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우리나라의 재가간호서비스는 보건소의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과 의료기관 가정간호사업, 그리고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방문간호서비스의 독립성과 전문성을 인정하면서, 각 영역간의 연계를 통해 사업의 중복성을 최소화하는 연계방안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재가간호서비스의 연계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전문가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합의를 이끌어내는 델파이 기법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제도적 차원의 연계와 의료적 차원의 연계라는 두 영역 안의 총 24개 항목이 연계방안으로 도출되었다. 재가간호서비스의 연계방안으로 도출된 24개의 항목은 재가간호사업 체계의 개선과 제공되는 서비스 질의 향상, 대상자의 만족도 증대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서비스의 중복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함으로서 국가적 차원에서 복지 및 국민 건강관리의 효율성을 증대할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국민의료비의 절감과 더불어 재가간호서비스 증진에 기여할 것으로 여겨진다.
현재 우리나라의 재가간호서비스는 보건소의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과 의료기관 가정간호사업, 그리고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방문간호서비스의 독립성과 전문성을 인정하면서, 각 영역간의 연계를 통해 사업의 중복성을 최소화하는 연계방안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재가간호서비스의 연계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전문가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합의를 이끌어내는 델파이 기법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제도적 차원의 연계와 의료적 차원의 연계라는 두 영역 안의 총 24개 항목이 연계방안으로 도출되었다. 재가간호서비스의 연계방안으로 도출된 24개의 항목은 재가간호사업 체계의 개선과 제공되는 서비스 질의 향상, 대상자의 만족도 증대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서비스의 중복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함으로서 국가적 차원에서 복지 및 국민 건강관리의 효율성을 증대할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국민의료비의 절감과 더불어 재가간호서비스 증진에 기여할 것으로 여겨진다.
Today, home health care services needs a linkage plan of the customized home visiting health service in public health center, the medical institute home health care service, and home visiting nursing service based on long 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program which acknowledges the independenc...
Today, home health care services needs a linkage plan of the customized home visiting health service in public health center, the medical institute home health care service, and home visiting nursing service based on long 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program which acknowledges the independence and professionalism of the home health care services while minimizing overlap through linking the projects. So, this study was performed by applying the Delphi technique, which draws agreement from professional opinion, to determine a method to link home health care services in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Specialists agreed on 24 important items within the two domains of institutional linkage and medical linkage. An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e 24 items deduced for the approved nursing service linkage plan are expected to improve the home health care service business system, enhance the quality of home health care service, and bring increased satisfaction for service recipients. Also, seeking ways to minimize overlap in service can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health care and public health management at a national level. In addition, it is considered that this will ultimately reduce public medical costs as well as improve home health care service.
Today, home health care services needs a linkage plan of the customized home visiting health service in public health center, the medical institute home health care service, and home visiting nursing service based on long 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program which acknowledges the independence and professionalism of the home health care services while minimizing overlap through linking the projects. So, this study was performed by applying the Delphi technique, which draws agreement from professional opinion, to determine a method to link home health care services in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Specialists agreed on 24 important items within the two domains of institutional linkage and medical linkage. An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e 24 items deduced for the approved nursing service linkage plan are expected to improve the home health care service business system, enhance the quality of home health care service, and bring increased satisfaction for service recipients. Also, seeking ways to minimize overlap in service can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health care and public health management at a national level. In addition, it is considered that this will ultimately reduce public medical costs as well as improve home health care service.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이와 같은 현황파악과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보건소의 방문건강관리사업, 의료기관 가정간호사업 그리고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방문간호사업의 세 가지 재가간호서비스의 특성을 파악하여 이를 체계적으로 비교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각각의 재가간호서비스의 독립성과 전문성을 인정하면서도 각 영역 간의 연계를 통해 사업의 중복성을 최소화하는 효율적 연계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이와 같은 현황파악과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보건소의 방문건강관리사업, 의료기관 가정간호사업 그리고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방문간호사업의 세 가지 재가간호서비스의 특성을 파악하여 이를 체계적으로 비교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각각의 재가간호서비스의 독립성과 전문성을 인정하면서도 각 영역 간의 연계를 통해 사업의 중복성을 최소화하는 효율적 연계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재가간호서비스의 연계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전문가 합의를 도출하는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1차 델파이 조사 설문지 문항을 개발하기 위해 먼저 보건소 방문간호사업과 의료기관 가정 간호사업, 그리고 노인장기요양보험 방문간호사업을 주제로 한 선행연구 논문, 보고서, 교재 및 기사 등을 포괄적으로 고찰하였다[19]. 결과를 종합하여 주요 논지를 확인 · 정리한 결과, 1차 설문지는 ①담당인력의 자격, ②비용의 문제, ③각 사업이 담당하는 주요 질환의 중복, ④재가간호 대상자의 중복, ⑤재가간호서비스의 중복, ⑥관리감독체계의 분산이라는 6개 주요 주제로 구성되었다.
