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다문화가정 유아의 어린이집 경험이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 한국어능력의 조절효과
Effects of Experiences in Child-Care Centers on Communication Ability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Moderating Effect of Mothers' Korean Fluency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50 no.8, 2012년, pp.65 - 77  

임양미 (Departmen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Jeonju University) ,  박주희 (Department of Child and Family Studies, Yonsei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w mothers' Korean fluency and children's experiences in child-care centers influenced the communication ability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subjects were 600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ho enrolled in child-care centers in Gyeonggi prov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상에서 언급한 연구의 필요성을 토대로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한국어능력, 유아의 어린이집 재원기간, 다문화가정 유아를 위한 어린이집에서의 언어지도가 다문화가정 유아의 의사소통능력에 어떠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한국어능력과 다문화가정 유아의 어린이집 경험(재원기간, 다문화가정 유아 언어지도)이 다문화가정 유아의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독립적인 영향과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한국어능력과 어린이집 경험의 상호복합적인 영향력을 통합적으로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다문화가정 영유아 보육료 전액지원 등으로 다문화가정 유아의 어린이집 이용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현 시점에서 다문화가정 유아의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어린이집의 영향에 대한 어머니 한국어능력의 조절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어린이집과 가정을 연계한 종합적 지원방안을 함께 제안해보고자 한다.
  •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한국어능력, 유아의 어린이집 재원 기간, 다문화가정 유아를 위한 어린이집에서의 언어지도가 유아의 의사소통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문화가정 유아를 보육하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는 경기도 지역에 위치한 어린이집 중 다문화가정 유아를 보육하는 곳을 대상으로 우편과 팩스를 통해 질문지를 배포하고 회수하는 과정을 거쳐 이루어졌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상에서 언급한 연구의 필요성을 토대로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한국어능력, 유아의 어린이집 재원기간, 다문화가정 유아를 위한 어린이집에서의 언어지도가 다문화가정 유아의 의사소통능력에 어떠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한국어능력과 다문화가정 유아의 어린이집 경험(재원기간, 다문화가정 유아 언어지도)이 다문화가정 유아의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독립적인 영향과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한국어능력과 어린이집 경험의 상호복합적인 영향력을 통합적으로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특히 다문화가정 영유아 보육료 전액지원 등으로 다문화가정 유아의 어린이집 이용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현 시점에서 다문화가정 유아의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어린이집의 영향에 대한 어머니 한국어능력의 조절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어린이집과 가정을 연계한 종합적 지원방안을 함께 제안해보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유아 의사소통능력의 하위차원에 대한 독립변인들의 영향력에 차이가 존재한다는 선행연구결과에 기초하여[11, 15, 37] 유아의 의사소통능력을 두 가지 하위차원인 구어능력(듣기, 말하기)과 문해능력(읽기, 쓰기)으로 나누어 평가하고, 각 하위차원에 미치는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한국어능력과 어린이집 경험의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한국어능력, 어린이집 재원기간, 다문화가정 유아를 위한 언어지도가 유아의 의사소통능력(전반적 의사소통능력, 구어능력, 문해능력)에 어떠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고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유아의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어머니의 한국어능력과 어린이집 영향력을 통합적으로 다루고, 어린이집과 가정을 연계한 언어교육의 중요성을 보여주며 그 지원방향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구체적으로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한국어능력과 다문화가정 유아의 어린이집 경험(재원기간, 다문화가정 유아 언어지도)이 다문화가정 유아의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독립적인 영향과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한국어능력과 어린이집 경험의 상호복합적인 영향력을 통합적으로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다문화가정 영유아 보육료 전액지원 등으로 다문화가정 유아의 어린이집 이용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현 시점에서 다문화가정 유아의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어린이집의 영향에 대한 어머니 한국어능력의 조절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어린이집과 가정을 연계한 종합적 지원방안을 함께 제안해보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유아 의사소통능력의 하위차원에 대한 독립변인들의 영향력에 차이가 존재한다는 선행연구결과에 기초하여[11, 15, 37] 유아의 의사소통능력을 두 가지 하위차원인 구어능력(듣기, 말하기)과 문해능력(읽기, 쓰기)으로 나누어 평가하고, 각 하위차원에 미치는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한국어능력과 어린이집 경험의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문화가정이란? 최근 우리나라의 다문화가정 수가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다문화가정이란 우리와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로 구성된 가정으로 현행법과 선행연구에서는 주로 국제결혼가정을 다루고 있다. 2011년을 기준으로 우리나라 국제결혼가정은 211,458 가구로 2007년에 비해 66% 증가한 수치이며[26], 이들 중 대부분(89.
2011년을 기준으로 우리나라 국제결혼가정은? 다문화가정이란 우리와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로 구성된 가정으로 현행법과 선행연구에서는 주로 국제결혼가정을 다루고 있다. 2011년을 기준으로 우리나라 국제결혼가정은 211,458 가구로 2007년에 비해 66% 증가한 수치이며[26], 이들 중 대부분(89.2%)은 여성이 결혼이민자인 가정이다.
여성결혼이민자는 자녀를 양육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어려움을 경험하는데 그에 대한 내용은? 특히, 여성결혼이민자는 자녀를 양육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어려움을 경험하게 된다. 우선 여성결혼이민자가 경험하는 자녀양육의 가장 큰 어려움은 언어 문제로, 한국의 언어예절에 대한 체계적인 지식이 부족하고 정확하지 않은 한국어발음 때문에 자녀의 한국어지도 및 책 읽어주기 등에서 어려움을 호소한다[32]. 둘째, 여성결혼이민자는 자녀양육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며 우리나라와 출신국 문화 간에 양육방법에 차이가 존재하는 경우가 많아 문화적 갈등을 경험한다[14, 19]. 즉, 대부분의 여성결혼이민자는 어린 나이에 결혼을 하므로 이유식 및 예방접종 등의 필수적인 육아정보가 부족하고 주위에 조언을 구할 친척이나 이웃이 없는 경우가 많다[27]. 셋째, 여성결혼이민자는 자녀와 자신에 대한 사회적 편견 속에서 자녀를 양육하므로 그 과정에서 좌절감과 불안감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이러한 양육스트레스는 어머니 자신의 심리적 건강 뿐 아니라 양육 행동에 영향을 미쳐 결국 자녀의 문제행동 및 발달지연을 유발하게 된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Ackerman-Ross, S., & Khanna, P. (1989). The relationship of high quality day care to middle-class 3-year-olds' language performance.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4, 97-116. 

