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산성 전해수로 처리한 생식원료의 저장 중 미생물 저감 효과 및 색도 변화
Effect of Microbial Inhibition and Change of Chromaticity on the Raw Materials of Saengsik Treated with Slightly Acidic Electrolyzed Water during Storag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1 no.12, 2012년, pp.1830 - 1841  

김광희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박보금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김하나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박중현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박명수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박지용 (연세대학교 생명공학과) ,  송경빈 (충남대학교 식품공학과) ,  오덕환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생식 원료(현미, 보리, 당근, 감자, 신선초, 케일)를 미산성 전해수(SAEW)로 처리한 후 미생물 저감효과와 색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수돗물(TW)과 차아염소산나트륨수(NaOCl), SAEW 처리 간의 미생물 저감 효과와 색도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각 저장온도(4, 10, 15, 20, 25, $30^{\circ}C$)와 저장기간(5, 10, 15, 20, 25, 30일) 동안 유통기한 연구로서 생식 원료를 저장한 후 변화를 확인하였다. 일반세균수는 생식원료 중 당근에서 가장 효과적인 저감효과를 나타냈으며 SAEW 처리가 NaOCl 처리보다 1.75 log CFU/g 더 감소하였다. 대장균군수는 보리에서 SAEW의 처리가 NaOCl 처리보다 1.54 log CFU/g 더 감소하여 생식 원료 중 가장 효과적인 저감효과를 나타내었다. 신선초와 케일에서 SAEW 처리는 lightness, redness, yellowness 값을 저하시켜 품질의 변화를 유지시킨 반면, 그 밖의 생식원료에서는 SAEW와 NaOCl 처리구간 효능의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SAEW와 NaOCl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p<0.05)를 나타냈으며, 결과적으로 생식원료에 SAEW의 처리는 미생물학적으로 일반세균 및 대장균군수를 저감화시켜 저장기간 연장과 색도의 불변 효과를 나타냈으며 다른 품질의 변화 없이 생식의 원료를 효과적으로 위생처리가 가능함을 입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the changes in microbial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raw materials of Saengsk (brown rice, barley, carrot, potato, Angelica utilis Makino and kale) during storage after treatment with slightly acidic electrolyzed water (SAEW). To confirm the antimicrobial effects of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차아염소산나트륨수(sodium hypochlorite water, NaOCl)와 미산성 전해수(slightly acidic electrolyzed water, SAEW)를 사용하여 생식원료의 저장 중 미생물학적 및 이화학적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생식의 미생물학적 안전성 확보와 유통기한 및 규격 설정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생식 제품의 저장성을 증진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3)Not measured.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동결건조방법을 사용하는 이유는? 그러나 제조과정 중 기능성 성분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대부분 가열살균공정이 없이 동결건조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며(11), 생식 원료들은 재배에서 가공까지 비가열 상태로 유통되기 때문에 미생물을 비롯한 각종 오염원에 노출될 가능성이 크다(12). 이런 미생물 오염은 생식의 품질 저하뿐만 아니라 섭취 시에도 단순 음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원료 및 제조과정에서 유해미생물이 혼입되어 위생학적 문제점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미생물학적 안전성 확보가 중요하다고 하겠다(13).
당근과 감자의 저장온도별 세척수에 따른 일반세균수의 측정결과는?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모든 저장온도에서 일정한 저감효과를 나타내면서 일반세균수가 증가하였다. 4℃에서 NaOCl 및 SAEW로 세척한 당근은 TW로 세척한 당근보다 각각의 저장기간별 평균 1.03, 2.36 log CFU/g의 감소효과를 유지하면서 증가하였고(Fig. 1), 20℃에서는 0.21, 1.85 log CFU/g의 감소효과를 유지하면서 일반세균수가 증가하였다. 감자는 4℃에서 0.11, 0.54 log CFU/g, 20℃에서는 0.19, 1.54 log CFU/g의 감소효과를 유지하였으며, 당근과 감자 모두 NaOCl 처리구보다 SAEW 처리구에서 더 낮은 일반세균수가 나타나면서 증가하였다. 당근과 감자에서는 초기 균수가 다른 생식원료보다 낮았기 때문에 저장기간이 길었으며, 외형적 상태도 오랫동안 유지하였다. 25, 30℃에서 저장기간 15일 이후에는 싹이 나고 부패 정도가 심했고, 상품의 원료로서 가치가 없을 것으로 판단되어 더 이상 균수 측정을 하지 않았다.
생식이란? 생식이란, 주로 식물성 원료를 분말, 과립, 액상 등으로 제조한 것으로 영양소의 파괴, 효소의 불활성화, 전분의 호화 등을 최소화 하도록 가열하지 않고 저온 건조 또는 동결건조하여 물 등과 혼합하여 섭취할 수 있도록 한 것을 말한다(9). 생식의 시장규모는 2000년 900억원에서 2002년 2,000억원, 2005년에는 약 3,000억원 수준으로 증가하였으며, 한국뿐만 아니라 미국, 중국, 일본을 비롯한 10여개 국가에 1,500만 달러를 수출하는 등 한국 고유 식품으로 성장하고 있다(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Korean Statistical Association. 2001. Death of cause statistical annual report. Korea. 

  2. Kang HJ, Song YS. 1997. Dietary fiber and cholesterol metabolism.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358-369. 

  3. Kim JB, Park YB, Kang JB, Kim JC. 2005. Distribution of microorganisms in seonsik and saengsik. Korea J Sanitation 20: 12-22. 

  4. Park MH. 2003. The status of uncooked food industry and its future. Food Ind Nutr 7: 1-3. 

  5. Brown PR. 1987. The rode of diet in cancer causation. Food Technol 41: 48-51. 

  6. Burt ML, Batos CJ, Fehily AM, St Leger AS. 1981. Plasma cholesterol and blood pressure in vegetarians. J Hum Nutr 35: 436-441. 

