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외벽 마감재료의 수직화재 확산 연구를 위한 실물화재 실험
The Real Scale Fire Tests for Vertical Fire Spread Study of External Finishing Material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26 no.6, 2012년, pp.85 - 91  

권오상 (서울시립대학교 재난과학과) ,  유용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화재안전연구센터) ,  김흥열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화재안전연구센터) ,  김정현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화재안전연구센터) ,  민세홍 (가천대학교 소방방재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건축물에서 화재 시 인명과 재산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초기의 화염의 확산을 억제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 화염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화재확산방지 대책은 일반적으로 방화구획에서의 구조부재의 내화 성능 확보, 마감재료의 연소 성능에 따른 사용 제한 등이 있다. 마감재료의 연소 성능 판단은 화염의 확산을 판단하기 위해 가장 기초적인 화재 안전 설계이지만 국내의 연소 시험은 시편 크기의 화재 시험 방법으로 연소 성능을 판단하고 있어 샌드위치패널 등과 같은 복합재료의 연소 성능을 판단하기에는 많은 제약을 가지고 있다. 특히 외벽 마감재료의 경우 내부 마감재료에 비해 드라이비트, 알루미늄복합패널, 메탈패널 등과 같은 다양한 복합재료 등이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외벽 마감재료의 국제시험규격인 ISO 13785-2 시험방법을 통해 외벽 마감재료의 실물 화재 실험을 통해 외벽 마감재료의 수직화재 확산 특성을 판단하고자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reduce human life and property damage at the fire in a building, it is most critical to control flame spread in the early stage. Fire spread prevention measure generally includes fire resistance performance securing of structure member in the arson zone and use limitation based on combustion per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축물 외벽 마감재료의 국제 실대형 화재 시험 방법인 ISO 13785-2 시험 방법에 의한 실대형의 수직화재 시험을 실시하여 외벽 마감재료의 수직 화재 확산 특성을 판단하여 보고 향후 외벽 마감재료의 성능 분류 및 기준 작성 시 기초 자료로 사용하고자 하였다.
  • 건축물 외벽 마감재료는 건축물에 설치되는 시공방법, 접합부의 조인트 설치방법, 이음부의 마감방법 등과 같은 세부사항 등이 포함된 화재 시험 방법이 필요함에도 현재 국내에서는 관련 표준 시험법이 제정되어 있지 못해 기존의 시편 크기의 시험으로 연소 성능을 판단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제 표준 시험 방법 및 장비의 제작을 통해 실대형의 화재 시험을 진행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국내 표준 시험방법 제정 및 외벽 마감재료 성능 분류 등에 필요한 기초 연구를 진행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행 법규상 시편 크기에 의한 연소 시험으로 성능을 판단하고 있는 건축물 외벽 마감재료의 실대형 화재 시험을 통하여 외벽 마감재료의 수직화재 특성을 판단해 보고 향후 외벽 마감재료의 연소 특성에 맞는 성능 기준 적립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국제 시험 규격인 ISO 13785-2 “Reaction to fire for facades-Part 2: Large-scale test”(이하 ISO 13785-2 시험)를 통해 외벽 마감재료의 실대형 화재 시험을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S. H. Min and J. M. Lee, "A Study on Concurrent Fire Appearance though Openings",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Vol. 26, No. 2, pp. 90-96 (2012). 

  2. J. E. Yun, S. M. Min, M. S. Kim and S. B. Choi, "A Study on the Fire Characteristics of Aluminum Composite Panel by Large Scale Calorimeter",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Vol. 24, No. 2, pp. 89-96 (2009). 

  3. Korea Fire-rating Building Material Association, "External Wall Finish Materials Survey. Research", pp. 1-3 (2001). 

  4. KS F 2271, "Testing Method for Incombustibility of Internal Finish Material and Element of Buildings". 

  5. Korea Fire-rating Building Material Association, "A Study on the Fire Safety and Reformation of Sandwich Panel", pp. 44-45 (2011). 

  6. BS 8414-1:2002, "Fire Performance of External Cladding System", pp. 3-5 (2002). 

  7. NFPA 285, "Standard Fire Test Method for Evaluation of Fir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of Exterior Non-Load-Bearing Wall Assemblies Containing Combustible Components 2006 Edition", pp. 5-8 (2006). 

  8. ISO 13785-2, "Reaction-to-fire Tests for Facades-Part 2: Large-scale Test", pp. 1-16 (2002). 

  9. O. S. Kwoen, Y. H. Yoo, H. Y. Kim and S. H. Min, "Experimental Study of Vertical Fire Spread of Exterior Wall Finishing Materials", Journal of The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2, No. 5, pp. 1-6 (2012). 

  10. Korea Fire-rating Building Material Association, "Exterior Wall Finishing Material Survey . Study", pp. 42-45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