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lanching에 따른 세발나물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pergularia marina Griseb by Blanching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9 no.6, 2012년, pp.866 - 872  

이재준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해옥 (초당대학교 조리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주로 blanching하여 나물로 섭취되고 있는 염생식물인 세발나물을 가지고 데침 과정에 의하여 일반성분, 유리당, 구성 아미노산, 유기산, 비타민 및 무기질 등의 주요 성분 함량 변화를 측정하였다. Blanching에 의해 탄수화물의 함량은 증가하였고, 조단백질, 조지방 및 조회분의 함량은 감소되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세발나물의 총 유리당 함량은 blanching에 의해 62.50% 감소되었고, 유리당 중 galactose의 감소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생 세발나물에 비하여 데친 세발나물의 총 구성 아미노산 및 필수 아미노산의 함량의 함량은 각각 12.17%와 11.78% 감소되었고, 검출된 모든 구성 아미노산의 함량 모두 blanching에 의해 감소되었으나, 생 세발나물과 데친 세발나물의 총 아미노산에 대한 필수 아미노산의 비율은 비슷하게 나타났다. 총 유기산 함량은 blanching에 의해 15.75% 감소되었고, 검출된 유기산 중 acetic acid를 제외한 4종의 유기산 함량 모두 blanching에 의해 감소되었다. 비타민 C와 E의 함량은 각각 17.84%와 27.12% 감소되었고, 총 무기질 함량은 21.18% 감소되었으며 생 세발나물에 가장 많이 함유된 Na 함량의 손실이 가장 컸다. 본 연구 결과 세발나물은 다량의 유용한 영양성분들을 함유하고 있어 식품 소재로 개발 가능성이 높아 앞으로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blanching에 의해 유리당, 구성 아미노산, 유기산, 비타민 및 무기질 등의 성분들이 감소되어 앞으로 이러한 성분들의 손실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 blanching 조건이 연구되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pergularia marina Griseb by blanching. The proximate composition, free sugar, free amiao acid, organic acid, vitamin and mineral composition of raw and blanching Spergularia marina Griseb were compared. After blan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재 세발나물은 재배 면적이 증가하고 있으나, 전남 서부지역을 제외하고는 그 존재가 잘 알려져 있지 않고, 세발나물에 관한 연구는 극히 미진한 실정으로 세발나물의 신수요 창출을 위한 다양하고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세발나물의 식품 소재화 및 장기보존을 위한 수단으로 blanching 처리하여 동결 저장 후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세발나물의 영양학적 특징은? 무안, 신안, 영암, 함평 및 해남 등지 등의 전남 서부지역에서 생산되며 보통 산야채류는 봄에 출하되는데 비해 세발나물은 10월부터 5월까지 산채류의 출하가 드문 가을과 겨울에도 출하가 이루어지고 있다. 세발나물은 섬유소와 엽록소가 풍부해 변비에 효과가 탁월하고 Ca과 K, 천연 무기질 등이 풍부할뿐만 아니라 콜린, 베타카로틴, 비테인 등 다양한 기능성 성분이 함유돼 노화 방지에도 효능이 있다. 또한 강한 내건성 및 내한성으로 겨울철에 노지에서도 생산이 가능하므로 생산비가 적게 들고 저온기에 생산함으로써 친환경 채소로 이용하기에 적합하여 농가소득 증대를 위한 대체 작물로 생산량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1)
세발나물이란? 1) 세발나물(Spergularia marina Griseb)은 석죽과 (Caryophyllaceae)에 속하며 주로 해안 갯벌 근처와 간척지의 미경작지에 생육하는 염생식물로 갯개미자리라고도 불린다. 높이는 10∼20 cm로 밑쪽에서 여러 개로 갈라지고 윗부분과 꽃받침에 선모가 있으며, 잎은 마주나고 반원기둥형 줄 모양으로 가늘고 길며 끝이 뾰족하다.
세발나물의 형태학적 특징은? 1) 세발나물(Spergularia marina Griseb)은 석죽과 (Caryophyllaceae)에 속하며 주로 해안 갯벌 근처와 간척지의 미경작지에 생육하는 염생식물로 갯개미자리라고도 불린다. 높이는 10∼20 cm로 밑쪽에서 여러 개로 갈라지고 윗부분과 꽃받침에 선모가 있으며, 잎은 마주나고 반원기둥형 줄 모양으로 가늘고 길며 끝이 뾰족하다. 무안, 신안, 영암, 함평 및 해남 등지 등의 전남 서부지역에서 생산되며 보통 산야채류는 봄에 출하되는데 비해 세발나물은 10월부터 5월까지 산채류의 출하가 드문 가을과 겨울에도 출하가 이루어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Heo BG, Park YJ, Park YS, Hee IM, Taek OK, Cho JY (2009) Distribution status, physicochemical composition,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Spergularia marina cultivated.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ence, 20, 181-191 

