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단일병원 신생아 환자의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알균 보균율
Colonization Rate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 Neonates: A Single Center Experience 원문보기

소아감염 = Korean journal of pediatric infectious diseases, v.19 no.3, 2012년, pp.111 - 120  

최수영 (을지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을지병원 소아청소년과) ,  한상우 (을지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을지병원 소아청소년과) ,  윤혜선 (을지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을지병원 소아청소년과) ,  기모란 (을지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 적 : 단일 병원 신생아입원실에 입원한 신생아를 대상으로 환자의 임상적 특징에 따른 MRSA 보균율을 알아보고, 그 기원을 추정해 보며, MRSA 보균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8년 1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을지대학교 서울 을지병원 신생아 입원실에 입원하여 MRSA 감시배양검사를 시행받은 1,733명의 신생아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MRSA 감시배양검사는 비강, 서혜부, 직장에서 시행하였고, 퇴원 시까지 매주 반복 시행 하였다. MRSA 감시배양결과에 따라서 보균자와 비보균자로 나누었다. 결 과 : 대상환자 1,733명 중에 415명(23.9%)이 MRSA 보균자였다. 제태기간, 출생체중, 분만 방식, 분만전 산모에게 항생제 투여 여부, 출생장소, 입원전 체류 장소에 따라서 MRSA 보균율에 차이를 보였다(P<0.001). 다변량 검사에서 분만전 산모에게 예방적 항생제를 투여하지 않은 경우가 투여한 경우에 비해서 신생아가 MRSA 보균자가 될 위험도가 2.8배(OR=2.77; 95% CI, 1.88-4.07), 출생장소가 외부인 경우가 본원인 경우에 비해서 2.3배(OR=2.28; 95% CI, 1.17-4.42) 높음을 확인하였다. 결 론 : 신생아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한 MRSA 보균율은 23.9%로 상대적으로 높은 보균율을 확인하였다. 환자특성을 고려하여 추정한 HA-MRSA 보균율은 51/511명(10%), CA-MRSA 보균율은 309/858명(36%) 이었다. 본병원 신생아에서 MRSA 보균과 연관된 요인은 산모의 예방적 항생제 사용여부와 출생장소임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lonization rate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in neonates by different clinical characteristics, to presume the origin of MRSA acquisition, and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MRSA colonization. Methods: We 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목적 : 단일 병원 신생아입원실에 입원한 신생아를 대상으로 환자의 임상적 특징에 따른 MRSA 보균율을 알아보고, 그 기원을 추정해 보며, MRSA 보균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2005년 Regev-Yochay 등10)은 유전학적 방법으로 HA-MRSA만 감염원으로 있는 신생아중환자실에서 지역사회의 CA-MRSA와 동일한 CA-MRSA가 발견되어서 CA-MRSA가 신생아중환자실에 감염된 부모 혹은 보균하고 있는 의료인에 의해서 유입되었을 가능성을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동정된 MRSA의 유전학적 검사를 시행하지 못해서 미숙아에서 동정된 MRSA와 만삭아 혹은 지역사회에서 체류하다 입원한 환자에서 동정된 MRSA가 다른 기원을 가지고 있을 것으로 추정되나 이를 명확하게 밝힐 수 없었고 단지 환경적인 차이만을 가지고 추정해 보았다.
  • 이 연구의 목적은 단일 병원 신생아입원실에 입원한 신생아를 대상으로 MRSA 보균율을 알아보고, 그 기원을 추정해 보며, MRSA 보균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황색포도알균은 어떤 질환을 초래하는가? 황색포도알균(Staphylococcus aureus)은 정상적으로 비강, 피부, 서혜부, 회음부, 인두, 액와 등에 상재하여 집락을 형성하는 병원성 세균으로1) 경미한 피부감염을 비롯하여 중증의 균혈증을 초래하여 심내막염, 폐렴, 골수염, 수막염 등의 화농성 전이병소를 일으키고, 패혈성 쇼크, 호흡곤란 증후군 등의 급성 합병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q. 특히,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에 의한 병원감염은 증가하고 있고,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하는 신생아들에게는 중증감염을 일으켜서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르게 할 수도 있으며, 병원내 입원환아들 사이에 돌발감염(outbreak)을 일으키는 원인균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3, 4).
황색포도알균은 어떤 균인가? 황색포도알균(Staphylococcus aureus)은 정상적으로 비강, 피부, 서혜부, 회음부, 인두, 액와 등에 상재하여 집락을 형성하는 병원성 세균으로1) 경미한 피부감염을 비롯하여 중증의 균혈증을 초래하여 심내막염, 폐렴, 골수염, 수막염 등의 화농성 전이병소를 일으키고, 패혈성 쇼크, 호흡곤란 증후군 등의 급성 합병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q. 특히,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에 의한 병원감염은 증가하고 있고,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하는 신생아들에게는 중증감염을 일으켜서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르게 할 수도 있으며, 병원내 입원환아들 사이에 돌발감염(outbreak)을 일으키는 원인균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3, 4).
본 연구에서 단일 병원 신생아입원실에 입원한 신생아를 대상으로 환자의 임상적 특징에 따른 MRSA 보균율에 대해 조사한 결과는 어떠한가? 결과 : 대상환자 1,733명 중에 415명(23.9%)이 MRSA 보균자였다. 제태기간, 출생체중, 분만 방식, 분만전 산모에게 항생제 투여 여부, 출생장소, 입원전 체류 장소에 따라서 MRSA 보균율에 차이를 보였다(P<0.001). 다변량검사에서 분만전 산모에게 예방적 항생제를 투여하지 않은 경우가 투여한 경우에 비해서 신생아가 MRSA 보균자가 될 위험도가 2.8배(OR=2.77; 95% CI, 1.88-4.07), 출생장소가 외부인 경우가 본원인 경우에 비해서 2.3배 (OR=2.28; 95% CI, 1.17-4.42) 높음을 확인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Wertheim HF, Melles DC, Vos MC, Van Leewen WU, Vasn Belkum AV, Verbrugh HA, et al. The role of nasal carriage in Staphylococcus aureus infections. Lancet Infect Dis 2005;5:751-62. 