  7. Ira EB. 1987. The first international congress on vegetarian nutrition. J Appl Nutr 39: 95-101. 

  8. Cha BK. 2001. A comparative study of relationships among eating behavior, intake frequency of food group and cardiovascular disease related in vegetarians and non-vegetaria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183-192. 

  9. Chang TE, Moon SY, Lee KW, Park JM, Han JS, Song OJ, Shin IS. 2004. Microflora of manufacturing process and final products of Saengshik. Korea J Food Sci Technol 36: 501-506. 

  10. Lee SY. 2004. The current state and prospect of Saengsik industry. Korean J Food Nutr 17: 94-99. 

  11. Park NH. 1995. General outline and status of application for freeze-drying. J Air-Condi Refr Eng 24: 338-345. 

  12. Park BK, Oh MH, Oh DH. 2004. Effect of electrolyzed water and organic acids on the growth inhibition of Listeria monocytogenes on lettuce. Korean J Food Preserv 11: 530-537. 

  13. Jung SW, Park KJ, Park BI, Kim YH. 1996. Surface sterilization effect of electrolyzed acid-water on vegetable.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1045-1051. 

  14. Charghi G. 1980. Biological syndrome of raw vegetarian individuals. Bordeaux Medical 13: 711-716. 

  15. Jang Y, Lee JH, Kim OY, Park HY, Lee SY. 2001. Consumption of whole grain and legume powder reduces insulin demand, lipid peroxidation, and plasma homocysteine concentrations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 Arterioscler Thromb Vasc Biol 21: 2065-2071. 

  16. Kim DH, Son HP, Yook HS, Chung YJ, Kim YJ, Byun MW. 2002. Distribution of microflora in powdered raw grains and vegetables and improvement of hygienic quality by gamma irradi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589-593. 

  17. Kim C, Hung YC, Rrackett RE. 2000. Roles of oxidation-reduction potential in electrolyzed oxidizing and chemically modified water for the inactivation of food-related pathogens. J Food Prot 63: 19-24. 

  18. Park KJ, Jung SW, Park BI, Kim YH, Jung JW. 1996. Initial control of microorganism in Kimchi by the modified preparation method of seasoning mixture and the pretreatment of electrolyzed acid-water.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1104-1110. 

  19. Suzuki T. 1997. Subject and prospect of an electrolyzed anodic solution in food industry. New Food Ind 39: 61-66. 

  20. Suzuki T, Itakura J, Watanabe M, Ohta M, Sato Y, Yamaya Y. 2002. Inactivation of staphylococcal enterotoxin-A with an electrolyzed anodic solution. J Agric Food Chem 50: 230-234. 

  21. Rahman SME, Ding T, Oh DH. 2010. Inactivation effect of newly developed low concentration electrolyzed water and other sanitizers against microoganisms on spinach. Food Control 21: 1383-1387. 

  22. Jeong JW, Kim JH, Kwon KH, Park KJ. 2006. Disinfection effects of electrolyzed water on strawberry and quality changes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Preserv 13: 316-321. 

  23. Yoo JY, Jang KI. 2011. Changes in quality soybean sprouts washed with electrolyzed water during sto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586-592. 

  24.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2. Food Code. Cheongwon-gun, Korea. 

  25. Kim JH, Jeong JW, Kweon KH. 2007. Quality effects of various pretreatment methods on the properties of peeled chestnut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Preserv 14: 462-468. 

  26. Chang TW, Han JS, Song OJ, Chung DH, Shin IS. 2004. Study on reducing methods of natural food-borne pathogenic microorganism originated from Saengshik.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1020-1025. 

  27. Yoo JY, Jang KI. 2011. Changes in quality of soybean sprouts washed with electrolyzed water during sto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586-592. 

  28. John G. 1997. Essentials of Food Microbiology. 1st ed. Arnlod Publishers, Headline Group, London, UK. p 97-98. 

  29. Izumi H. 1999. Electrolyzed water as a disinfectant for fresh-cut vegetables. J Food Sci 64: 536-539. 

  30. Suzuki T. 1998. Practice and safety of utilization of electrolyzed water in food industry. Food Chem 5: 35-42. 

  31. Jeong JW, Kim BS, Kim OW, Bae N, Lee SH. 1996. Changes in quality of carrot during storage by hydrocool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841-849. 

  32. Kim DJ, Ha SD, Ryu K, Park KH. 2004. Hazard analysis and determination of CCPs for powdered raw grains and vegetables, Saenshik.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1032-1040. 

  33. Koh SM, Kim JM. 2010. Effect of hypochlorous acid to reduce microbial populations in dipping procedure of fresh produce as Saenshik raw materials. J Korean Soc Food Sic Nutr 39: 637-642. 

  34. Park YJ, Yoo JY, Jang KI. 2010. Storage attribute of Angelica keiskei juice treated with various elecrolyzed wat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846-1853. 

  35. Koseki S, Yoshida K, Kamitani Y, Isobe S, Itoh K. 2004. Effect of mild heat pre-treatment with alkaline electrolyzed water on the efficacy of acidic electrolyzed water against Escherichia coli O157:H7 and Salmonella on lettuce. Food Microbiol 21: 559-566. 

  36. Onishi PK, Hara YS, Arai EK. 2001. Improvement of eating quality and preservability of cooked rice obtained from aged rice grains by weak electrolyzed cathode water. Nippon Shokuhin Kagaku Kogaku Kaishi 48: 112-118. 

  37. Ha JO, Lee SC, Bae HA, Park OP. 2004. Food Chemistry. Dooyangsa, Seoul, Korea. p 218-34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