3차 델파이 조사 설문지는 2차 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최종 합의된 연계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작성하였다. 3차 설문지는 2차 설문지의 51개 항목에서 합의도, 수렴도, 신뢰도에 의해 추려진 25개 항목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3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이와 같이 전체 전문가의 응답 평균과 자기 자신의 응답 값을 비교함으로써 자신의 의견에 대해 재고 및 수정할 기회를 제공하였다. 만일 자신의 의견이 전체 평균 응답결과의 사분위수 범위를 벗어날 경우, 그와 같은 평가를 내린 이유를 함께 기록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의 재가간호서비스는 상이한 사업 주체와 대상자의 중복이 심하여 제도 및 서비스 제공 차원에서 상호간의 효율적인 연계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우리나라 재가간호서비스간의 효율적 연계를 위한 기초적인 방안을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결과적으로 우리나라 재가간호서비스의 연계방안은 제도적 차원과 의료적 차원이라는 2개의 차원에 각각 담당인력의 연계방안, 재가간호서비스의 비용 연계방안, 관리감독기관의 연계방안, 중복되는 주요질환에 대한 연계방안, 중복되는 서비스 대상자의 연계방안, 중복서비스 방지를 위한 연계방안의 6개의 영역, 24개의 항목으로 구체화되었다.
이러한 문제제기는 본 연구에서 지적한 재가간호 서비스의 연계방안으로서의 모습과 일치한다. 다만 연계방안의 세부내용에서 알 수 있듯이 서비스 시간을 일률적으로 확정하는 것은 환자 관리에 부적절 할 수 있으므로 방문 시 환자상태에 따른 관리가 필요하며 시간 조정 시 명확한 근거가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제도적 차원의 비용 연계와 관련하여 김용순은 재가간호 수가에 재료비와 교통비 등이 모두 포함되어 있어 운영에 어려움이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23]. 이는 연계방안 가운데 원가계산에 근거하여 도출한 비용체계를 준수해야 한다는 항목과 연결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연계방안의 세부항목으로서 재료를 포함한 원가 뿐 아니라 간호사 또는 전문간호사의 경력과 능숙한 간호제공능력에 대한 보상 또한 포함되어야 한다는 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델파이 기법을 활용하여 우리나라 재가간호서비스의 연계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보건소 방문건강관리사업, 의료기관 가정간호사업, 노인장기요양보험 방문간호사업관련 18명의로 구성된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고 이 중 설문에 응답한 14명을 대상으로 3차례의 델파이 조사를 통해 연계방안을 개발하였다.
제안 방법
1) 문헌고찰과 델파이 기법을 이용한 설문조사를 통해 보건소 방문건강관리사업, 의료기관 가정간호사업, 노인장기요양보험 방문간호사업의 특성을 파악한다.
결과를 종합하여 주요 논지를 확인 · 정리한 결과, 1차 설문지는 ①담당인력의 자격, ②비용의 문제, ③각 사업이 담당하는 주요 질환의 중복, ④재가간호 대상자의 중복, ⑤재가간호서비스의 중복, ⑥관리감독체계의 분산이라는 6개 주요 주제로 구성되었다. 이 설문지에서는 현재의 재가간호서비스 현황을 보여주는 비교표를 작성한 후 6개의 주제 영역에 대하여 재가간호서비스의 연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추구해야 할 핵심과제가 무엇인지에 대한 개방형 자유 의견을 기록하도록 하였다. 추가 연계 방안에 대한 자유 의견은 각 영역별로 최소 3가지 이상을 제안하도록 요청하였다.
