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성인 남성의 신체활동과 건강관련 요인 비교
The Comparison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Related Factors of the Korean Male Adult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14 no.3, 2012년, pp.166 - 173  

김지수 (한림성심대학교 간호과) ,  이경남 (한림성심대학교 간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find differences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health-related factors of Korean male adults. Methods: Using the 2010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HANES V-1), the data of 1,876 Korean males over 30 years old who completed the Health I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한국 성인 남성의 신체활동수준을 확인하고 신체활동군별 건강관련 요인의 차이를 확인하여 이들 변수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신체활동 수준은 고 신체활동군은 2.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성인 남성의 신체활동에 대한 이해와 신체 활동 실천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간호중재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지만 대상자의 신체활동정도와 개인, 신체건강 및 정신건강관련 변수와의 인과관계는 확인할 수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 고려되지 못했지만 신체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변인을 포함한 상황관련 수준의 연구와 남성의 신체 활동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간호 중재 개발을 제언한다.
  • 본 연구는 한국 성인 남성의 신체활동군별 건강관련 요인의 차이를 확인하여 이들 변수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성인 남성 중 고 신체활동군은 2.
  • 본 연구는 한국 성인 남성의 신체활동정도 및 신체활동군 간 건강관련 요인의 차이를 확인하여 이들 변수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한국 성인 남성의 신체활동정도와 신체활동군 간 건강관련 요인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시도되었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주민을 대상으로 조사된 국민건강 영양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최근 만성질환의 유병률은 높지만 신체활동 실천율은 감소되고 있는 남성의 신체활동에 따른 활동군과 비활동군 간의 신체건강 및 정신건강 관련 특성의 차이를 확인하여 대상자의 신체활동에 대한 이해와 신체활동 실천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간호중재 개발에 기여하고자 한다.
  • 이상의 본 연구는 지역사회 주민을 대상으로 조사된 대표성 있는 표본을 이용하여 개인, 신체건강 및 정신건강관련 변인을 포함한 다차원적인 접근으로 우리나라 남성의 신체활동과 건강관련 변인과의 차이를 확인하였고 신체활동수준의 경우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여러 나라에서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된 IPAQ를 이용하였다. 이에 우리나라 성인 남성의 신체활동에 대한 이해와 신체활동 실천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간호중재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하지만 본 연구는 단면적인 연구이므로 대상자의 신체활동정도와 개인, 신체건강 및 정신건강관련 변수와의 인과관계는 확인할 수 없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2000년대 10대 사망원인은 무엇이 대부분을 차지하는가? 실제 2000년부터 2010년까지 우리나라의 10대 사망원인 중 사고사와 자살을 제외하고는 악성 신생물, 뇌혈관 질환, 심장 질환, 당뇨병, 고혈압성 질환과 같은 만성 비전염성 질환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Statistics Korea, 2011), 이러한 만성 비전염성 질환에서 비만과 신체활동은 수정 가능한 주요 위험요인으로 여겨지고 있다 (Herman, Hopman, Vandenkerkhof, & Rosenberg, 2012).
규칙적인 신체활동은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규칙적인 신체활동은 심폐지구력, 근력, 근지구력 및 유연성 등건강관련 체력요소의 증가, 비만 예방 및 고혈압 유병의 감소와 인슐린 감수성과 내당능 기능 항진에 도움을 주며 혈중 지질성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Bremer, Auinger, & Byrd, 2009; Herman, Hopman, Vandenkerkhof, & Rosenberg, 2012; Park & Kim, 2011; Park, Kim, Kang, & Lee, 2007; Pescatello et al., 2004; Waden et al.
기존의 치료 위주의 건강관리체계가 만성 비전염성 질환의 예방 및 건강증진을 중요시하는 관점으로 변화하게 된 배경은? 전반적인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인한 식생활 변화와 의료 기술 발달은 질병 양상을 급성 전염성 질환에서 만성 비전염성 질환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이에 기존 치료 위주의 건강관리체계는 만성 비전 염성 질환의 예방 및 건강증진을 중요시하는 관점으로 변화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hn, S. J. (2006). Socioeconomic status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south Ko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 Bize, R., Johnson, J. A., & Plotnikoff, R. C. (2007). Physical activity level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general adult population: a systematic review. Preventive Medicine, 45, 401-415. 

  3. Bremer, A. A., Auinger, P., & Byrd, R. S. (2009). Relationship between insulin resistance-associated metabolic parameters and anthropometric measurements with sugar-sweetened beverage intake and physical activity levels in US adolescents: findings from the 1999-2004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rchives of Pediatrics & Adolescent Medicine, 163, 328-335. 

