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열처리 온도에 따른 보리 β-Glucan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arley β-Glucan with Different Heating Temperatur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1 no.12, 2012년, pp.1764 - 1770  

이상훈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장귀영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현영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우관식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황인국 (국립식량과학원 농식품자원부) ,  김기종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이미자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김태집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준수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정헌상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열처리에 따른 보리 ${\beta}$-glucan의 이화학적 특성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새쌀보리, 새찰쌀보리 및 흰찰쌀보리를 $110^{\circ}C{\sim}150^{\circ}C$에서 2시간 열처리하였으며, 총 및 수용성 ${\beta}$-glucan 함량, 순도, 분자량, 점도 및 재용해율을 살펴보았다. 3품종 보리의 총 ${\beta}$-glucan 함량은 7.77~8.40% 범위였으며, 열처리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11.59~14.65% 범위로 증가하였으나, $140^{\circ}C$$150^{\circ}C$에서는 6.30~8.33% 범위로 감소하였다. 수용성 ${\beta}$-glucan의 함량은 무처리의 4.14~4.79% 범위에서 열처리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6.11~10.29%까지 증가하였으며, $150^{\circ}C$에서는 3.01~5.60% 범위로 감소하였다. 수용성 ${\beta}$-glucan의 순도는 3품종 모두 $130^{\circ}C$까지는 31~37%범위이었으나 $140^{\circ}C$ 이상에서는 91%까지 증가하였다. 분자량은 메성보리보다 찰성보리가 더 컸으며, 열처리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새쌀보리는 606,463 Da에서 1,404 Da으로, 새찰쌀보리는 698,541 Da에서 1,617 Da으로, 그리고 흰찰쌀보리는 669,539 Da에서 1,550 Da으로 감소하였다. ${\beta}$-Glucan 수용액의 점도는 열처리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메성보리보다 찰성보리가 높았고 흰찰쌀보리보다 새찰쌀보리가 높았다. 재용해율은 무처리의 50~55% 범위에서 열처리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여 $150^{\circ}C$에서는 96.75~97.99% 범위로 증가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total and soluble ${\beta}$-glucan contents, purity,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ree heated barley varieties: Saessalbori (SSB), Saechalssalbori (SCSB), and Hinchalssalbori (HCSB). The barleys were heated at different temperatu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리 β-glucan의 저분자화를 통한 활용도 증진을 위하여 메성보리와 찰성보리를 온도별로 처리한 다음 열처리 온도에 따른 β-glucan의 함량과 순도, 점도 및 재용해성을 측정하고 온도별 분자량 분포를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분자 β-glucan을 저분자화 방법들은 어떤 단점을 갖는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분자 β-glucan을 저분자화 시키는 연구가 진행되었는데 주로 황산과 인산 등을 이용한 산 가수분해(15), cellulase 및 β-glucanase 등을 이용한 효소 가수분해(16), 초음파와 감마선 조사를 통한 물리적 방법(17,18) 등이 연구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저분자화 방법들은 효과적으로 분자량을 감소시킬 수 있지만 높은 처리비용, 낮은 수율, 긴 공정시간 및 산성 폐기물을 생성하는 등의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어(19) 효율적인 저분자화 공정이 필요한 실정이다.
β-Glucan는 보리, 귀리, 호밀, 옥수수, 밀 및 쌀 등에서 어떤 형태로 존재하는가? β-Glucan은 보리, 귀리, 호밀, 옥수수, 밀 및 쌀 등의 곡류 세포벽 다당류로서 존재하며, 그중 보리와 귀리의 종실에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다. 쌀보리와 겉보리는 약 2~8%의 총 β-glucan을 함유하고 있으며, 찰성보리가 메성보리에 비해 1.
찰성보리가 β-glucan의 주요한 공급원으로 활용될 수 있는 이유는? β-Glucan은 보리, 귀리, 호밀, 옥수수, 밀 및 쌀 등의 곡류 세포벽 다당류로서 존재하며, 그중 보리와 귀리의 종실에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다. 쌀보리와 겉보리는 약 2~8%의 총 β-glucan을 함유하고 있으며, 찰성보리가 메성보리에 비해 1.0~2.5% 정도 더 높은 함량을 가지고 있어 찰성보리가 β-glucan의 주요한 공급원으로 활용될 수 있다(1-4). 또한 β-glucan 함량은 유전 및 환경적인 조건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유전적 인자가 더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Aman P, Graham H. 1987. Analysis of total and insouble mixed-linked (1 ${\rightarrow}$ 3), (1 ${\rightarrow}$ 4)- ${\beta}$ -glucans in barley and oats. J Agric Food Chem 35: 704-709. 

