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근대 이후 조리서에 나타난 전(煎)의 변화 분석 및 문헌고찰
A Literature Review on the History of the Jeon (Korean Pancake) in the Modern Cookbooks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27 no.6, 2012년, pp.607 - 626  

조주형 (세종대학교 조리외식경영학과) ,  장영은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김진숙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historical changes in Jeon. The Korean dictionary was analyzed to analyze the modern definition of Jeon. To investigate the change in the type and cooking methods of Jeon, 36 cookbooks from the late 1800s to 1999 were analyzed. The cooking method for Jeon, such as the ingred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근대 이후의 조리서를 중심으로 전의 조리학적 변화를 조사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800년대 말「시의전서」(저자미상, 1800년대 말)를 시점으로 하여 근대 이후의 조리서에 나타난 전(煎)의 조리법을 분석하고 시대적 배경에 따른 변화 양상을 고찰하여 근, 현대에 전의 변화 흐름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전의 조리방법이 어떤 식으로 변화하여 왔는지를 분석하여, 이러한 기초 분석을 통해 전의 역사적 변화를 재조명 하며, 앞으로 전을 이용한 산업의 발전 방향과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800년대 말「시의전서」(저자미상, 1800년대 말)를 시점으로 하여 근대 이후의 조리서에 나타난 전(煎)의 조리법을 분석하고 시대적 배경에 따른 변화 양상을 고찰하여 근, 현대에 전의 변화 흐름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전의 조리방법이 어떤 식으로 변화하여 왔는지를 분석하여, 이러한 기초 분석을 통해 전의 역사적 변화를 재조명 하며, 앞으로 전을 이용한 산업의 발전 방향과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1800년대 말 「시의전서」부터 1999년도 「한국의 상차림」까지의 36권의 근대 이후의 조리서에 기록된 전류의 특징과 조리법을 분석하고 역사적 고찰을 통한 변화 과정을 조사하였다. 전은 저냐, 전유, 전유어, 전유화, 간랍 등 다양한 용어로 표기되어 왔으며, 사전에는 ‘전’, ‘저냐’에 대해 가장 자세한 설명을 하고 있다.
  • 본 연구는 근대 이후의 조리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근대의 시대적 설정 기준은 여러 연구자들의 선행연구(Lee & Cho 2008; Lee 2009; Lee & Cho 2010)와 사전적 정의(두산동아 백과사전 2012; 국립국어원 2012)들을 검토하여 19세기 이후로 설정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특히 1800년대 말 (19세기 말) 이후의 조리서 들을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 분석대상 사전은 1947년「표준 조선말사전」부터 2009년 「고려대한국어대사전」까지 그 사이에 발간된 사전 30권의 국어사전에서 ‘전’과 ‘저냐’의 두 단어를 대상으로 개념과 시대별 어떠한 변화가 보이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은 어떤 조리법인가? 특히, 소량의 기름을 사용해 조리하는 전(煎)은 기름을 사용하는 음식이 적은 전통 한식밥상에서 지방을 섭취하기에 유용한 찬물로써 다양한 재료가 이용되어 왔다(김 2012). 전은 육류, 어패류, 채소류 등을 기름에 지지는 조리법으로 전유아, 전냐, 전야, 전 등으로 불렸으며, 궁중에서는 전유화(煎油花) 라고 하였고, 제사 때는 간남(肝南) 또는 간납, 갈납이라 한다. 또한, 전유어(煎油魚)라고 하여 글자 그대로 생선을 기름에 지지는 조리법을 말하는데 차차 변하여 생선만이 아니라 다른 재료들도 사용하여 얇게 저미거나 다져서 반대기를 지어 밀가루와 달걀을 씌워 번철에 기름을 두르고 지져내는 음식을 말한다(왕 1977; 염 1993; 한 & 황 2010).
한국음식은 무엇의 구분이 뚜렷한가? 한국음식은 주식과 부식의 구분이 뚜렷하다. 주식은 밥, 죽, 국수 등의 탄수화물로 이루어져 있고, 나머지 영양분을 보완하는 의미의 부식은 다양한 반찬을 이용하였다.
한국음식에서 주식은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는가? 한국음식은 주식과 부식의 구분이 뚜렷하다. 주식은 밥, 죽, 국수 등의 탄수화물로 이루어져 있고, 나머지 영양분을 보완하는 의미의 부식은 다양한 반찬을 이용하였다. 부식은 육류, 어류, 채소류, 해조류, 과실 등을 식재료로 하여 구이, 찜, 선, 조림, 국, 찌개, 장아찌, 젓갈, 나물 등 다양한 반찬을 만들어 단백질, 지방, 무기질 등을 섭취하였다(최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3)

