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연소 · 고령 노인의 성별에 따른 건강 및 영양상태 비교 조사 연구
Nutritional Status, Nutrients Intakes, and Health Status of Young-old and Old-old Homebound Elderly in Korea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14 no.3, 2012년, pp.183 - 192  

최스미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최명애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김금순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이명선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서은영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서민희 (서울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Number of the old-old elderly is rapidly increasing in Korea, but it is unclear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old-old and young-old elderly in nutritional status, nutrient intakes and health status. The gender differences in Korean elderly in these conditions also remains unknown.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고령 노인의 성별에 따른 영양상태, 영양소 섭취량, 그리고 건강상태와 생활습관 관련 인자를 조사하고 이를 연소 노인의 영양상태, 영양소 섭취량, 그리고 건강상태 및 생활습관 관련인자와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국내 재가 노인의 영양상태, 영양소 섭취량, 그리고 건강상태와 생활습관 관련 인자를 조사하고 연령 및 성별에 따른 특성을 조사하고자 하는 횡단적, 비교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고령 노인의 성별에 따른 영양상태, 영양소 섭취량을 사정하고 이를 건강상태, 생활습관 관련노인과 조사하여 이를 연소 노인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고령 노인의 성별에 따른 영양상태와 영양소 섭취량을 처음으로 조사하고 이를 건강상태와 관련지어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 본 연구에서는 고령 노인의 성별에 따른 영양상태, 영양소 섭취량을 사정하고 이를 건강상태, 생활습관 관련노인과 조사하여 이를 연소 노인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고령 노인의 성별에 따른 영양상태와 영양소 섭취량을 처음으로 조사하고 이를 건강상태와 관련지어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 본 연구에서는 포괄적으로 노인의 영양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세가지 생화학적 지표 중 1개와 4가지 신체계측치 지표 중 한 개 이상이 정상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 영양상태가 불균형이 있는 것(영양 불량, 또는 영양과다)으로 판정하였으며(Choi-Kwon et al., 1998). 판정을 위해 다음과 같이 신체계측과 생화학 검사를 시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 콜레스테롤인 남자 고령노인에게 권장하는 비타민 A 급원 식품은 무엇인가? 이러한 차이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아마도 지역적인 특성에 의한 것일 수도 있다. 비타민 A는 특히 동물성 식품 중에서는 간, 달걀에 많으나 이 식품은 콜레스테롤 함량 또한 높으므로 우리나라 남자 고령노인에서 고 콜레스테롤 증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감안하면 녹황색채소 특히 시금치, 부추, 갓, 취, 당근, 토마토 등의 섭취를 권장할 수 있다. 그러나 치아상태가 좋지 않은 노인의 경우 비타민 A와 베타 카로틴의 또 다른 급원인 김, 늙은 호박, 고구마, 귤등의섭취를권장할수있다(Choi, 2011).
우리나라 노인의 단백질 섭취량이 충분하다고 추측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또한 본 연구 결과 대상자의 알부민 수치가 높고 단백질 섭취량이 충분한 것은 한국인 특유의 단백질 식이 종류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이는 우리나라 노인의 경우 서양과 달리 경제상태와 무관하게 콩 종류 식품인 두부 섭취가 많고 또한 노인의 경우 잡곡 특히 콩 종류를 잡곡에 섞어 밥을 지어 식물성 단백질의 섭취가 높았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도 노인의 단백질 섭취량은 권장량의 120% 이상인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식이 섭취량 중 된장찌개 또는 된장국 섭취량을 따로 분석한 결과 89%의 노인이 날마다콩발효식품인된장국또는된장찌개를하루1회이상섭취하고있다고보고하여위에제시한본연구자의주장을뒷받침한다.
노인이란 무엇인가? 노인이란 환경변화에 적절히 적응할 수 있는 조직기능 및 생체의자아통합 능력, 조직의 예비능력이 감퇴되고 인체의 기관, 조직, 기능에쇠퇴현상이일어나생체의적응능력이점차결손되는65세이상의 사람을 말한다(International Association of Gerontology, 1951). 본 연구에서 65-74세의 노인 중 연소 노인(young-old), 75세 이상 노인을고령노인(old-old)으로정의하였다(Neugarten, 199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dams, K. F., Schatzkin, A., Harris, T. B., Kipnis, V., Mouw, T., Ballard-Barbash, R., et al. (2006). Overweight, obesity, and mortality in a large prospective cohort of persons 50 to 71 years old.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55, 763-778. 

  2. Brownie, S. (2006). Why are elderly individuals at risk of nutritional deficienc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12, 110-118 

  3. Castel, H., Shahar, D., & Harman-Boehm, I. (2006). Gender dierences in factors associated with nutritional status of older medical patients.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Nutrition, 25, 128-134. 

