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설탕에 대한 Glycemic Index(GI) 저감효과가 있는 D-Xylose의 적정 농도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roper D-Xylose Concentration in Sugar Mixture to Reduce Glycemic Index (GI) Value in the Human Clinical Model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5 no.4, 2012년, pp.787 - 792  

문성현 (대한제당 중앙연구소) ,  이경선 (대한제당 중앙연구소) ,  경명옥 (대한제당 중앙연구소) ,  정상원 (대한제당 중앙연구소) ,  박윤제 (차의과학대학교 바이오산업응용학과) ,  양창근 (대한제당 중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설탕의 Glycemic index(GI) 저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D-xylose의 적정 농도를 조사하는 것이다. 그 결과, 5% D-xylose 첨가 설탕의 GI는 일반설탕의 GI 수치인 68에 비해 약 27.5% 낮은 49.3이었으며, 10% D-xylose 첨가 설탕의 GI는 약 25.9% 낮은 50.4로 확인되었다. D-xylose 첨가 설탕의 GI는 D-xylose의 농도 증가에 따라 의존적으로 감소하지는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5% D-xylose 첨가 설탕(XyloSugar)의 GI 저감효과가 10% D-xylose 첨가 설탕(XyloSugar10)의 GI 저감효과와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D-xylose는 설탕에 비해 고가일 뿐만 아니라 감미도도 설탕보다 낮다. 그러므로 D-xylose의 농도가 낮을수록 가격, 맛에 있어서 장점이 있다. 따라서 설탕의 GI 저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D-xylose의 적정 농도는 5%(w/w)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per concentration of D-xylose which is expected to reduce the GI (Glycemic index) value of sucrose in the human body. When subjects took a sucrose mixture containing 5% and 10% D-xylose, the blood glucose levels were lowered by approximately 27.5...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혈당 지수(Glycemic index, GI) 측정 실험을 통해 인체에서 D-xylose가 10%(w/w) 이하의 농도에서 설탕의 GI 저감효과를 확인하고, 적정한 D-xylose의 농도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혈당지수란? 혈당지수(Glycemic index, GI)는 식후에 탄수화물의 흡수속도를 반영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기준이 되는 식품과 비교하려는 특정 식품의 식후 혈당의 반응 정도를 나타낸다 (Jenkins 등 1981). 측정식품 속에 포함된 탄수화물 50 g을 섭취한 후 혈당의 반응곡선 면적을 표준식품인 흰 빵이나 포도당 50 g을 섭취한 후에 나타나는 혈당반응곡선 면적으로 나눈 후 100을 곱하여 계산한다.
당알콜계 물질을 과잉 섭취하면 어떤 문제가 발생되는가? 반면에, 설탕이 비만이나 과체중의 원인이 아니며, 사람들을 살찌게 만드는 것은 설탕보다 고지방 식품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가 있으며(Parnell 등 2008), 설탕의 섭취를 줄였음에도 불구하고, 비만인구는 늘었다는 보고가 있어(Barclay 등 2011) 건강에 대한 설탕의 부정적인 인식은 분분한 상태이다. 설탕의 대용으로 sorbitol, maltitol 등을 포함하는 당알콜과 aspartame, acesulfame K 등의 인공감미료를 사용하고 있으나, 당알콜계 물질은 과잉 섭취 시 소화장애를 유발하고, aspartame은 페닐케톤뇨증 환자의 섭취가 제한되는 등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으며, 감미질이나 물성면에 설탕에 못 미쳐 그 용도가 제한적이다(Homer 1984; Nam 등 1989; Pong 등 1991; Park 등 1992, Nelson 2000).
혈당지수는 어떻게 계산되는가? 혈당지수(Glycemic index, GI)는 식후에 탄수화물의 흡수속도를 반영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기준이 되는 식품과 비교하려는 특정 식품의 식후 혈당의 반응 정도를 나타낸다 (Jenkins 등 1981). 측정식품 속에 포함된 탄수화물 50 g을 섭취한 후 혈당의 반응곡선 면적을 표준식품인 흰 빵이나 포도당 50 g을 섭취한 후에 나타나는 혈당반응곡선 면적으로 나눈 후 100을 곱하여 계산한다. GI 수치가 70 이상이면 high GI, 56~69이면 medium GI, 55이하이면 low GI 세 개의 그룹으로 나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Asano T, Yoshmura Y, Kunugita K. 1996. Sucrase inhibitory activity of D-xylose and effect on the elevation of blood glucose in rats. J Jpn Soc Nutr Food Sci 49:157-162 