  1. 강인희, 조후종, 신현희, 김진원, 윤숙자, 이말순, 이지호, 박혜원, 허채옥, 이춘자, 김귀영, 김명순. 1999. 한국의 상차림. 효일문화사 

  2. 강인희. 1988. 한국의 맛. 대한교과서주식회사 

  3. 강인희. 1992. 한국인의 보양식. 대한교과서주식회사 

  4. 김경진, 조창숙, 염초애, 이효지. 1986. 세계의 가정요리. 삼성출판사 

  5. 김영순. 2012. 전유화(전유어, 前油魚)의 과학과 문화에 대한 토론. 한국식품조리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2(0): 124-125 

  6. 노성환. 2009. 일본의 민속생활. 민속원 

  7. 농수산물유통공사. 2010. 맛있고 재미있는 한식이야기. 농수산물유통공사 

  8. 동아일보사. 1971. 궁중음식. 동아일보사 

  9. 령목상점. 1935. 사계의 조선요리. 령목상점 내외요리출판부 

  10. 문예출판사편집부. 1970. 가정요리. 문예출판사 

  11. 방신영. 1917. 조선요리제법. 廣益書館 

  12. 방신영. 1942. 조선요리제법. 漢城圖書 

  13. 방신영. 1960. 우리나라음식만드는법. 裝忠圖書出版社 

  14. 손정규. 1948. 우리음식. 三中堂 

  15. 염초애, 장명숙, 윤숙자. 1993. 한국음식. 효일문화사 

  16. 왕준련. 1977. 한국요리. 범한출판사 

  17. 왕준련. 1983. 한국요리백과. 범한출판사 

  18. 왕준련. 1990. 한국요리백과 부식류. 학원출판공사 

  19. 유계완. 1980. 계절과 식탁. 삼화출판사 

  20. 윤서석. 1984. 한국음식 역사와조리. 수학사 

  21. 윤서석. 1999. 우리나라 식생활 문화의 역사. 신광출판사 

  22. 이석만. 1934. 간편조선요리제법. 三文社 

  23. 이성우. 1992. 한국고식문헌집성 고조리서 제IV권-제VII권. 수학사 

  24. 이용기. 1924.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 永昌書館.韓興書林 

  25. 이윤재, 1947. 표준조선말사전. 아문각 

  26. 이효지, 조신호, 정낙원, 김현숙, 유애령, 최영진, 김은미, 백숙은, 원선임, 김상연, 차경희 백현남. 2004. 시의전서. 신광출판사 

  27. 이효지, 한복려, 정길자, 조신호, 정낙원, 김현숙, 최영진, 김은미, 원선임, 차경희. 2010. 부인필지. 교문사 

  28. 이희승. 2011. 국어대사전. 민중서림 

  29. 정순자. 1975. 한국의 요리. 동화출판공사 

  30. 정순자. 1993. 한국조리. 신광출판사 

  31. 조자호. 1939. 조선요리법. 廣韓書林 

  32. 주영하. 2011. 음식인문학. 휴머니스트 

  33. 최영진. 2012. 전유화(전유어, 前油魚)의 과학과 문화. 한국식품조리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2(0): 99-116 

  34. 하선정. 1980. 한국의 가정요리. 삼선출판사 

  35. 하숙정. 1982. 한국가정을 위한 가정의 기본요리. 예조사 

  36. 하숙정. 1984. 우리의 맛 하숙정 요리전집. 수도출판문화사 

  37. 하숙정. 1986. 우리의 맛 한국요리전집. 수도출판문화사 

  38. 하순용, 윤은숙, 김복자. 1984. 한국조리 : 이론과 조리실습. 지구문화사 

  39. 한복려, 황혜성, 한복진. 2010. 3대가 쓴 한국의 전통음식. 교문사. 