  2. Hockett EA, McGuire CF, Newman CW, Prentice N. 1987. The relationship of barley ${\beta}$ -glucan content to agronomic and quality characteristics. Barley Genetics V: 851-860. 

  3. Lee YT, Lee CK. 1994. Effects of varietal variation in barley on ${\beta}$ -glucan and malting quality characteristics.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172-177. 

  4. McCleary BV, Glennie-Holmes M. 1985. Enzymatic quantification of (1 ${\rightarrow}$ 3)(1 ${\rightarrow}$ 4)- ${\beta}$ -D-glucan in barley and malt. J Inst Brew 91: 285-295. 

  5. Bourne DT, Wheeler RE. 1984. Environmental and varietal differences in total ${\beta}$ -glucan contents of barley and the effectiveness of its breakdown under different malting conditions. J Inst Brew 90: 306-310. 

  6. Henry RJ. 1986. Genetic and environmental variation in the pentosan and ${\beta}$ -glucan contents of barley, and their relation to malting quality. J Cereal Sci 4: 269-277. 

  7. Buliga GS, Brant DA, Fincher GB. 1986. The sequence statistics and solution conformation of a barley (1 ${\rightarrow}$ 3), (1 ${\rightarrow}$ 4)- ${\beta}$ -D-glucan. Carbohydr Res 157: 139-156. 

  8. Woodward JR, Fincher GB, Stone BA. 1983. Water-soluble (1 ${\rightarrow}$ 3), (1 ${\rightarrow}$ 4)- ${\beta}$ -D-glucans from barley (Hordeum vulgare) endosperm. II. Fine structure. Carbohydr Polym 3: 207-225. 

  9. Lee YT. 1996. ${\beta}$ -Glucans in barley and oats and their changes in solubility by processing. Agric Chem Biotechnol 39: 482-487. 

  10. Klopfenstein CF. 1988. The role of cereal ${\beta}$ -glucans in nutrition and health. Cereal Foods World 33: 865-866. 

  11. Bae IY, Lee SY, Kim SM, Lee HG. 2009. Effect of partially hydrolyzed oat ${\beta}$ -glucan on the weight gain and lipid profile of mice. Food Hydrocolloids 23: 2016-2021. 

  12. Bamforth CW. 1985. Biochemical approaches to beer quality. J Inst Brew 91: 154-160. 

  13. Campbell GL, Bedford MR. 1992. Enzyme applications for monogastric feeds: a review. Can J Anim Sci 72: 449-466. 

  14. Carr JM, Glatter S, Jeraci JL, Lewis BA. 1990. Enzymic determination of ${\beta}$ -glucan in cereal-based food products. Cereal Chem 67: 226-229. 

  15. Hasegawa M, Isogai A, Onabe F. 1993. Preparation of lowmolecular- weight chitosan using phosphoric acid. Carbohydr Polym 20: 279-283. 

  16. Roubroeks JP, Andersson R, Mastromauro DI, Christensen BE, Aman P. 2001. Molecular weight, structure and shape of oat (1 ${\rightarrow}$ 3),(1 ${\rightarrow}$ 4)- ${\beta}$ -D-glucan fractions obtained by enzymatic degradation with (1 ${\rightarrow}$ 4)- ${\beta}$ -D-glucan-4-glucanohydrolase from Trichoderma reesi. Carbohydr Polym 46: 275-285. 

  17. Machova E, Kogan G, Chorvatovicova D, Sandula J. 1999. Ultrasonic depolymerization of the chitin-glucan complex from Aspergillus niger and antimutagenic activity of its product. Ultrason Sonochem 6: 111-114. 

  18. Byun EH, Kim JH, Sung NY, Choi JI, Lim ST, Kim KH, Yool HS, Byun MW, Lee JW. 2008.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on the physical and structural properties of ${\beta}$ -glucan. Radiat Phys Chem 77: 781-786. 