  2. Bae YJ, Bak YK, Kim BS, Kim MS, Lee JH, Sung MK. 2011. Coconut-derived D-xylose affects postprandial glucose and insulin responses in healthy individuals. Nutr Res Pract 5:533-539 

  3. Barclay AW, Brand-Miller J. 2011. The Australian paradox: A substantial decline in sugars intake over the same timeframe that overweight and obesity have increased. Nutrients 3:491-504 

  4. Bischoff H. 1995. The mechanism of $\alpha$ -glucosidase inhibition in the management of diabetes. Clin Invest Med 18:303-31 

  5. Brand-Miller JC, Haholt S, Pawlak DB, McMillan J. 2002. Glycemic index and obesity. Am J Clin Nutr 76:281-285 

  6. Brand Miller JC. 1994. Importance of glycemin index in diabetes. Am J Clin Nutr 59:747S-752S 

  7. Campbell D. 2011. Experts call for 10% 'fat tax' on soft drinks to prevent obesity. The Guardian. Wednesday 21 December 2011 16.59 GMT 

  8. Foster-Powell K, Holt SH, Brand-Miller JC. 2002. International table of glycemic index and glycemic load values: 2002. Am J Clin Nutr 76:5-56 

  9. Frost G, Leeds AA, Dore CJ, Madeiros S, Brading S, Dornhorst A. 1999. Glycaemic index as a determinant of serum HDLcholesterol concentration. Lancet 353:1045-1048 

  10. Hauri H, Wacker H, Rickli E, Meier B, Quaroni A, Semenza G. 1982. Biosynthesis of sucrase-isomaltase. J Biol Chem 257: 4522-4528 

  11. Hodge AM, O'dea K, English DR, Giles GG. 2004. Glycemic index and dietary fiber and the risk of type 2 diabetes. Diabetes Care 27:2701-2706 

  12. Homler BE. 1984. Properties and stabililty of aspartame. Food Technol 38:50-55 

  13. Jenkins DJ, Jenkins Al. 1995. Nutrition principles and diabetes. A role for "lente carbohydrate?" Diabetes Care 18:1491-1498 

  14. Jenkins DJ, Wolever TM, Taylor RH, Barker H, Fielder H, Baldwin JM, Bowling AC, Newman HC, Jenkins Al, Goff DV. 1981. Glycemic index of food: A physiological basis for carbohydrate exchange. Am J Clin Nutr 34:362-366 

  15. Kim KY, Nam KA, Kurihara H, Kim SM. 2008. Potent aglucosidase inhibitors purified from the red alga Grateloupia elliptica. Phytochemistry 69:2820-2825 

  16. Krog-Mikkelsen I, Hels O, Tetens I, Holst JJ, Andersen JR, Bukhave K. 2011. The effects of L-arabinose on intestinal sucrase activity: Dose-response studies in vitro and in humans. Am J Clin Nutr 94:447-453 

  17. Lee C, Shin JS. 2002. The effect of dietary fiber content of rice on the postprandial serum glucose response in normal subject. Korean J Food & Nutr 15:173-177 

  18. Lee MH, Lee JS, Lee TH, Koo JG, Lee YC, Jeong SW, Nahmgung B, Yang HC. 2009. Effects of added buckwheat (Fagopyrum esculentum) extract on starch hydrolysis in vitro and glucose responses in healthy subjects. Korean J Food & Nutr 22:625-632 