  2. Carew, J. (1980). Experience and the development of intelligence in young children at home and in day care. Monograph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45, 6-7. 

  3. Chae, H. K. (2008). The literacy ability and literal home environment of multi-cultural child.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4. Cho, Y. D. (2006). A policy for multi-cultural families' child-caring support. The Policy Research Report. Seoul: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5. Choi, N. Y., Woo, H. K., Jung, H. S., Park, H. J., & Yi, S. H. (2009). Mothers' parenting stress in multicultural familie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7(2), 255-268. 

  6. Choi, Y. K., Yang, M. S., Doh, N. H., Park, H. W., Lee, J. S., Jeong, Y. K., et al. (2011). A study on survey and customer-oriented policy of multi-cultural families' child development. The Policy Research Report. Seoul: Korea Institute of Child-Care and Education. 

  7. Chung, C. H., Jung, M. Y., Kim, M. J., Heo, K. A., & Hong, H. J. (2010). A structural analysis on related variables influencing communication competence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Korea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61(1), 23-44. 

  8. Furrow, D., Nelson, K., & Benedict, H. (1979). Mothers' speech to children and syntactic development: Some simple relationship. Journal of Child Language, 6, 423-442. 

  9. Gu, S. Y. (2007). Qualitative research on the lives children of the female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s in a child care center and their families.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2(5), 95-124. 

  10. Haith, M. M., & Campos, J. J. (1977). Human infancy. Annual Review of Psychology, 28, 251-293. 

  11. Hwang, S. S., & Jeong, O. R. (2008). A study on language characteristics correlation of the children in culturally diverse family environments. Journal of Speech-Language & Hearing Disorders, 17(1), 81-102. 

  12. Hyun, J. H. (2010). A preliminary study on the supporting for caring and teaching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Journal of Child Studies, 31(1), 235-248. 

