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흑미 첨가 막걸리의 항산화 및 발효 특성
Antioxidant Activity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Black Rice Win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1 no.12, 2012년, pp.1693 - 1700  

김옥선 (장안대학교 식품영양과) ,  박성순 (한국식품연구원) ,  성정민 (한국식품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흑미를 첨가하여 막걸리를 제조하여 항산화 및 발효특성을 살펴보았다. 항산화 활성은 대조구에 비해 흑미 첨가구가 높았으며 특히 DPPH 라디칼 소거능안토시아닌 함량과 비례하였다. 발효 3일째, pH는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대조구에 비해 흑미 첨가구가 낮았다. 환원당유리당은 1일째 급격히 증가하였다가 그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발효 초기에 당화 효소 활성으로 쌀의 전분이 glucose와 maltose 등으로 분해되기 때문이다. 모든 유기산은 발효 동안 증가하였으며 lactic acid가 가장 높은 증가율을 나타내었다. 발효 동안 흑미 첨가 막걸리의 lactic acid와 succinic acid는 대조구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발효 초기 젖산균수가 증가하여 3일째 최대에 달하였으며 이는 lactic acid가 급증한 시기와 일치하였다. 또한 흑미 첨가량이 많을수록 젖산균수가 높았다. 색도는 흑미의 붉은색의 영향으로 대조구에 비해 흑미 첨가구의 a값이 높았다. 관능검사 결과 외관은 흑미 첨가구가 높은 점수를 받았으나 전체적으로 단맛과 신맛의 영향을 받아 대조구와 20% 첨가구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흑미를 첨가할수록 항산화 성분은 증가하나 관능평가 결과로 보았을 때 흑미는 20% 수준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black rice win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black rice wine was higher than the control,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howed a correlation with the anthocyanin content of rice wine. The pH remarkably dec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흑미를 첨가하여 막걸리를 제조하여 항산화 및발효특성을 살펴보았다. 항산화 활성은 대조구에 비해 흑미 첨가구가 높았으며 특히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안토시아닌 함량과 비례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흑미를 활용할 수 있는 연구로 막걸리를 제조하여 항산화성 및 발효 특성 등을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09~2010년 막걸리 수출량은 어떠한가? 1% 증가한 수준이다. 막걸리 수출량 또한 2009년 7톤에서 2010년 19톤으로 178% 증가하 였으며 국가는 일본, 미국, 중국 순으로 우리나라 전통주인 막걸리가 세계적으로 주목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앞으로도 성장의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되는 바 다양한 종류의 고품질 막걸리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7).
막걸리의 주원료는? 막걸리는 역사상 가장 오래된 술중에 하나로 맑지 않고 탁하기 때문에 탁주라고 부르기도 한다(1). 막걸리는 주원료가 이며 누룩에 포함된 미생물 중 곰팡이의 효소에 의하여 당화되며 동시에 분해된 당분은 효모가 이용하여 알코올로 전환하는 병행복발효주에 해당한다(2). 알코올 농도는 발효 조건에 따라 달라지고 최종 12~15%이며 여기에 물을 첨가 하여 6~8%의 알코올 농도를 유지하고 있다(3).
막걸리의 알코올 농도는 어떻게 되는가? 막걸리는 주원료가 쌀이며 누룩에 포함된 미생물 중 곰팡이의 효소에 의하여 당화되며 동시에 분해된 당분은 효모가 이용하여 알코올로 전환하는 병행복발효주에 해당한다(2). 알코올 농도는 발효 조건에 따라 달라지고 최종 12~15%이며 여기에 물을 첨가 하여 6~8%의 알코올 농도를 유지하고 있다(3). 막걸리에는 비타민 B군, 유기산 및 미량의 생리활성물질과 효모가 함유 되어 영양적, 기능적 가치가 높으며, 최근에는 막걸리에 대한 혈중지질 감소 효과, 암세포 성장 억제 및 항산화 활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4-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Song JC, Park HJ. 2003. Takju brewing using the uncooked germed brown rice at second stage mash.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847-854. 

  2. Rhee SJ, Lee CYJ, Kim KK, Lee CH. 2003. Comparison of the traditional (Samhaeju) and industrial (Chongju) rice wine brewing in Ko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12: 242-247. 

  3. Kwon RH, Chae GY, Ha BJ. 2011. The effects of the Makgeolri on the antioxidant activity in the endotoxin LPStreated rats. J Fd Hyg Safety 26: 166-170. 

  4. Kim MH, Kim WH, Bae SJ. 2001. The effects of Makkoli on serum lipid concentration in male rats. J Nat Sci Silla Univ 9: 73-84 

  5. Shin MO, Kang DY, Kim MH, Bae SJ. 2008. Effect of growth inhibition and quinone reductase activity stimulation of Makgeoly fractions in various cancer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288-293. 

  6. Wang SJ, Lee HJ, Cho JT, Jang MY, Park KH, Moon JH. 2012. Inhibition effect against the rat blood plasma oxidation of the makgeolli (takju) Korean rice wine. Korean J Food Preserv 19: 116-122. 