  4. Choe, M. A., Hah, Y. S., Kim, K. S., Yi, M., & Choi, J. A. (2008). A study on exercise behavior, exercise environment and social support of middle-aged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 101-110. 

  5. Choe, M. A., Kim, J. I., Chae, Y. R., Jeon, M. Y., & Yoo, C. H. (2004). Level of physical activity and relationship of factors related to physical activity in Korean elderly.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6, 99-106. 

  6. Choi, E. H., & Seo, J. Y. (2011). Framingham risk score by general characteristics and physical activity: based on the 4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37, 85-96. 

  7. Craig, C. L., Marshall, A. L., Sjostrom, M., Bauman, A. E., Booth, M. L., Ainsworth, B. E., et al. (2003).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12-country reliability and validity.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35, 1381-1395. 

  8. Duncan, G. E., Perri, M. G., Theriaque, D. W., Hutson, A. D., Eckel, R. H., & Stacpoole, P. W. (2003). Exercise training, without weight loss, increases insulin sensitivity and post heparin plasma lipase activity inpreviously sedentary adults. Diabetes Care, 26, 557-562. 

  9. Herman, K. M., Hopman, W. M., Vandenkerkhof, E. G., & Rosenberg, M. W. (2012). Physical activity, body mass index,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canadian adults. Medicine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44, 625-636. 

  10. IPAQ Research Committee. (2005). Guidelines for data processing and analysis of the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IPQA) - short and long forms. revised november 2005. 

  11. Kim, J. E. (2009). A study on the mental health and regular exercise of the aged: based on the secondary data of '2007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Seoul, Seoul. 

  12. Kim, J. Y., & Park, S. M. (2012). Impact of level of physical activity on healthcare utilization among Korean adul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2, 199-206. 

  13. Kim, S. Y., Yun, J. E., Kim, H. J., & Jee, S. H. (2011). The relation of physical activity by the IPAQ to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V 2007-2008.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8(2), 15-25. 

  14.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1). Korea health statistics 2010 :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1). Seoul: Korea Ministry of Health & Welfare. 

  15. Korean Diabetes Association. (2007). Treatment guideline for diabetes. Seoul: MMK Communications. 

  16. Korean Endocrine Society, &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010). Management of obesity, 2010 recommendation. The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 Metabolism, 25, 301-304. 

  17. Lee, K. W., Park, K. S., Kang, Y. S., Kim, R. B., Kim, B. K., & Seo, A. R. (2009). The association of family support and self-rated health status of low-income middle-aged wome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6(3), 15-23. 

  18. Lee, Y. H., Ko, S. H., & Kang, J. H. (2006). Physical activity and hypertension of the elderly in rural area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7, 472-481. 

  19. Moon, S. M. (2012). Physical activities and related factors among low-income middle-aged people.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6, 38-50. 

  20.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2004-a). The seventh report of the Joint National Committee on preventi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pressure.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1.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2004-b). Implications of recent clinical trials for the ATP III guideline.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2. Park, J. Y., & Kim, N. H. (2011).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insulin resistance in the middle-aged adult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3, 245-252. 

  23. Park, M., Kim, B. R., Kang, S. J., & Lee, D. K. (2007). Effects of regular exercise on health-related fitness,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and vascular inμammation factors in the male. Health and Sports Medicine, 9, 69-76. 

  24. Pescatello, L. S., Franklin, B. A., Fagard, R., Farquhar, W. B., Kelley, G. A., & Ray, C. A. (2004).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position stand. exercise and hypertension.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Exercise, 36, 533-536. 

  25. Ross, R., Dagnone, D., Jones, P. J., Smith, H., Paddags, A., Hudson, R., et al. (2000). Reduction in obesity and related comorbid conditions after diet-induced weight loss or exercise-induced weight loss in me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33, 92-103. 

  26. Shapses, S. A., & Manson, J. E. (2011). Vitamin d and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and diabetes.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305, 2565-2566. 

  27. Statistics Korea. (2011).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Seoul. 

  28. Waden, J., Tikkanen, H., Forsblom, C., Fagerudd, J., Pettersson-Fernholm, K., Lakka, T., et al. (2005). Leisure time physical activity is associated with poor glycemic control in type 1 diabetic women: the finndiane study. Diabetes Care, 28, 777-782. 

  29. You, K. U., & Yoo, B. W. (2010). The correlation between physical activity, negative emotion, economic level and mental health condition of elderly people. Korean Journal of Sport Psychology, 21, 197-205. 

  30. Yu, G. W., Min, S., Park, J. K., Kim, H. S., Ha, Y. J., & Kim, Y. S. (2010). The effect of walking exercise program in the middle aged women on physiological index.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2, 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