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패류에 오염된 장염비브리오균(Vibrio parahemolyticus)에 대한 차아염소산수의 살균효과
Bactericidal Effects of Hypochlorous Acid Water against Vibrio parahaemolyticus Contaminated on Raw Fish and Shellfish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7 no.6, 2015년, pp.719 - 724  

김희연 (우송대학교 외식산업경영학과) ,  최진경 (우송대학교 외식산업경영학과) ,  신일식 (강릉원주대학교 해양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넙치, 방어 어류 2종과 가리비, 참굴 패류 2종에 수산식품의 주요 식중독균인 장염비브리오균(V. parahaemolyticus)을 인위적으로 오염시킨 후, 강산성차아염소산수와 미산성차아염소산수의 살균효과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넙치에 장염비브리오균을 인위적으로 오염시킨 후, 강산성차아염소산수 및 미산성차아염소산수 공히 10배의 양으로 세정한 결과, 약 4.0 log가 감소하였으며, 30배의 양으로 세정한 경우, 검출한계 이하로 나타나 강력한 살균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방어에 있어서도 넙치와 비슷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가리비에 장염비브리오균을 인위적으로 오염시킨 후, 강산성차아염소산수 및 미산성차아염소산수 공히 10배의 양으로 세정한 결과, 약 4.2 log가 감소하였으며, 30배의 양으로 세정한 경우에는 장염비브리오균이 검출되지 않아 강력한 살균효과를 나타내었다. 참굴에 장염비브리오균을 인위적으로 오염시킨 후, 강산성차아염소산수 및 미산성차아염소산수 공히 10배의 양으로 세정한 결과, 약 3.8 log가 감소하였으며, 30배의 양으로 세정한 경우, 7.0 log가 감소하여, 강력한 살균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지만 넙치, 방어, 가리비에 비해서는 살균효과가 다소 낮게 나타났다. 어류 근육이나 가리비에 비해 참굴에 오염된 장염비브리오균에 대한 차아염소산수의 살균효과가 다소 떨어지는 것은 참굴의 표면 구조의 복잡성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bactericidal effects of strongly acidic hypochlorous acid water (StAHA) and slightly acidic hypochlorous acid water (SlAHA) against Vibrio parahaemolyticus contaminated on surface of raw fish and shellfish were examined. V. parahaemolyticus contaminated with about 7.0 log CFU/g on the meat chunk...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수산식품의 위생학적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생선회 및 패류 등 수산식품의 주요 식중독균인 장염비브리오균(V. parahaemolyticus)에 대한 차아염소산수의 살균효과를 구명하였으며, 그 결과를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차아염소산 수의 효과는 어떠한 응용이 가능한가? 차아염소산 수는 염소소독에 비하여 훨씬 저농도의 유효염소농도로 단시간에 강력한 살균효과를 나타낸다. 그 효과는 병원성 비브리오를 비롯한 식중독세균(10), Escherichia coli O157:H7(11),Listeria monocytogenes(12), 포자 형 성균(10,13), 곰팡이(14), 황색포도상구균의 enterotoxin 분해(15), 세균, 원생동물인 아메바성 이질에 의해 오염된 음료수의 살균, 병원균에 오염된 손, 피부, 그리고 주방기구 등에 의한 2차 오염의 방지(16), 어병 세균 및 바이러스에 대한 살균효과(5) 등 광범위한 응용이 가능하다.
수산 식품의 식중독사고 예방에는 무엇이 중요한가? 이들 균에 의한 식중독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수산식품이나 원료에서의 병원체 존재 여부, 개인의 병력 파악 등 건강상태의 조사에 더하여 가공공장의 작업환경, 생선회집의 주방환경의 소독, 용수시설 및 수조 해수의 살균 등 2차 오염에 의한 병원체의 오염 및 침입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최근의 생선회집은 날로 대형화하고 있으며, 또한 대부분 연안해 수를 용수로서 이용(내륙의 경우 같은 해수를 장기간 사용)하기 때문에 해수 중에 병원체가 존재하면 수조 중의 어류, 주방환경 등의 오염에 의하여 식중독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차아염소산수에는 무엇이 있는가? 차아염소산수에는 희박 식염수(0.2% 이하의 염화나트륨 수용액)를 유격 막 전기분해 조에서 전해하여 양극측으로부터 얻어지는 강산 성차 아염소산 수(strong acidic hypochlorous acid water, 유효염소농도 20-60 ppm, pH 2.7 이하)와 2-6% 염산을 무격 막 전기분해 조 안에서 전해하여 얻어지는 미산성차아염소산수(mildly acidichypochlorous acid water, 유효염소농도 10-30 ppm, pH 5.0-6.5)가있으며 이들 차아염소산 수는 살균효과가 뛰어나 식품산업의 현장에 있어서 식중독 원인 미생물의 오염제거, 식품소재의 살균으로 인한 건전성의 확보 등 식품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유효한 수단으로 인정되고 있다. 일본 후생노동성에서는 2002년 6월 강산 성차 아염소산 수와 미산성차아염소산수를 식품첨가물(살균제)로 인정(후생노동 성령 75호, 고시 212호)한 바 있고(7), 식품산업 현장에의 적용 또한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7,8), 우리나라도 2007년11월 강산 성차 아염소산 수와 미산 성차 아염소산 수를 식품첨가물로 인가한 바 있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MAFRA.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Statistical Yearbook.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Sejong, Korea. pp. 298-300 (2012) 