  7. NTS. 2011. Alcoholic liquors factory trends. National Tax Service, Seoul, Korea. 

  8. Defa G, Xu M. 1992. A study on special nutrient of purple glutinous rice. Scientia Agric Sinica 25: 36-41. 

  9. Wang H, Cao G, Prior RL. 1997. Oxygen radical absorbing capacity of anthocyanins. J Agric Food Chem 45: 304-309. 

  10. Fardet A, Rock E, Remesy C. 2008. Is the in vitro antioxidant potential of whole-grain cereals and cereal products well reflected in vivo? J Cereal Sci 48: 258-276. 

  11. Park YS, Kim SJ, Chang HI. 2008. Isolation of anthocyanin from black rice (Heugjinjubyeo) and screening of its antioxidant activities.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6: 55-60. 

  12. Cho JA, Cho HJ. 2000. Quality properties of Injulmi made with black rice. Korean J Soc Food Sci 16: 226-231. 

  13. Moon BK, Kim EA, Park MS, Lee DK, Lee MS, Choi BR.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black rice powder. J Hum Ecol 26: 21-28. 

  14. Joo SY, Choi HY. 2012.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black rice bran cook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82-191. 

  15. Mo EK, Kim SM, Yang SA, Jegal SA, Choi YS, Ly SY, Sung CK. 2010. Properties of baechu kimchi treated with black rice water extract. Korean J Food Preserv 17: 50-57. 

  16. Jang KI, Lee JH, Kim KY, Jeong HS, Lee HB. 2006. Quality of stored grape (Vitis labruscana) treated with ethyleneabsorbent and activated charcoa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1237-1244. 

  17. Oyaizu M. 1986. Studies on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s: antioxidative activities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amine. Jpn J Nutr 44: 307-315. 

  18. Sung JM, Lim JH, Park KJ, Jeong JW. 2008. Effects of semi-dried red pepper with a different seed ratio on the quality of Kimchi. Korean J Food Preserv 15: 427-436. 

  19. Nam SH, Kang MY. 1998. Comparison of inhibitory effect of rice bran-extracts of the colored rice cultivars on carcinogenesis. Agric Chem Biotechnol 41: 78-83. 

  20. Ichkawa H, Ichiyanagi T, Xu B, Yoshii Y, Nakajima M, Konishi T. 2001. Antioxidant activity of anthocyanin extract from purple black rice. J Med Food 4: 211-218. 

  21. Lee JC, Kim JD, Hsieh FH, Eun JB. 2008. Producing of black rice cake using ground black rice and medium-grain brown rice. Int J Food Sci Technol 43: 1078-1082. 

  22. Im JS, Lee YT.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bread substituted with black rice flour. J East Asia Soc Dietary Life 20: 903-908. 

  23. Lee SM, You Y, Kim K, Park J, Jeong C, Jhon DY, Jun W. 2012. Antioxidant activities of native Gwangyang Rubus coreanus Miq.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327-332. 

  24. Wang SJ, Lee HJ, Cho JY, Park KH, Moon JH. 2012.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oxidants from makgeolli.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14-20. 

  25. Gordon MF. 1990. The mechanism of antioxidant action in vitro. In Food Antioxidants. Hudson BJF, ed. Elsevier Applied Science, London, UK. p 1-18. 

  26. Song JC, Park HJ, Shin WC. 1997. Changes of Takju qualities by addition of cyclodextrin during the brewing and ag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895-900. 

  27. Lee SB, Ko GH, Yang JY, Oh SH. 2001. Food fermentation. Hyoil Publishing Co, Seoul, Korea. p 217-218. 

  28. Lee SJ, Kwon YH, Kim HR, Ahn BH. 2007. 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zation of Korean commercial rice wines (yakju). Food Sci Biotechnol 16: 374-380. 

  29. Cho GY, Lee CW. 1997.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fungi from Nuruk.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759-766. 

  30. Kim SC, Kim HS, Kang YJ. 1999. Changes of components in the rice-porridge fermented by nuruk.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017-1021. 

  31. Chang JO, Ryu HJ, Othani KK, Lee OK. 2001. Non-starch polysaccharides of cell walls in glutinous rice, rice and black rice. J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9: 91-102. 

  32. Lee TJ, Hwang DY, Lee CY, Son HJ. 2009. Changes in yeast cell number, total acid and organic acid during production and distribution processes of makgeolli, traditional alcohol of Korea. Korean J Microbiol 45: 391-396. 

  33. Choi SH, Kim OK, Lee MW. 1992. A study on the gas chromatographic analysis of alcohols and organic acids during Takju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4: 272-278. 

  34. Woo SM, Shin JS, Seong JH, Yeo SH, Choi JH, Kim TY, Jeong YJ.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own rice Takju by different Nuruk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301-307. 

  35. Park CW, Jang SY, Park EJ, Yeo SH, Kim OM, Jeong YJ. 2011. Comparison of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makgeolli type in South Korea. Korean J Food Preserv 18: 884-890. 

  36. Seo MY, Lee JK, Ahn BH, Cha SK. 2005. The changes of microflora during the fermentation of Takju and Yakju.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61-6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