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소나무 산지의 개엽시기에 영향을 미치는 기후인자
Climatic Factors Affecting Bud Flush Timing of Pinus densiflora Provenances 원문보기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14 no.4, 2012년, pp.229 - 235  

김인식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부) ,  유근옥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부) ,  이주환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소나무 산지의 개엽시기에 영향을 미치는 기후인자를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는데 1996년 국립산림과학원에서 조성한 정선, 충주, 제주의 소나무 산지시험림에서 조사가 이루어졌다. 휴면 중이던 동아가 부풀어 오르는 시점을 생장개시기로, 신초가 포린을 뚫고 나와 0.5mm 정도 자란 시점을 개엽시기로 정해 2004년 3월말부터 5월 중순까지 2일 간격으로 조사를했다. 개엽시기에 대한 산지 기후인자의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조림지와 산지의 기후인자를 구했으며, 각 기후인자의 생태적거리를 구해 공준상관 분석을 실시했다. 조림지별 생장개시기와 개엽시기는 제주, 충주, 정선 조림지 순으로 빨라 조림지의 평균 기온 차이에 따른 구배를 보여주었다. 종자산지의 기후인자 차이가 조림지에서의 생장개시기 및 개엽시기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생태적거리 자료를 이용하여 공준상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조림지와 산지 간 위도, 경도, 12~2월 최저기온, 11~2월 최고기온 그리고 생육기간 차이가 주요 인자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결론적으로 조림지보다 겨울철 기온이 낮은 곳에서 온 산지가 생장개시 및 개엽시기가 빠른 전형적인 북-남 또는 저온-고온 경사변이를 나타내 소나무 산지에 따른 지리적 유전적 변이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limatic factors affecting bud phenology of Pinus densiflora provenances. Data were collected from Jungseon, Chungju and Jeju plantations which were parts of the 11 provenance trials established by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in 1996. The 36 provenance...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나무 산지시험림을 대상으로 산지별 개엽시기에 대한 지리적 변이 양상을 조사하고 개엽시기에 영향을 미치는 기후인자를 구명함으로써 소나무의 육종집단 조성 및 종자배포구역 설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했다.
  • 산지시험을 하는 목적은 산림생산성 향상을 위해 조림지의 환경조건에 가장 적합한 산지를 선발하여 활용하는데 있다. 소나무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경제조림수종으로 분포범위가 넓을 뿐 아니라 많은 면적에 식재되고 있으나, 지금까지 종자산지에 따른 조림지 적응성이나 생장특성에 대한 연구 결과가 많지 않은 편이다.
  • 본 연구는 소나무 산지의 개엽시기에 영향을 미치는 기후인자를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는데 1996년 국립산림과학원에서 조성한 정선, 충주, 제주의 소나무 산지시험림에서 조사가 이루어졌다. 휴면 중이던 동아가 부풀어 오르는 시점을 생장개시기로, 신초가 포린을 뚫고 나와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정한 소나무의 개엽시기는? 그리고, 조사목의 가지방향에 따른 개엽시기 오차를 줄이기 위해 조사목의 남쪽방향 가지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개엽시기 조사는 2004년 3월말부터 5월 중순까지 2일 간격으로 이루어졌으며, 휴면 중이던 동아가 부풀어 오르기 시작하는 시점을 생장개시기로 정했고, 신초가 포린을 뚫고 나와서 0.5mm 정도 자란 시점을 개엽시기로 정해 야장에 해당 날짜및 단계를 기록하였다. 또한 조사지별 조사자에 따른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개엽시기 조사 시 사진을 함께 촬영하여 보완자료로 활용했다.
본 연구에서 소나무 산지의 개엽시기에 영향을 미치는 기후인자는 무엇인가? 조림지별 생장개시기와 개엽시기는 제주, 충주, 정선 조림지 순으로 빨라 조림지의 평균 기온 차이에 따른 구배를 보여주었다. 종자산지의 기후인자 차이가 조림지에서의 생장개시기 및 개엽시기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생태적거리 자료를 이용하여 공준상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조림지와 산지 간 위도, 경도, 12~2월 최저기온, 11~2월 최고기온 그리고 생육기간 차이가 주요 인자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결론적으로 조림지보다 겨울철 기온이 낮은 곳에서 온 산지가 생장개시 및 개엽시기가 빠른 전형적인 북-남 또는 저온-고온 경사변이를 나타내 소나무 산지에 따른 지리적·유전적 변이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산지 간 개엽시기 차이를 발생시키는 기후인자는 무엇인가? 즉, 봄철의 개엽시기는 만상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생육기간을 최대로 활용하기 위한 적응 기작으로 생각되고 있다. 이러한 개 엽시기의 적응성 기작에는 여러 기후인자들이 관여되고 있는데, 원산지의 봄철 기온 또는 적산온도 등이 산지 간 개엽시기 차이를 발생시키는 요인이라고 보고된 바 있다(Leinonen and Hanninen, 2002). 임업적 측면에서도 봄철에 개엽이 일찍 이루어져 만상의 피해를 당하게 되면 수고나 직경생장이 감소하고 수형이 불량해지는 등 목재가치가 감소될 수 있기 때문에 개엽시기는 환경에 대한 수목의 적응성을 평가하는 지표로 활용되고 있다(Chmura and Rozkowski, 2002; Leinonen and Hanninen,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itken, S. N., and W. T. Adams, 1997: Spring cold hardiness under strong genetic control in Oregon populations of Pseudostuga menziessi var. menziessi. Canad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27, 1773-1780. 