1차 델파이 설문 조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6개의 연계방안 수립을 위한 주제 영역은 크게 제도적 차원과 의료적 차원의 2가지 영역으로 범주화되었다. 제도적 차원의 연계방안은 담당인력과 재가간호서비스의 비용, 관리감독기관의 연계방안으로 분류되었고, 의료적 차원의 연계방안은 중복되는 주요 질환과 중복 서비스 대상자, 그리고 중복 서비스 방지를 위한 연계방안으로 분류되었다. 1차 델파이 설문 조사 결과 도출된 총 51개 연계방안 항목에 대하여 Likert 5점 척도를 이용하여 2차 델파이 조사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제도적 차원의 연계방안은 담당인력과 재가간호서비스의 비용, 관리감독기관의 연계방안으로 분류되었고, 의료적 차원의 연계방안은 중복되는 주요 질환과 중복 서비스 대상자, 그리고 중복 서비스 방지를 위한 연계방안으로 분류되었다. 1차 델파이 설문 조사 결과 도출된 총 51개 연계방안 항목에 대하여 Likert 5점 척도를 이용하여 2차 델파이 조사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7 이상을 기준으로 하였다[22]. 아울러 전문가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용하기 위해 재가간호서비스 연계방안에 대한 추가의견을 기술하거나, 항목에 대해 수정, 삭제, 첨부가 가능하도록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3차 델파이 조사 설문지는 2차 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최종 합의된 연계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작성하였다. 3차 설문지는 2차 설문지의 51개 항목에서 합의도, 수렴도, 신뢰도에 의해 추려진 25개 항목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먼저 각 항목별로 2차 델파이 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항목별 평균, 표준편차, 사분위수 범위를 표기하였다.
3차 설문지는 2차 설문지의 51개 항목에서 합의도, 수렴도, 신뢰도에 의해 추려진 25개 항목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먼저 각 항목별로 2차 델파이 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항목별 평균, 표준편차, 사분위수 범위를 표기하였다. 다음 같은 항목에 대하여 각 개인마다 2차 델파이 조사에서 응답한 값을 표기하여 전체 전문가의 응답 평균과 자기 자신의 응답 값을 비교할 수 있도록 하였다.
먼저 각 항목별로 2차 델파이 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항목별 평균, 표준편차, 사분위수 범위를 표기하였다. 다음 같은 항목에 대하여 각 개인마다 2차 델파이 조사에서 응답한 값을 표기하여 전체 전문가의 응답 평균과 자기 자신의 응답 값을 비교할 수 있도록 하였다. 3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이와 같이 전체 전문가의 응답 평균과 자기 자신의 응답 값을 비교함으로써 자신의 의견에 대해 재고 및 수정할 기회를 제공하였다.
1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재가간호서비스 연계방안에 대한 191개의 의견이 나열되었고, 그 내용을 분석하고 항목별로 대표 단어로 입력하여 유사한 대표 단어를 묶어서 그 횟수를 기록하였다. 각 항목별 의미가 유사하거나 동일하다고 판단되는 항목들을 통합하여 6개 주제 영역의 51개의 연계방안 항목을 도출하였고, 이 가운데 제도적 차원의 연계방안 항목은 26개, 의료적 차원의 연계방안 항목은 25개였다.
1차 델파이 조사 결과를 통해 연계방안은 두 개의 범주, 제도적 차원의 연계방안과 의료적 차원의 연계방안으로 나누어졌다. 또한 1차 델파이에서 선정한 51개 항목 가운데, 내용타당도 비율(CVR)이 0.
본 연구는 델파이 기법을 활용하여 우리나라 재가간호서비스의 연계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보건소 방문건강관리사업, 의료기관 가정간호사업, 노인장기요양보험 방문간호사업관련 18명의로 구성된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고 이 중 설문에 응답한 14명을 대상으로 3차례의 델파이 조사를 통해 연계방안을 개발하였다.
대상 데이터
방법 본 연구는 델파이 설문조사의 전문가 집단은 재가간호서비스를 실제로 담당하고 있는 전문간호사 또는 해당 전공의 간호학 교수, 관련 학회 임원을 대상으로 하였다. 구체적으로 간호관리 또는 지역사회간호 전공 교수 6명, 방문간호사회와 가정간호사회의 임원진인 전문 간호사 6명, 가정간호학회와 방문건강관리학회의 이사진 2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이들은 모두 연구 참여에 동의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2012년 1월 12일부터 2012년 4월 9일까지 진행되었다. 1차 설문 조사에서는 설문지를 배포한 18인 가운데 14인의 전문가가 응답하여 응답 율은 77.