  4. Chen, C. C., Schilling, L. S., & Lyder, C. H. (2001). A concept analysis of malnutrition in the elderl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36, 131-142. 

  5. Choi-Kwon, S., Yang, Y. H., Kim, E. K., Jeon, M. Y., & Kim, J. S. (1998). Nutritional status in acute stroke: undernutrition versus overnutrition in different stroke subtypes. Acta Neurologica Scandinavica, 98, 187-192. 

  6. Choi, H. M. (2011). Nutrition for 21st century. Paju: Kyomunsa. 

  7. Cohen, J. (Ed.).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ition ed.).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8. Craig, C. L., Marshall, A. L., Sjostrom, M., Bauman, A., Booth, M., Ainsworth, B., et al. (2003).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12-country reliability and validity.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35, 1381-1395. 

  9. Daco, D. S. (2007). Market report 2007-07. Seoul: Jinhan M & B. 

  10. Dubos, R. (1987). Mirage of Health: Utopias, Progress, and Biological Change. Piscataway: Rutgers University Press. 

  11.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Gerontology. (1951). Report on the 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f Gerontology, 1951. 

  12. Kang, & Cho, M. S. (1994). A study on nutritional status and its related factors in elderly Koreans with ages.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7, 361-372. 

  13. Kang, J. H., Jeong, B. G., Cho, Y. G., Song, H. R., & Kim, K. A. (2010). Medical expenditure attributable to overweight and obesity in adults with ischemic heart disease and stroke in Korea.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7(4), 83-90. 

  14. Kim, Y. K., Cho, M. R., Kim, R., & Cho, Y. W. (2002). Food habits, nutrients intake, and disease distribution according to sasang constitutions in the elderly aged over 65 years(II).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7, 76-85. 

  15. Kim, H. Y., Cho, M. S., Chang, Y. A., Won, H. S., & Lee, H. S. (2001). Clinical nutrition. Seoul: Shinkwang Press. 

  16. Kwon, J. S., & Lee, H. J. (2003).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living in songnam.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16, 310-320. 

  17. Lee, H. J., Park, S. J., Kim, J. H., Kim, C. I., Chang, K. J., Yim, K. S., et al. (2002).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evaluating nutritional status of 50 yr and older subjects in Korean.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7, 277-285. 

  18. Lin, J. W., Carey, J. L., Chang, M. H., & Lin, Y. S. (2010). Sex, menopause, metabolic syndrome, and all-cause and cause-specific mortality--cohort analysis from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95, 4258-4267. doi: 10.1210/jc.2010-0332 

  1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0). Korea health statistics 200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IV-3). Seoul. 

  20. Neugarten, M. (1996). The Meanings of Age: Selected Papers.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1. Park, K. A., Lee, H. J., Park, M. S., Lee, J. H., Jeon, S. E., Kim, J. S., et al. (2002). Studies on alterations in taste perception of Korean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iatrics Society, 12, 299-319. 

  22. Park, K. A., Park, Y. H., Kim, S. J., Suh, E. Y., Park, M. S., Suh, M. H., et al. (2010). A study on the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and nutrient intakes in elderly Korean female.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Nursing Science, 4, 39-47. 

  23. Park, K. A., Sim, Y. M., Kim, S. B., & Choi-Kwon, S. (2006). A study of the nutritional status and its related factors in the elderly hemodialysis patients.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39, 133-144. 

  24. Perissinotto, E., Pisent, C., Sergi, G., & Grigoletto, F. (2002). Anthropometric measurements in the elderly: age and gender dierences. The British Journal of Nutrition, 87, 177-186. 

  25. Pi-Sunyer, F. X. (2000). Overnutrition and undernutrition as modifiers of metabolic processes in disease states. 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72(2 Suppl), 533S-537S. 

  26. Ritchie, C. S., Burgio, K. L., Locher, J. L., Cornwell, A., Thomas, D., Hardin, M., et al. (1997). Nutritional status of urban homebound older adults.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66, 815-818. 

  27. Ro, H. K., & Oh, K. A. (2003). Gender and age dierences in the nutritional status of the low income elderly living in gwangju.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8, 302-310. 

  28. Seoul National Univerisity Bundang Hospital. (2009). Standardization of Korean version of MMSE for Dementia Screening. Seoul: Seoul National Univerisity Bundang Hospital. 

  29. Son, S., & Kim, M. J. (2001). Nutritional status and utilization of public health center of elderly.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6, 218-226. 

  30. Vikan, T., Schirmer, H., Njolstad, I., & Svartberg, J. (2009). Endogenous sex hormones and the prospective association with cardiovascular disease and mortality in men: the Tromso Study. European Journal of Endocrinology 161, 435-442. 

  31. Volkert, D., Kreuel, K., Heseker, H., & Stehle, P. (2004). Energy and nutrient intake of young-old, old-old and very-old elderly in Germany. Europe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1190-12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