  2. Lowy FD. Staphylococcus aureus infections. N Engl J Med 1998;339:520-32. 

  3. Song X, Perencevich E, Campos J, Short B, Singh N. Clinical and economic impact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colonization or infection on neonates in intensive care units. Infect Control Hosp Epidemiol 2010;31:177-82. 

  4. Lessa FC, Edwards JR, Fridkin SK, Tenover FC, Horan TC, Gorwitz RJ. Trends in incidence of late-onset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fection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data from the National Nosocomial infections Surveillance System, 1995-2004. Pediatr infect Dis J 2009;28:577-81. 

  5. Maraqa NF, Aigbivbalu L, Masnita-lusan C, Wludyka P, Shareef Z, Bailey C, et al. Prevalence of and risk factors for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colonization and infection among infants at a level III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Am J Infect Control 2011;39:35-41. 

  6. Chung MK, Choi JH, Chang JK, Chung SH, Bae CW, Cha SH.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risk factors for staphylococcal infection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Korean J Pediatr 2006;49:1287-95. 

  7. Park JY, Kim SD, Lee JS. Infection of methicillin-resistant S. aureus nasal carriage in the community pediatric population. Korean J Epidemiol 2006;28:171-81. 

  8. Kim DH, Kim SM, Park JY, Cho EY, Choi CH. Characteristics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nasal colonization among neonatal unit staffs and infection control measures. Korean J Pediatr Infect Dis 2009;16: 131-41. 

  9. Na DC, Seo JM, Lee JH, Lee WU, Kim ER. Carriage rates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 neonates with neonatal jaundice. Korean J Pediatr Infect Dis 2011;18:143-53. 