  2. Kang JS, Cho HR, Han JS, Hur SH (2003) Hot water dipping treatment to improve storage quality of green red pepper. Korean J Food Preserv, 10, 261-266 

  3. Jung JY, Lim JH, Jeong EH, Kim BS, Jeong MC (2007) Effect of blanching conditions and salt concentrations on the quality properties of Aster scaber . Korean J Food Preserv, 14, 584-590 

  4. Jung BM, Park JA, Bae SJ (2008) Growth inhibitory and quinone reductase induction activities of Salicornia herbacea L. fractions on human cancer cell lines in vitro.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48-153 

  5. Lee HJ, Kim YA, Ahn JW, Lee BJ, Moon SG, Seo Y (2004) Screening of peroxynitrite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from salt marsh plants. Korean J Biotechnol Bioeng, 19, 57-61 

  6. Cho YS, Kim SI, Han YS (2008) Effects of slander glasswort (Salicornia herbacea L.) extract on improvements in bowel function and constipation relief.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326-331 

  7. Ihm BS, Lee JS (1986) The strategies of Salicornia herbacea and Suaeda japonic for coping with environmental fluctuation of salt marsh. Korean J Environ Biol, 4, 15-25. 

  8. Jo YC Ahn JH, Chon SM, Lee KS, Bea TJ, Kang DS (2002) Studies on pharmacological effects of glasswort (Salicornia herbacea). Korean J Medicinal Corp Sci, 10, 93-99 

  9. Kim MH, Shin MK, Hong GJ, Kim KS, Lee KA (2010) Quality assessment of soybean curd supplemented with saltwort (Salicornia herbacea L). Korean J Food Cookery Sci, 26, 406-412 

  10. Kim MH, Hong GJ (2011) Qualities of soybean dasik with added saltwort (Salicornia herbacea L) powder. Korean J Food Culture, 26, 501-505 

  11. Min BM (1998) Vegetation on the west coast of Korea. Ocean and Polar Res, 20, 167-178 

  12. Kim MH, Park SY, Jeong YJ, Yoon KY (2012) Sensory properties of Kalopanax pictus and Cedrela sinensis shoots under different blanching conditions and with different thawing methods. Korean J Food Preserv, 19, 201-208 

  13. AOAC (200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8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14. Gancedo M, Luh BS (1986) HPLC analysis of organic acid and sugars in tomato juice. J Food Sci, 51, 571-573 

  15. Waters Associates (1990) Analysis of amino acid in waters. PICO, TAG system, Young-in Scientific Co Ltd, Korea, p 41-46 

  16. Kim DH, Lim DW, Bai S, Chun SB (1997)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whole soybean meju model system inoculated with 4 Bacillus strain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1006-1015 

  17. Rizzolo A, Formi E, Polesello A (1984) HPLC assay of ascorbic acid in fresh and processed fruit and vegetables. Food Chem, 14, 189-199 

  18. Kim MH, Jang HL, Yoon KY (2012)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haetsun vegetables by blanchi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647-654 

  19. Cha JY, Jeong JJ, Kim YT, Seo WS, Yang HJ, Kim JS, Lee YS (2006) Detection of chemical characteristics in hamcho (Salicornia herbacea L) according to harvest periods. J Life Sci, 16, 683-690 

  20. Kim JA, Lee JM (2004) Changes of chemical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Hizikia fusiformis (Harvey).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0, 219-226 

  21. Park SS, Jang MS, Lee KH (1994) Effect of blanching condition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spinach grown in winter greenhouse. J Korean Soc Food Nutr, 23, 62-67 

  22. Kim YH (1973) A study on the variation of vitamin C content in cooked spinach by the cookery method. KHEA, 11, 44-56 

  23. Choi NS, Oh SS, Lee JM (2001) Changes of biologically functional compounds and quality properties of aster scaber (chamchwi) by blanching condi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745-752 

  24. Lee BM, Shim SI, Lee SG, Kang BH, Chung IM, Kim KH (1999) Physiological response on saline tolerance between halophytes and glycophytes. Korean J Environ Agric, 18, 61-65 

  25. Kim JH, Song JY, Lee JM, Oh SH, Lee HJ, Choi HJ (2010) A Strudy on physiochemical property of Salicornia herbaciea & Suaeda japonica. J Fd Hyg Safety, 25, 170-179 

  26. Fennema OG (1996) Food chemistry. 3rd ed. Marcel Deckker. New York. USA, p 543 

  27. Lim SJ (1992) Retention of ascorbic acid in vegetables as influenced by various blanching methods. Korean J Soc Food Sci, 8, 411-4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