재가간호서비스 연계방안에 대한 전문가집단의 내용 타당도는 Lawshe가 제시한 내용타당도 비율(content validity ratio: CVR)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이에 따르면 델파이 기법을 이용할 때 전문가 수가 14인일 경우의 CVR을 0.
성능/효과
결과를 종합하여 주요 논지를 확인 · 정리한 결과, 1차 설문지는 ①담당인력의 자격, ②비용의 문제, ③각 사업이 담당하는 주요 질환의 중복, ④재가간호 대상자의 중복, ⑤재가간호서비스의 중복, ⑥관리감독체계의 분산이라는 6개 주요 주제로 구성되었다.
2) 델파이 기법을 통해 보건소 방문건강관리사업, 의료기관 가정간호사업, 노인장기요양보험 방문간호 사업의 연계방안을 개발한다.
1차 델파이 설문 조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6개의 연계방안 수립을 위한 주제 영역은 크게 제도적 차원과 의료적 차원의 2가지 영역으로 범주화되었다. 제도적 차원의 연계방안은 담당인력과 재가간호서비스의 비용, 관리감독기관의 연계방안으로 분류되었고, 의료적 차원의 연계방안은 중복되는 주요 질환과 중복 서비스 대상자, 그리고 중복 서비스 방지를 위한 연계방안으로 분류되었다.
51로 규정하였다[20]. 여기에 기초하여 내용타당도의 기준을 CVR 0.51로 정하였고, 0.51이상일 때 항목에 대한 내용타당도가 적합한 것으로 보았다. 또한 의견수렴과 합의정도를 분석하기 위한 수렴도는 0.
제도적 차원의 연계방안에서는 ‘질환의 중증도에 따른 간호담당인력을 등급화 및 서비스시간의 조정’, ‘간호조무사에 대한 전문간호사의 감독’, ‘감독기관의 통합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여러 재가간호서비스의 공동연계체제를 위한 협력’, ‘재가간호서비스와 관련된 국가차원의 D/B 구축’, ‘인력수요 관리감독을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의 항목이 최종 합의되었다.
1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재가간호서비스 연계방안에 대한 191개의 의견이 나열되었고, 그 내용을 분석하고 항목별로 대표 단어로 입력하여 유사한 대표 단어를 묶어서 그 횟수를 기록하였다. 각 항목별 의미가 유사하거나 동일하다고 판단되는 항목들을 통합하여 6개 주제 영역의 51개의 연계방안 항목을 도출하였고, 이 가운데 제도적 차원의 연계방안 항목은 26개, 의료적 차원의 연계방안 항목은 25개였다.
888로, 2차 델파이 조사에서와 마찬가지로 높은 신뢰도를 나타냈다. 기존의 25개 연계방안 중1개 항목의 CVR이 0.51 이하로 나타나 탈락하고 최종 24개 항목으로 축약되었다. 탈락한 항목은 ‘전문간호사 위주의 인력 배치’로 CVR이 0.
연계방안 항목별 중요도 결과를 살펴보면, 대체적으로 2차 조사 때보다 각 항목의 표준편차가 감소하고 24개 항목 모두 중요도 평균이 4.00 이상으로 측정되어 각 연계방안 항목별 전문가 패널의 의견이 더욱 좁혀져 합의점에 도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평균이 4.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우리나라 재가간호서비스간의 효율적 연계를 위한 기초적인 방안을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결과적으로 우리나라 재가간호서비스의 연계방안은 제도적 차원과 의료적 차원이라는 2개의 차원에 각각 담당인력의 연계방안, 재가간호서비스의 비용 연계방안, 관리감독기관의 연계방안, 중복되는 주요질환에 대한 연계방안, 중복되는 서비스 대상자의 연계방안, 중복서비스 방지를 위한 연계방안의 6개의 영역, 24개의 항목으로 구체화되었다.
각각의 연계항목이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우선 제도적 차원의 담당인력 연계방안 중 서비스 시간의 조정에 관해, 가정간호서비스의 부문별 만족도 가운데 가정간호 제공시간에 대한 불만도가 높다는 것이 지적되었다. 이러한 문제제기는 본 연구에서 지적한 재가간호 서비스의 연계방안으로서의 모습과 일치한다.