  2.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Food poisoning statistics. Available from: http://www.foodsafetykorea.go.kr/portal/healthy-foodlife/foodPoisoningStat.do?menu_no519&menu_grpMENU_GRP02. Accessed Jul. 27, 2014. 

  3. Suzuki T. Challenges and prospects of acidic electrolyzed water use in the food industry. New Food Ind. 39: 61-66 (1997) 

  4. Hotta K, Suzuki T. Electrolyzed water: Formation principle, physicochemical property and function. Biosci. Ind. 57: 22-26 (1999) 

  5. Jorquera MA, Valencia G, Eguchi M, Katayose M, Riquelme C. Disinfection of seawater for hatchery aquaculture systems using electrolytic water treatment. Aquaculture 207: 213-224 (2002) 

  6. Fabrizio KA, Cutter CN. Stability of electrolyzed oxidizing water and its efficacy against cell suspensions of Salmonella Typhimurium and Listeria monocytogenes. J. Food Protect. 66: 1379-1384 (2003) 

  7. Kawata K. A road to the approval of electrolytic acid water as a food additive. Bokin Bobai 30: 801-812 (2002) 

  8. Achiwa N. Application and popularization of electrolyzed acidic and alkaline water. Bokin Bobai 32: 41-47 (2004) 

  9. MFDS. Revision of Food additives standards and specification.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Cheongju, Korea. (2007) 

  10. Ren T, Su YC. Effects of electrolyzed oxidizing water treatment on reducing Vibrio parahaemolyticus and Vibrio vulnificus in raw oysters. J. Food Prot. 69: 1829-1834 (2006) 

  11. Sharma RR, Demirci A. Treatment of Escherichia coli O157:H7 inoculated alfalfa seeds and sprouts with electrolyzed oxidizing water. Int. J. Food Microbiol. 86: 231-237 (2003) 

  12. Park H, Hung YC, Chung DH. Effects of chlorine and pH on efficacy of electrolyzed water for inactivating Escherichia coli O157:H7 and Listeria monocytogenes. Int. J. Food Microbiol. 91: 13-18 (2004) 

  13. Kim C, Hung YC, Brackett RE. Efficacy of electrolyzed oxidizing (EO) and chemically modified water on different types of foodborne pathogens. Int. J. Food Microbiol. 61: 199-207 (2000) 

  14. Al-Haq MI, Seo Y, Oshita S, Kawagoe Y. Disinfection effects of electrolyzed oxidizing water on suppressing fruit rot of pear caused by Botryosphaeria berengeriana. Food Res. Int. 35: 657-664 (2002) 

  15. Suzuki T, Itakura J, Watanabe M, Ohta M, Sato Y, Yamaya Y. Inactivation of Staphylococcal enterotoxin-A with and electrolyzed anodic solution. J. Agr. Food Chem. 50: 230-234 (2002) 

  16. Suzuki T. Strong acid electrolyzed solution: Application and problems. Bokin Bobai 27: 487-492 (1999) 

  17. MFDS. Korea Food Cod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Cheongju, Korea. pp. 212-213 (2015) 

  18. Quan Y, Choi KD, Chung DH, Shin IS. Evaluation of bactericidal activity of weakly acidic electrolyzed water (WAEW) against Vibrio vulnificus and Vibrio parahaemolyticus. Int. J. Food Microbiol. 136: 255-260 (2010) 

  19. Lee HJ, Yu HS, Oh EG, Shin SB, Park KBW, Kim JH. Germicidal effect of electrolyzed seawater on live fish and shellfish. Kor. J. Fish Aquat. Sci. 46: 534-539 (2013) 

  20. Hotta K. The use of acidic electrolyzed water for sanitary or hygienic measure in food and medical field. Food Process. Ingred. 36: 10-12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