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규합총서(閨閤叢書)」에 수록된 떡의 종류 및 조리법에 대한 고찰
A Literature Review Investigation Collecting and Cooking Methods of Tteok (Rice Cake) in 「Gyuhapchongseo」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5 no.4, 2012년, pp.1061 - 1067  

김준희 (김포대학교 호텔조리과) ,  정항진 (김포대학교 호텔외식산업학과) ,  오왕규 (계명문화대학 식품영양조리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조선 후기 고문헌인 "규합총서(閨閤叢書)"에 나타난 떡의 종류 및 조리방법을 고찰하여 떡의 종류, 떡에 사용된 재료, 떡의 조리법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여 전통조리법을 이해하고, 현재의 기호와 식생활에 맞게 재창조하는 데 필요한 문헌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규합총서(閨閤叢書)"는 조선시대 빙허각 이씨가 한글로 쓴 가정대백과 전서이다. '주식의편'에 요리법을 소개하고 있으며, 떡의 분류와 함께 28종의 떡이 기록되어 있다. 연구방법은 내용분석 방법(Contents Analysis)을 이용하였다. 떡을 조리형태에 따라 분류하면 찌는 떡 15가지(53.5%), 치는 떡 2종류(7.1%), 삶는 떡3종류(10.7%), 지지는 떡 7가지(25%), 기타 1가지(3.5%)로 찌는 떡이 53.5%로 가장 많았다. 떡의 주재료에 따라 분류한 결과, 찹쌀이 13회, 멥쌀이 10회, 기타가 5회로 나타났다. 떡의 주재료로는 찹쌀이 12회(42.8%), 멥쌀이 10회(35.7%), 기타가 6회(21.4%)로 찹쌀이 멥쌀보다 많이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재료는 꿀, 잣, 대추 순으로 많이 사용하였고, 연육, 검인, 수시, 생마, 송기, 백봉령 등 약제도 부재료로 사용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ice cake is the most historical food which has been developed from settlement of agriculture and typical traditional food which has manufacture and food historical meaning. Because, the process of rice flour, raw ingredient of rice cake, tells remarkable food processing technology of our nation,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우리나라 식 문화적 측면에서 떡의 역사적 고찰 및 관련된 문헌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선 후기 고문헌인 「규합총서(閨閤叢書)」에 나타난 떡의 종류 및 조리방법을 고찰하여, 떡의 종류, 떡에 사용된 재료, 떡의 조리법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여 전통조리법을 이해하고, 현재의 기호와 식생활에 맞게 재창조하는 데 필요한 문헌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 그러나 우리나라 식 문화적 측면에서 떡의 역사적 고찰 및 관련된 문헌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선 후기 고문헌인 「규합총서(閨閤叢書)」에 나타난 떡의 종류 및 조리방법을 고찰하여, 떡의 종류, 떡에 사용된 재료, 떡의 조리법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여 전통조리법을 이해하고, 현재의 기호와 식생활에 맞게 재창조하는 데 필요한 문헌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 본 연구에서는 1815년 빙허각 이씨가 저술한 원본과 정양완(1975)이 번역하고, 보진재가 발간한 「규합총서(閨閤叢書)」와 윤숙자(1999)가 번역한 「규합총서(閨閤叢書)」를 연구 자료로 활용하여 이들 조리서에 수록된 떡류의 종류와 조리법을 고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규합총서에 기록된 떡을 조리 형태에 따라 분류하면? 「규합총서」에 기록된 떡을 조리형태에 따라 분류하면 찌는 떡 15종류(53.5%), 치는 떡 2종류(7.1%), 삶는 떡 3종류(3.7%), 지지는 떡 7종류(25%), 기타 1종류(3.5%)로 기록되어 있다. 규합총서에 기록된 떡을 조리형태에 따라 분류한 내용은 Table 1과 같다.
규합총서에 송편의 조리법은 어떻게 기록되어 있는가? 멥쌀가루를 수분을 충분히 주어 쪄낸 다음, 꽤 쳐서 적당히 떼어 얇게 소가 비치게 판다. 거피팥에 꿀, 계피가루, 후추가루, 건강가루를 넣어 달게 반죽하여 소를 만든다. 여기에 거피팥소를 넣어 너무 잘고 동글면 야하니 버들잎처럼 빚어 솔잎을 놓아 다시 쪄내면 맛이 유난히 좋다.
조선 시대 후기 생활문화 연구에 규합총서가 중요한 자료인 이유는? 당시 가정에서 부녀자들이 알아야 하고, 행해야 할 집안 살림에 대한 내용이 상세하고 풍부하게 수록되어 있어 조선시대 가정백과전서로 일컬어진다. 규합총서는 200여 년 전 당시의 생활규모와 수준 및 다양성 등 일상적인 삶의 모습을 엿볼 수 있어 조선시대 후기 생활문화를 연구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Kang IH 1983). 또한 순 한글고어체로 쓰여 진 이 책은 국어 국문학적인 가치 또한 뛰어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Han BR. 1999. Making Tteokpp in delicious, easy and beautiful way. pp.5-6. Institute of Korean Royal Cuisine 

