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방문건강관리사업 대상자의 자기역량 정도
Factors Influencing Empowerment of Customized Home Visiting Health Care Services Beneficiaries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26 no.3, 2012년, pp.491 - 503  

박정숙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  오윤정 (경남도립거창대학 간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empowerment an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empowerment. Method: Subjects included 767 clients registered with the customized home visiting health services in Daegu.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from June 3 to July 30, 2011. Descriptive statis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건강문제를 가진 경제적 취약계층인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 대상자의 자기역량 정도와 이와 관련있는 변수를 파악함으로써 대상자의 자기역량 강화를 위한 간호중재를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방문건강관리사업 대상자의 자기역량 정도를 파악하고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과의 관련 정도를 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 대상자의 자기역량 정도와 이와 관련 있는 특성을 분석하기 위함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 대상자의 자기역량 정도와 자기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여 대상자의 자기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를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 대상자의 자기 역량 점수는 3.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 대상자의 자기역량 정도와 자기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여, 자기역량 강화를 위한 간호중재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방문건강관리사업이란? 방문건강관리사업은 보건기관의 전문인력이 가정 또는 시설을 방문하여 가족 및 가구원의 건강문제를 발견하고 개인의 건강수준에 적합한 맞춤형 건강관리서비스를 직접 제공하거나 의뢰·연계함으로써 가족과 지역주민의 자기관리 능력을 개선하고 건강수준을 향상시키는 사업이다. 2011년 보건복지부 맞춤형 방문건강 관리사업의 비전은 건강수명 연장, 취약계층의 건강형평성 확보, 건강지지적 환경을 제공하는 건강국가이며, 이러한 비전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목표로는 취약계층 등록관리율 유지, 취약가족 관리, 자기건강관리 능력 향상, 노인관리 및 영유아 등록관리율의 향상이 있다.
2011년 보건복지부 맞춤형 방문건강 관리사업의 비전은? 방문건강관리사업은 보건기관의 전문인력이 가정 또는 시설을 방문하여 가족 및 가구원의 건강문제를 발견하고 개인의 건강수준에 적합한 맞춤형 건강관리서비스를 직접 제공하거나 의뢰·연계함으로써 가족과 지역주민의 자기관리 능력을 개선하고 건강수준을 향상시키는 사업이다. 2011년 보건복지부 맞춤형 방문건강 관리사업의 비전은 건강수명 연장, 취약계층의 건강형평성 확보, 건강지지적 환경을 제공하는 건강국가이며, 이러한 비전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목표로는 취약계층 등록관리율 유지, 취약가족 관리, 자기건강관리 능력 향상, 노인관리 및 영유아 등록관리율의 향상이 있다.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의 대상자들은 건강위험 요인과 건강문제의 조절 여부에 따라 집중관리군, 정기관리군, 자기역량지원군으로 구분되어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으며, 이전의 방문건강관리사업에 비해 취약계층의 자기역량의 향상을 강조하고 있다(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2011).
취약계층 중 경제적으로 취약한 여성들의 특징은? Ham, Kim과 Lee (2008)의 연구와 Cho와 Kim (2007)의 연구에서는 취약계층은 저소득, 고연령, 저학력이 많고, 보건 의료 접근성이 낮기 때문에 건강상 높은 위험요인을 가지고 있으며, 상병률과 사망률이 높을 뿐만 아니라 삶의 질이 타 계층에 비해 떨어지는 취약성을 보인다고 하였다. Ahn, Kim, Kim과 Song (2010)의 연구에서도 경제적으로 취약한 여성들은 건강문제, 경제적 어려움 및 심리적 부담감 등으로 인해 자존감의 저하, 무력감과 우울 등의 정서적인 문제를 나타내고 삶의 질 저하도 초래한다고 하였다. 이처럼 취약계층은 타계층에 비해 보다 많은 문제를 가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hn, Y. H., Kim, K. Y., Kim, G. Y., & Song, H. Y. (2010). Effects of an empowerment program on health quality of life,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self-care competency, and reasonable medical care utilization among low income women household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4(2), 237-248. 

  2. Byun, E. K. & Jun, S. S. (2011).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in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using mental health cent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2), 157-166. 

  3. Cakir, S. G. & Yerin Guneri, O. (2011). Exploring the factors contributing to empowerment of Turkish migrant women in the UK.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logy, 46(3), 223-233 

  4. Cho, Y. H. (2008). Factors affecting the poverty: the focus on householders characteristics. Catholic Journal of Social Science, 24, 43-65. 

  5. Cho, Y. H. & Kim, G. S. (2007). Family characteristics and self-care ability in visiting nursing service based on urban public health care.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1(1), 15-24. 

  6. Choi, E. J. (2011). The effect of participation of mentally disabled in self-help group on empower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Seoul. 

  7. Choi, G. A. (2010). Elderly diabetic's self -management program implemented by intervention research: based on empowerment perspective. Unpublished doctoral's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8. Chong, M. A. (1996). Research on socio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esire survey of public welfare cl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angnam University, Seoul. 

  9. Ehrhardt, A. A., Sawires, S., McGovern, T., Peacock, D., & Weston, M. (2009). Gender, empowerment, and health: what is it, how does it work? Journal of 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s, 51(3), 96-105. 

  10. Ha, J. Y., Yun, O. J., & Ahn, Y. M. (2010). Relationship between empowerment and falls efficacy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2(3), 191-199. 

  11. Ham, O. K., Kim, B. J., & Lee, Y. A. (20080. Cardiovascular disease risk according to socioeconomic factors among low-income midlife women.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2(1), 27-38. 

  12. Jeong, J. (2011). Decision factors of self -support business participants' empower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am University, Gwangju. 

  13. Jung, D. J. (2005). The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the empowerment practice perceived by people with mental disord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Seoul. 

  14. Kim, S. J. (2008). A study on empowerment of the mentally Ill. Unpublished master's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15. Kwon, S. Y. (2011). A study on the impaction on the social exclusion to the self-sufficiency program of the poor female-headed households: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empower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16.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affairs. (2011). The guidance of tailored home visiting health service. Seoul: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17. Moon, M. J. (2005). Correlational study of IADL, self-esteem, empowerment of elderly people living at hom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2(3), 382-388. 

  18. Park, E. Y. (2005). A study on the effect of self-help group's empowerment on establishing social welfare policy.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yunkwon University, Seoul. 

  19. Park, M. H. (2002). Health promoting lifestyle and self-empowerment in climacteric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s Health Nursing, 8(2), 201-211. 

  20. Parsons, R. J. (1994). Empowerment based social work practice: a study of process and outcomes.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41st annual program meeting, Council on Social Work Education, San Diego, CA. 

  21. Parson, R. J., Gutierrez, L. M., & Cox, E. O. (1999), Empowerment in social work practice: a source book. California: Pacific Grove, CA: Brooks/Cole publishing Company. 

  22. Rayne, M. (1997). Empowerment and advocacy, Modern social work theory (2rd ed). Chocago: Lyceum Books. 

  23. Reininger, B. M., Perez, A., Aguirre Flores, M. I., Chen, Z., & Rahbar, M. H. (2012). Perceptions of social support, empowerment and youth risk behaviors. The Journal of Primary Prevention, 33, 33-46. 

  24. Sigurdardotti, A. S. & Jonsdottir, H. (2007). Empowerment in diabetes care: towards measuring empowerment. Scandinavian Journal of Caring Sciences, 22(2), 284-29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