korean Journal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5(4): 106-11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Kwon, T.H., S.H. Choi and K.J. Yoo(2004b) Establishing the managerial boundary of the Baekdu-daegan(II) - In the case of semi-mountainous district -. The Korean Journal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7(1): 61-7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Lee, D.K., W.K. Song, S.W. Jeon, H.C. Sung and D.Y. Son(2007) Deforestation patterns analysis of the Baekdudaegan Mountain Range. J. Korean Env. Res. & Reveg. Tech. 10(4): 41-5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Lee, D.W., .J.H. Shin and S.G. Kang(2003) Watershed concept embedded in the Baekdoodaegan frame. Korean J. Ecol. 26(4): 215-22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Lee, J.H., H.J. Hwon, G.S. Jeon, N.C. Kim, G.S. Park and H.K. Song(2008) Native plants selection for ecological replantation in roadside cutting-slope of the Baekdu range. J. Korean Env. Res. & Reveg. Tech. 11(4): 67-7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Lee, K.J., J.C. Jo and Y.C. Choi(1996) The Community Structure in Old-Growth Forest of the Sangwonsa-Birobong area, Odae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l. 9(2): 166-18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Lim, D.O., Y.S. Kim, Y.K. Park, Y.M. Ryu and M.H. Koh(2004) Vascular plants of Mt. Deog-yu area in the Baekdudaegan. Kor. J. Env. Ecol. 18(2): 107-12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Oh, J.H., Y.K. Kim and J.O. Kwon(2007) An analysis of landcover change and temporal landscape structure in the main ridge area of the Baekdu Daegan Mountain System. The Korean Journal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0(3): 49-5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 Oh, K.K., S.H. Choi and K.T. Na(2003) Actual vegetation and degree of green naturality in the Baekdudaegan from the Manbokdae to the Bokseongijae, Korea. Kor. J. Env. Ecol. 17(1): 26-3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 Park, I.H.(1985) A study on Forest Structure and Biomas in Baegwoonsan Natural Ecosystem. Seoul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Dissertation for the Degree of Doctor of Philosophy, 42pp. 

  24. Park, S.G., S.H. Joo., K.H. Lee and W.G. Park(2010) Plant & Forest; Relationships between climate and tree-rings of Pinus densiflora in the ridges of the Baekdudaegan, Korea. Research i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44(5): 35-4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Park, S.G.,H.J. Cho and C.B. Lee(2009) Vegetation types & floristic composition of native conifer forests in the ridge of The Baekdudaegan, South Korea. Jour. Korean For. Soc. 98(4): 461-47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6. Pielou, E.C.(1977) Mathematical ecology. John Wiley&Sons, N.Y., 165pp. 

  27. Shin, J.H.(2004) Management area and management strategy of Baekdudaegan. Kor. J. Env. Ecol. 18(2): 197-20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8. Song, H.K., G.S. Jeon, N.C. Kim, G.S. Park, H.J. Kwon and J.H. Lee(2007) Selection of replantation species in roadside cutting-slope area of the Baekdu range. J. Korean Env. Res. & Reveg. Tech. 10(3): 52-5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9. Whittaker, R.H.(1956) Vegetation of the Great Smoky Mountains. Ecol. Monogra 26: 1-80. 

  30. Yoo, K.J.(2002) An approach for establishing conceptual framework of management spectirum on the Baekdudaegan area, Korean. Kor. J. Env. Ecol. 15(4): 408-41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1. Yun, J.W., S.C. Jung, G.S. Koo, J.H. Lee, C.W. Yun and S.H. Joo(2010) Forest vegetation classification on Sobaeksan National Park in the Baekdudaegan. Kor. J. Env. Ecol. 24(6): 630-63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