  2. Jung YW. 1975. Gyuhapchongseo. pp108-125 Bojinjai 

  3. Kang IH. 1983. History of Dietary Culture. pp.120-185 Samyoung 

  4. Kassarjian HH. 1977. Content analysis in consumer research.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4(1):8-19 

  5. Kim GW, Lee SW. 1986. Analytical study on the cooking in Zu Bang Moon. J Korean Sdc 1(4):336 

  6. Kim JH. 2010. A study on the sort and recipe of food. Ph.D. Thesis Kyonggi Uni. Seoul. Korea 

  7. Kim KA. 1991. A literature review on Korean rice-cakes. Home Es 7:2 

  8. Kim SB, Hwang HS. 1988. A study on the sacrificial rite food of Korean traditional religion: Primitive ethnic religion. J Korean Sdc 3(3):120 

  9. Kim US. 2008. Literature review on the cooking methods of the side dishes in Chosun dynasty. Ph.D. Thesis, Kyunghee Uni. Seoul. Korea 

  10. Kim WR. 1964. An archaeological study of ancient Korean culture. Research os Ins. Korea Uni. Seoul. Korea 

  11. Kim YI. 1989. A study on the table setting of Korean ceremonial foods. J Korean Sdc 4:8 

  12. Eum CA, Chang MS, Yoon SJ. 1996. Korean Food. pp.25-27 Hyo-il 

  13. Lee HJ. 1997. Analysical study on Tteok in Joseon dynasty. J Korean Sdc 45:113 

  14. Lee HJ. 1998. Food culture of Joseon dynasty. J Korean Sdc 4:2 

  15. Lee JM. 1992. Study on the origin and process of rice cake. J Korean Fs 7:2 

  16. Mang YS, Lee CH. 1987. A literature review on Korean ricecakes. J Korean Sdc 2:117-131 

  17. Moon JW. 1999. A study on Tteok. Pusan Women's College. Collected papers. Busan. Korea. pp.20-45 

  18. Oh SD. 2009. Literature investigation on the ingredient and cooking methods of Korean rice cake(Tteok). Ph.D. Thesis, Korea Uni. Seoul. Korea 

  19. Shin MJ. 2002. Korean Tteok Hangwa and Drink. pp.34-36 Shin-gang 

  20. Yoon SG. 1982. A study on the developing process and cooking method of Tteok. Andong National Uni. Collected papers. Andong. Korea. 4:70-73 

  21. Yoon SJ. 1998. Korean Tteok, Hangwa, and Drink. pp.10-15, Jigu 

  22. Yoon SJ. 1999. Gyuhapchongseo. pp.178-229, Jilsiru 

  23. Yoon DI. 1987. Study on the comparision of changes and development statues between Korean Dock and Japanese Mochi. J Korean Fs 12:10-12 

  24. 빙허각 이씨. 1815. 규합총서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