  13. Jang, M. L., Jang, H. J., Kwon, M. G., & Ham, Y. S. (2011). A policy on the multi-cultural child care of early childhood institution. The Policy Research Report. Seoul: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14. Jeon, H. J., Min, S. H., Lee, M. Y., Choi, H. Y., Cho, E. S., & Jang, S. J. (2008). A research on surveys and policy for the children of international marriage. The Policy Research Report.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5. Jeong, E. H. (2004). A study on the language development and environment of children from internationally married couple living in an agricultural village. Journal of Speech-Language & Hearing Disorders, 13(3), 33-52. 

  16. Johansen, A., Leibowitz, A., & Waite, L. J. (1996). The importance of child-care characteristics to choice of care.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58, 759-772. 

  17. Kim, W. T., & Kwon, Y. D. (2007). A case study of a multicultural child on adaptation and change in a early childhood institution.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14(4), 95-117. 

  18. Lee, H. K., Seo, H., & Kim, D. R. (2009).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in multi cultural family.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16(3), 1-24. 

  19. Lee, J. B., Kang, S, W., Kim, H. W., Lee, H. Y., & Seo, Y. M. (2008). A research on the Educational status about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y: Based on the families of international marriage. The Policy Research Report. Seoul: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 Lee, K. R., & Chung, K. S. (2011). Analysis on trends in children's multi-cultural education research: Based on M. A. thesis and Ph. D. dissertations from 2006 to 2010. Education & Culture Studies. 17(2), 5-28. 

  21. Lee, S. J., Shin, J. C., Kim, H. H., & Kim, W. S. (2008). A study on expressive vocabulary ability in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Based on K-BNTC. Journal of Speech-Language & Hearing Disorders, 17(3), 95-115. 

  22. Lim, Y. M., Song, J., Kim, H. G., Choi, M. H., & Lee, H. S. (2011). The development and administration of multi-cultural child-care programs in Gyeonggi-do. The Policy Research Report. Suwon: Gyeonggido Family & Women's Research Institute. 

  23. McCartney, K. (1984). Effect of quality of day care environment of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Developmental Psychology, 20(2), 244-260. 

  24. Ministry of Education. (1995). The observation scale of preschoolers based on the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Seoul: Ministry of Education. 

  2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1). The national child-care curriculum.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6.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2012). The Statistics of Domestic foreign residents in 2011. Seoul: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27. Moon, M. K., & Cho, H. J. (2008). A research on policy for multi-cultural families' child-care support. The Policy Research Report. Seoul: Korea Institute of Child-care and Education. 

  28. Oh, S. B. (2005). A case study on the growing of Kosian children and its social environment.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32(3), 61-83. 

  29. Park, M. K. (2007). The traits of the children from the families of multi-cultural backgrounds and the difficulties of the kindergarten teachers responsible for them: focusing on the families of marriage immigra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30. Radey, M., & Brewster, K. L. (2007). The influences of race/ethnicity on disadvantaged mothers' child care arrangement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2, 379-393. 

  31. Seo, H. A., & Kim, J. J. (2010). Analysis of research papers about multi-culture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Korea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65, 59-78. 

  32. Seo, H. J., Koo, H. A., & Lee, H. J. (2009). A studies on policy for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of Gyeonggi-do. The Policy Research Report. Suwon: Gyeonggi-do Family & Women's Research Institute. 

  33. Seo, M. H., Yang, M. S., Cho, H. J., & Jeong, E. M. (2011). A survey of multi-cultural family child caring and policy. The Policy Research Report. Seoul: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34. Shin, Y. J., & Ahn, S. W. (2008). A study of multicultural background children's phonological awareness development. Journal of Speech-Language & Hearing Disorders, 17(3), 37-53. 

  35. Statistics Korea. (2010). The survey of population. Retrieved September 9, 2011 from http://www.kosis.kr. 

  36. Turney, K., & Kao, G. (2009). Assessing the private safety net: Social support among minority immigrant parents. Sociological Quarterly, 50, 666- 692. 

  37. Woo, H. K., Juong, H. S., Choi, N. Y., Yi, S. H., & Lee, G. Y. (2009). Mothers' Korean language ability and preschoolers' language development in multicultural families. Journal of Child Studies, 30(3), 23- 36. 

  38. Yi, S. H., Kwon, M. K., & Choi, I. H. (2010). The language education of early childhood. Gyeonggi-do: Gyo-Moon Sa.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