  19. Ludwig DS. 2000. Dietary glycemic index and obesity. J Nutr 130:280S-283S 

  20. Liu S, Willett WC, Stampfer MJ, Hu FB, Franz M, Sampson L, Hennekens CH, Manson JE. 2000. A prospective study of dietary glycemic load, carbohydrate intake, and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in US women. Am J Clin Nutr 71:1455-1461 

  21. Matsui T, Yoshimoto C, Osajima K, Oki T, Osajima Y. 1996. In vitro survey of $\alpha$ -glucosidase inhibitory food components. Biosci Biotechnol Biochem 60:2019-2022 

  22. Nam SJ, Kim KO. 1989. Characteristics of Sikhye (Korean traditional drink) made with different amount of cooked rice and malt and with different sweeteners. Korean J Food Sci Technol 21:197-202 

  23. Nelson AL. 2000. Sweeteners: Alternative. Properties of High Intensity Sweeteners. pp.17-29. Eagan Press, St. Paul, MN, USA 

  24. Nelson AL. 2000. Sweeteners: Alternative. Special Topics. pp. 91-95. Eagan Press, St. Paul, MN, USA 

  25. Oki T, Matsui T, Osajima Y. 1999. Inhibitory effect of $\alpha$ - glucosidase inhibitors varies according to its origin. J Agric Food Chem 47:550-553 

  26. Park SM, Lee SR. 1992. Estimation of the total dietary intake of saccharin by Korean popul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4:563-567 

  27. Parnell W, Wilson N, Alexander D, Wohlers M, Williden M, Mann J, Gray A. 2008.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ugars and obesity. Public Health Nutr 11:860-866 

  28. Pong L, Johnson JM, Barbeau We, Stewart DL. 1991. Evaluation of alternative fat and sweetener systems in cupcakes. Cereal Chem 68:552-555 

  29. Puls W, Keup U. 1975. Inhibition of sucrase by Tris in rat and man, demonstrated by oral loading tests with sucrose. Metabolism 24:93-98 

  30. Saito N, Sakai H, Sekihara H, Yajima Y. 1998. Effect of an a-glucosidase inhibitor (voglibose), in combination with sulphonilureas, on glycaemic control in type 2 diabetes patients. J Int Med Res 26:219-232 

  31. Salmeron J, Manson JE, Stampfer MJ, Colditz GA, Wing AL, Willett WC. 1997. Dietary fiber, glycemic load, and risk of non-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in women. JAMA. 277:462-467 

  32. Seri K, Sanai K, Matsuo N, Kawakubo K, Xue C, Inoue S. 1996. L-Arabinose selectively inhibits intestinal sucrase in an uncompetitive manner and suppresses glycemic response after sucrose ingestion in animals. Metabolism 145:1368-1374 

  33. Stanik S, Marcus R. 1980. Insulin secretion improves following dietary control of plasma glucose in severely hyperglycemic obese patients. Metabolism 29:346-350 

  34. Toeller M. 1994. $\alpha$ -Glucosidase inhibitors in diabetes: Efficacy in NIDDM subjects. Eur J Clin Invest 24:31-35 

  35. Wolever TM, Jenkins DJ, Jenkins AL, Josse RG. 1991. The glycemic index method ology and clinical implication. Am J Clin Nutr 51:846-854 

  36. Wolever TM, Jenkins DJ, Vuksan V, Jenkins AL, Wong GS, Josse RG. 1992. Benefical effect of low-glycemic index diet in overweight NIDDM subjects. Diabetes Care 15:562-564 

  37. Ziambaras T, Rubin DC, Perlmutter DH. 1996. Regulation of sucrase-isomaltase gene expression in human intestinal epithelial cells by inflammatory cytokines. J Biol Chem 271:1237-1242 

  38. (주)네오뉴트라. 2012. Glycemic index (GI) 연구 보고서 - '자일로슈가, 자일로슈가10'-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