  2. Bailey, J. D., and C. A. Harrington, 2006: Temperature regulation of bud-burst phenology within and among years in a young Douglas-fir (Pseudotsuga menziesii) plantation in western Washington, USA. Tree Physiology 26, 421-430. 

  3. Beuker, E., 1994: Adaptation to climatic changes of the timing of bud burst in populations of Pinus sylvestris L. and Picea abies(L.) Karst. Tree Physiology 14, 961-970. 

  4. Blum, B. M., 1988: Variation in the phenology of bud flushing in white and red spruce. Canad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18, 315-319. 

  5. Burr, K. E., R. W. Tinus, S. J. Wallner, and R. M. King, 1989: Relationships among cold hardiness, root growth potential and bud dormancy in three conifers. Tree Physiology 5, 291-306. 

  6. Cannell, M. G. R., S. Thompson, and R. Lines, 1976: An analysis of inherent differences in shoot growth within some north temperate conifers. In: Tree Physiology and Yield Improvement. Cannell, M. G. R. and F. T. Last (eds). Academic Press, New York, 173-205. 

  7. Chmura, D. J., and R. Rozkowski, 2002: Variability of beech provenances in spring and autumn phenology. Silvae Genetica 51, 123-127. 

  8. Chuine, I., S. N. Aitken, and C. C. Ying, 2001: Temperature thresholds of shoot elongation in provenances of Pinus contorta. Canad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31, 1444-1455. 

  9. Csaba, M., 1995: Modeling effects of climate change with provenance test data by applying ecological distances. In: Proceedings of IUFRO XX World Congress "Caring for the forest: Research in a changing world". 1995. August 6-12. Tampere, Finland, 145pp. 

  10. Ekberg, I., I. Dormling, G. Eriksson, and D. Wettstein, 1976: Inheritance of photoperiodic response forest trees. In: Tree Physiology and Yield Improvement. Cannell, M. G. R. and F. T. Last (eds). Academic Press, New York, 207-221pp. 

  11. Ekberg, I., G. Eriksson, and C. Nilsson, 1991: Consistency of phenology and growth of intra- and interprovenance families of Picea abies. Scandinav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6, 323-333. 

  12. Frewen, B. E., T. H. H. Chen, G. T. Howe, J. Davis, A. Rohde, W. Boerjan, and H. D. Bradshaw, 2000: Quantitative trait loci and candidate gene mapping of bud set and bud flush in populus. Genetics 154, 837-845. 

  13. Hannerz, M., 1999: Evaluation of temperature models for predicting bud burst in Norway spruce. Canad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29, 9-19. 

  14. Harrington, C. A., P. J. Gould, and J. B. St.Clair, 2010: Modeling the effects of winter environment on dormancy release of Douglas-fir.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59, 798-808. 

  15. Kim, I. S., K. O. Ryu, J. H. Song, and T. S. Kim, 2005: Geographic variation in survival rate and height growth of Pinus densiflora S. et Z. in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4, 78-81. 

  16. Kim, I. S., H. Y. Kwon, K. O. Ryu, and W. Y. Choi, 2008: Provenance by site interaction of Pinus densiflora in Korea. Silvae Genetica 57, 131-139. 

  17. Kim, J. H., I. S. Jung, W. H. Lee, and S. C. Hong, 2002: Studies on the fundamental properties of the wood of Gumgangsong (Pinus densiflora for. erecta Uyeki) (Part2).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1, 241-24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Kim, Y. Y., J. O. Hyun, K. N. Hong, T. B. Choi, and K. S. Kim, 1995: Genetic variations of natural populations of Pinus densiflora in Korea based on RAPD marker analysis. Korean Journal of Breeding 27, 23-4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Kong, W. S., 2006: Biogeography of native Korean pinacea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1, 73-9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1999: Pine, Pine Forest. 205pp. 

  21. Kuser, J. E., and K. K. Ching, 1980: Provenance variation in phenology and cold hardiness of western hemlock seedlings. Forest Science 26, 463-470. 

  22. Leinonen, O. and H. Hanninen, 2002: Adaptation of the timing bud burst of Norway spruce to temperate and boreal climates. Silva Fennica 36, 695-701. 

  23. Noh, E. R., 1988: Evaluation of optimum growth and site conditions for major tree species of Korea using climatic factors. Research Report of Institute of Forest Genetics, Korea 24, 138-191. 

  24. Rehfeldt, G. E., 1995: Genetic variation, climatic models, and the ecological genetics for Larix occidentalis.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78, 21-37. 

  25. Rehfeldt, G. E., N. M. Tchebakova, and L. K. Barnhardt, 1999: Efficacy of climate transfer functions : introduction of Eurasian populations of Larix into Alberta. Canad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29, 1660-1668. 

  26. Savolainen, O., F. Bokman, R. Garcia-Gil, P. Komulainen, and T. Repo, 2004: Genetic variation in cessation of growth and frost hardiness and consequences for adaptation of Pinus sylvestris to climate changes.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97, 79-89. 

  27. Skroppa, T., and S. Magnussen, 1993: Provenance variation in shoot growth components of norway spruce. Silvae Genetica 42, 111-120. 

  28. Yim, K. B., and Z. S. Kim, 1975: The variation of natural population of Pinus densiflora S. et Z. in Korea(I) - Characteristics of needle and wood of Chuwang-san, An-Myeon-do and Odae-san population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28, 1-2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9. Wright, J. W., 1976: Introduction to Forest Genetics. Academic Press, Inc. London, 463pp.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