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화재 출동시간에 근거한 진주시 소방권역 분석
An Analysis of Fire Area in Jinju City Based on Fire Mobilization Time 원문보기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v.20 no.4, 2012년, pp.127 - 134  

구슬 (경상대학교 대학원 도시공학과) ,  유환희 (경상대학교 공과대학 도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진주시지역의 소방서(5개 119안전센터, 1개 119지역대)를 대상으로 GIS의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하여 진주시에 위치한 소방서의 화재진압출동시간별 서비스현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진주시 전체 소방서비스면적 중 출동시간 5분 이내 비율은 15.9%, 8분 이내 비율 34.7%, 20분 이내 비율 94%로 나타났으며, 20분 이상인 지역도 6%에 이른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시외곽지역(진성, 지수, 사봉, 일반성, 이반성면 일대)의 소방서비스 접근 취약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반성면에 119지역대가 증설되어 운영되고 있지만 접근성은 여전히 낮은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또한 천전 119안전센터의 경우 국가산업단지와 일반산업단지가 대규모로 조성되고 있으나 해당 지역의 소방서비스 수준을 분석해 보면 도달시간이 8분 이상 20분 이내지역이 넓게 존재하고 있었다. 이상의 진주시 소방서비스권역을 화재진압출동시간으로 분석한 결과 지방중소도시에서 도농통합에 의해 행정구역이 통합되어 관할지역이 크게 확장된 것에 비하여 소방서비스수준은 도농통합이전의 상태를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어서 이에 대한 개선대책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present status of services by fire-suppression mobilization time of fire station where is located in Jinju city, by using network analysis of GIS targeting fire station(five 119 safety centers, one 119 division) in Jinju city area. As a result, it was indicated to be 15.9%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진주시 행정구역내 소방GIS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소방권역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방재란 무엇인가? 재난은 자연적 현상과 인위적 요인을 포함하여 인간에게 피해를 주는 현상을 의미하며, 방재란 재난발생을 사전에 방지하거나 재난발생 시 피해 확대를 방지하고 복구를 신속히 하는 것이다. 이 같은 재난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는 사전예방 활동을 철저히 하여야하며, 또한 재난이 발생하면 신속한 대응으로 그 피해를 최소화시켜야 한다.
재난이란 무엇인가? 재난은 자연적 현상과 인위적 요인을 포함하여 인간에게 피해를 주는 현상을 의미하며, 방재란 재난발생을 사전에 방지하거나 재난발생 시 피해 확대를 방지하고 복구를 신속히 하는 것이다. 이 같은 재난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는 사전예방 활동을 철저히 하여야하며, 또한 재난이 발생하면 신속한 대응으로 그 피해를 최소화시켜야 한다.
GIS의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하여 진주시에 위치한 소방서의 화재진압출동시간별 서비스현황을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진주시지역의 소방서(5개 119안전센터, 1개 119지역대)를 대상으로 GIS의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하여 진주시에 위치한 소방서의 화재진압출동시간별 서비스현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진주시 전체 소방서비스면적 중 출동시간 5분 이내 비율은 15.9%, 8분 이내 비율 34.7%, 20분 이내 비율 94%로 나타났으며, 20분 이상인 지역도 6%에 이른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시외곽지역(진성, 지수, 사봉, 일반성, 이반성면 일대)의 소방서비스 접근 취약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반성면에 119지역대가 증설되어 운영되고 있지만 접근성은 여전히 낮은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또한 천전 119안전센터의 경우 국가산업단지와 일반산업단지가 대규모로 조성되고 있으나 해당 지역의 소방서비스 수준을 분석해 보면 도달시간이 8분 이상 20분 이내지역이 넓게 존재하고 있었다. 이상의 진주시 소방서비스권역을 화재진압출동시간으로 분석한 결과 지방중소도시에서 도농통합에 의해 행정구역이 통합되어 관할지역이 크게 확장된 것에 비하여 소방서비스수준은 도농통합이전의 상태를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어서 이에 대한 개선대책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Choi, U hyeok, 1999, Study on city fire disaster using gis - using gangnam district as an example -,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2. Cutter, S. L. and Solecki, W.D, 1989, The national pattern of airborne toxic releases. The professional geographer, Willey Blackwell, Vol.41, pp.149-161. 

  3. Hewitt. K. and I. Burton, 1971, The hazardousness of a place: a regional ecology of damaging events, University of Toronto. 

  4. Je, Jin ju, 2008, Study on the fire fighting resources allocation system for the operation efficiency improvement in korea, Ph.D. dissertation , University of Seoul. 

  5. Jinju fire station, http://jinju.gnfire.go.kr/ 

  6. Jo, Mun seok, 2012, Reliability and validity of performance measurement in the public sector: the case of the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s 'battle against fire', researches in korea's public administration Vol.22, No.4. 

  7. Jung, Gyu dong, 2012, Study on deriving vulnerable area and its reformation way from accessibility analysis of jurisdiction of daegu city fire & rescue stations,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8. Kain, J ,1968, Housing segregation, Negro employment, and metropolitan decentralization, The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JSTOR, Vol.82, NO.2, pp. 175-197. 

  9. Kim, Hwng Bae, Kim, Dong Moon, 2002, Study on boundary setting of disaster ares according to explosion of gas & oil station in residental area that apply to gis spatial analysis techniqu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22, No.5, pp.863-870. 

  10. Mark Swanson, 2010, Service area analysis for fire stations in evanston, Illinois, GES 392 GIS II 

  11. Nam, Gwang u, Kim, Jeong geon, 2007,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s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Busan, Journal of the Korea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ol.10, No.1. 

  12. Toronto, ON, Canada, p.15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