  10. Regev-Yochay G, Rubinstein E, Barzilai A, Carmeli Y, Kuint J, Etienne J, et al. Methici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Emerg Infect Dis 2005;11:453-6. 

  11. McHugh CG, Riley LW. Risk factors and costs associated with methicillin?reskstant Staphylococcus aureus bloodstream infections. Infect Control Hosp Epidemiol 2004; 25:425-30. 

  12. Von Baum H, Schmidt C, Svoboda D, Bock-Hensley O, Wendt C. Risk factors for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carriage in residents of German nursing homes. Infect Control Hosp Epidemiol 2002;23:511-5. 

  13. Clinical and Laboratory Standards Institute. Performance standards for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ing. 18th informational supplement, M100-S18. Wayne, PA: CLSI, 2008 

  14. Kim CR, Kim SY, Park HJ, Ki MR, Yoon HS. Risk factors of nosocomial sepsis in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J Korean Soc Neonatol 2010;17:84-93. 

  15. Davis KA, Stewart JJ, Crouch HK, Florez CE, Hospenthal DR.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nares colonization at hospital admission and its effect on subsequent MRSA infection. Clin Infect Dis 2004;39: 776-82. 

  16. Huang SS, Platt R. Risk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fection after previous infection or colonization. Clin Infect Dis 2003;36:281-5. 

  17. Garrouste-Orgeas M, Timsit JF, Kallel H, Ben AA, Dumay MF, Paoli B et al. Colonization with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 ICU patients: morbidity, mortality and glycopeptides use. Infect Control Hosp Epidemiol 2001;22:687-92. 

  18. Gorwitz RJ, Kruszon-Moran D, McAllister SK, Mc-Quillan G, McDougal LK, Fosheim GE, et al. Changes in the prevalence of nasal colonization with Staphylococcus aureus in the United States, 2001?2004. J infect Dis 2008;197:1226-34. 

  19. Chaix C, Durand-Zaleski I, Alberti C, Brun-Burisson C. Control of endemic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a cost-benefit analysis in an intensive care unit. JAMA 1999;282:1745-51. 

  20. Alfaro C, Mascher-Denen M, Fergie J, Purcell K. Prevalence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nasal carriage in patients admitted to Driscoll children's hospital. Pediatr Infect Dis J 2006;25:459-61. 

  21. Kim YM, Oh CE, Kim SH, Lee J, Choi EH, Lee HJ. Nasal carriage of Staphylococcus aureus from healthy children attending day care center. Korean J Pediatr Infect Dis 2010;17:9-15. 

  22. Kim HJ, Kang SJ, Park HK, Kim CR, Choi TY, Oh SH. The effect of eradication of methicillin-resistatant Staphylococcus aureus from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by aggressive infection control measures: isolation program and the use of chlorhexidine. Korean J Perinatol 2010;21:248-57. 

  23. From th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Four pediatric deaths from community-aquire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Minnesota and North Dakota, 1997-1999. JAMA 1999;282:1123-5. 

  24. Seybold U, Halvosa JS, White N, Voris V, Ray SM, Blumberg HM. Emergence of and risk factors for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of community origin in intensive care nurseries. Pediatrics 2008;122: 1039-46. 

  25. Al-Tawfiq JA. Father-to-Infant transmission of community-acquire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 a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Infect Control Hosp Epidemiol 2006;27:636-7. 

  26. Chen KT, Huard RC, Della-Latta P, Saiman L. Prevalence of methicillin-sensitive an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 pregnant women. Obstet Gynecol 2006;108:482-7. 

  27.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ommunityassociate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fection among healthy newborns-Chicago and Los Angeles County, 2004. MMWR Morb Mortal Wkly Rep 2006;55:329-32. 

  28. Verani JR, MaGee L, Schrag SJ. Prevention of perinatal group B Streptococcal disease-revised guidelines from CDC, 2010. MMWR Recomm Rep 2010;59:1-3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