연구결과 전문가가 중요하다고 합의한 재가간호서비스 연계방안은 제도적 차원의 연계와 의료적 차원의 연계라는 두 영역 내에 24개 항목으로 취합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24개의 구체적인 연계방안은 향후 재가 간호사업 체계의 개선과 제공되는 서비스 질의 향상, 대상자의 만족도 증대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서비스의 중복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함으로서 국가적 차원에서 복지 및 국민 건강관리의 효율성을 증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후속연구
또한 담당인력의 역할 규정 및 간호조무사에 대한 전문간호사의 감독 등에 대해서 김용순은 재가간호를 위한 전문적인 재가간호 인력 배치 및 석사 수준의 전문 간호교육을 지적하였다[23]. 본 연구에서도 이러한 선행연구 결과에 동의하나, 현실적 측면에 있어서 전문간호사 제도가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간호조무사에 대한 엄격한 기준 제시는 또 다른 간호의 제약을 가져올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에도 수긍하며, 이에 대한 보다 면밀한 추후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제도적 차원의 관리감독에 관한 연계방안에서는 김의숙 등이 보건소 공공근로 방문간호 사업에 관한 D/B 구축을 방문간호사업 활성화의 주요한 요소로 제시한 선행연구 결과와 일치하였다[24]. 이는 현재 복수의 재가간호서비스가 존재한다는 측면에서 더욱 의미있는 연계방안으로, 김의숙 등이 지적한 바와 같이 기존에 구축되어 있는 D/B를 활용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공통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혹은 관리기구를 마련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재가서비스 관리, 재가인프라 구축이 가능할 것이다.
위의 모든 것들을 종합해 볼 때, 본 연구에서 제안한 연계방안은 재가간호의 사업 체계 개선 및 재가간호서비스의 수준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며, 서비스의 중복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함으로서 의료재원 및 국민복지의 재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나아가 국민의 건강관리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연구결과 전문가가 중요하다고 합의한 재가간호서비스 연계방안은 제도적 차원의 연계와 의료적 차원의 연계라는 두 영역 내에 24개 항목으로 취합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24개의 구체적인 연계방안은 향후 재가 간호사업 체계의 개선과 제공되는 서비스 질의 향상, 대상자의 만족도 증대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서비스의 중복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함으로서 국가적 차원에서 복지 및 국민 건강관리의 효율성을 증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아울러 이를 통해 결과적으로 국민의료비의 절감 효과도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먼저 본 연구에서 살펴본 재가간호서비스 연계방안 중 제도적 차원의 연계방안은 본 연구에 참여한 각 분야별 전문가와 실무자의 의견이 반영된 것이지만, 이외에도 법적, 행정적 차원의 문제와 긴밀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를 정책적으로 반영하기 위해서는 신중을 기하여야 한다. 즉 본 연구는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의료행정기구 및 그 담당자와의 의견 수렴을 합의를 거치지 못하였기 때문에 후속연구에서 보다 다양한 분야의 많은 전문가 집단의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건소의 방문건강관리사업과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방문간호사업의 서비스 중복률은?
이와 같이 현재 우리나라의 재가간호서비스는 세 개의 주체를 통해 분산적으로 운영되고 있는데, 이처럼 재가간호서비스가 주체의 상이함에 따라 서비스 제공자와 대상자의 중복에 의한 사회적 비효율이 발생하고 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 따르면 보건소의 방문건강관리사업과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방문간호사업은 39.8%의 서비스 중복률을 보이고 있으며, 의료기관의 가정간호 사업과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방문간호사업은 90.1%의 서비스 중복률을 보였다[12][13].
보건소의 방문건강관리사업의 한계점은?
보건소의 방문건강관리사업은 저소득층을 주요 대상으로 지역사회의 재가 환자 수용에 높은 기여를 하고 있다. 그러나 사업의 성격상 방문간호사의 간호활동이 진단과 교육 및 상담에 치우치는 경우가 많으며, 과다한 관리대상 수에 비해 방문간호 인력의 부족으로 인해 양질의 재가간호 제공, 고난이도의 간호기술을 요할 경우, 적합한 간호서비스 제공에 한계점이 있음이 지적되어 왔다[3-5].
보건소 방문건강관리사업은 무엇을 의미하나?
보건소 방문건강관리사업은 보건소의 전담인력이 가정 또는 시설을 방문하여 가족 및 가구원의 건강문제를 발견하고 건강증진, 질병예방 및 관리, 만성질환자 관리를 위하여 적합한 보건의료서비스를 직접 제공하거나 의뢰․연계함으로써 가족과 지역주민의 자가관리 능력을 개선하고, 건강수준을 향상시키는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의 방문간호서비스를 의미한다[15].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