  19. Jeon YI, Kim SK. 2002. Production of chitooligosaccharides using an ultrafiltration membrane reactor and their antibacterial activity. Carbohydr Polym 41: 133-141. 

  20. Brandt LM, Jeltema MA, Zabik ME, Jeltema BD. 1984. Effects of cooking in solutions of varying pH on the dietary fiber components of vegetables. J Food Sci 49: 900-904. 

  21. Hwang JK, Kim CT, Hong SI, Kim CJ. 1994. Solubilization of plant cell walls by extrusion. J Korean Soc Food Nutr 23: 358-370. 

  22. Ralet MC, Della Valle G, Thibault JF. 1993. Raw and extruded fibre from pea hulls. Part I: Composi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Carbohydr Polym 20: 17-23. 

  23. Ralet MC, Saulnier L, Thibault JF. 1993. Raw and extruded fibre from pea hulls. Part II: Structural study of the water- soluble polysaccharides. Carbohydr Polym 20: 25-34. 

  24. Ralet MC, Thibault JF, Della Valle G. 1991. Solubilization of sugar-beet pulp cell wall polysaccharides by extrusion-cooking. Lebensm-Wiss Technol 24: 107-112. 

  25. Guillon F, Barry JL, Thibault JF. 1992. Effect of autoclaving sugar-beet fibre on its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its in-vitro degradation by human faecal bacteria. J Sci Food Agric 60: 69-79. 

  26. Hwang IG, Woo KS, Jeong HS. 2011. Biological activity and heat treatment processing of foods. Food Sci Ind 44: 56-65. 

  27. Wood PJ, Paton D, Siddique IR. 1977. Determination of ${\beta}$ -glucan in oats and barley. Cereal Chem 54: 524-533. 

  28. Kim SY, Ryu CH. 2003. Extraction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barley bran ${\beta}$ -glucan.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9: 616-623. 

  29. Jeong HS, Kang TS, Park HJ, Jung IS, Lee HY. 2004. Characteristics of viscosity and components of soluble extract in oats. Food Eng Prog 8: 40-46. 

  30. Marlett JA. 1991. Dietary fiber content and effect of processing on two barley varieties. Cereal Foods World 36: 576-578. 

  31. Forrest IS, Wainwright T. 1977. The mode of binding of ${\beta}$ -glucans extracted from barley at different temperatures. Carbohydr Res 83: 279-286. 

  32. Kim SR, Choi HD, Seog HM, Kim SS, Lee YT. 1999.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eta}$ -glucan isolated from barley.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164-1170. 

  33. Gomeza C, Navarro A, Manzanares P, Horta A, Carbonell JV. 1997. Physical and structural properties of barley (1 ${\rightarrow}$ 3),(1 ${\rightarrow}$ 4)- ${\beta}$ -D-glucan. Part I. Determination of molecular weight and macromolecular radius by light scattering. Carbohydr Polym 32: 7-15. 

  34. Choi HD, Seog H, Choi I, Park Y, Lee C, Shin K. 2004. Molecular structure of ${\beta}$ -glucan isolated from non-waxy and waxy barley. Food Sci Biotechnol 13: 744-748. 

  35. Kivela R, Sontag-Strohm T, Loponen J, Tuomainen P, Nystrom L. 2011. Oxidative and radical mediated cleavage of ${\beta}$ -glucan in thermal treatment. Carbohydr Polym 85: 645-652. 

  36. Bradley TD, Ball A, Harding SE, Mitchell JR. 1989. Thermal degradation of guar gum. Carbohydr Polym 10: 205-214. 

  37. Ullrich SE, Clancy JA, Eslick RF, Lance RCM. 1986. ${\beta}$ -Glucan content and viscosity of extracts from waxy barley. J Cereal Sci 4: 279-285. 

  38. Varum KM, Simidsrod O. 1988. Partial chemical and physical characterisation of (1 ${\rightarrow}$ 3),(1 ${\rightarrow}$ 4)- ${\beta}$ -glucans from oat (Avena sativa L.) aleurone. Carbohydr Polym 9: 103-117. 

  39. Beer MU, Arrigoni E, Amado R. 1996. Extraction of oat gum from oat bran: effects of process on yield,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viscosity and (1 ${\rightarrow}$ 3),(1 ${\rightarrow}$ 4)- ${\beta}$ -D-glucans content of the gum. Cereal Chem 73: 58-6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