  40. 한억. 1994. 한국음식문화 세미나/향토음식의 개발과 보급. 식품과학과 산업. 27(2): 15-37 

  41. 한희순, 황혜성, 이혜경. 1957. 이조궁정요리통고. 학총사 

  42. 황교익. 2011. 한국음식문화박물지. 따비 

  43. 황혜성. 1993. 조선왕조궁중음식. 궁중음식연구원 

  44. 황혜성. 1950. 조선요리대략. 숙명여자대학가사과 

  45. 황혜성. 1976. 한국요리백과사전. 삼중당 

  46. 황혜성. 1980. 한국음식. 민서출판사 

  47. 황혜성. 1982. 한국요리.반찬백과. 한림출판사 

  48. 황혜성. 1993. 세계의 가정요리[한국의 요리]. 대학당 

  49. 황혜성, 한복려, 한복진, 서혜경. 1997. 한국음식대관 제6권. 한국문화재보호재단 

  50. Han KS, Shin SH. 2010. Content Analysis of Learning Classifications of Foodservice and Culinary Majors.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6(2):367-381 

  51. Heo JY. 2009. A History of Study about Lexicography of Korean Language Dictionary. (13):286-312 

  52. Hwang JH. 2005. A Study on the Intake and Preference for Pan Fried Dishes. Graduate School of Traditional Culture and Art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53. Joo YH. 2003. Food and colonialism. The Society of Practice Folkloristics. 4:113-129 

  54. Kassarjian HH. 1977. Content analysis in consumer research.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4(2):8-18 

  55. Kook KD, Kwon YS, Chung HJ. A Literature Review on the Recipes for Pheasant -Focus on Recipe Books from 1800`s to 1990'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ietary Culture. 26(5):455-467 

  56. Kim ES, Chun HJ, Lee HG. 1990. A Bibliographical Study of Tzeam Using the Fish, Vegetable and Etc.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5(1):77-99 

  57. Kim HS, Choi EJ. 2005. Awareness, Utilization and Acceptance for the Commercial Korean Traditional Foods among College Students in Kyunggi area (II) - Side Dishes and Desserts -. Research Institute of Human Ecology. 9(1):219-237 

  58. Kim HS, Yoon KH. 2003. Awareness and Preference for the Commercial Korean Traditional Foods among College Students in Chungbuk. Research Institute of Human Ecology. 7(2):81-93 

  59. Kim JH. 1995. A Study on Korean Traditional Foods Preference and Consumption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The Korean society of food and nutrition. 8(4):293-300 

  60. Kim MH, Choi MK, Kim MW, Eom AY. 2011. . The Korean society of food and nutrition.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the Preferences for Traditional Korean Food Served at the Middle School good Service in the Gyeonggi Area 24(1):54-64 

  61. Kim MO, Kim TH. 2000. Historical Study of Steamed Beef Recipe since 1945 in Korea.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10(1):1-20 

  62. Kim US, Han MJ. 2008. A Literature Review Examining the Ingredients and Cooking Methods of the Side Dishes in Gyuhapchongseo.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23(4):438-447 

  63. Kim US, Han MJ. 2009. The Changes of Side Dishes in Eumsikdimibang, Gyuhapchongseo, Chosunmusangsinsikyorijebub according to the Current of the Tim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24(4):366-375 

  64. Kim US, Ko HC. 2006. Literature Review on the Ingredients and Cooking Methods for the Side Dishes in the Eumsikdimibang.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2(1):93-110 

  65. Lee HG, Oh MY. 1995. Consciousness,knowledge and food preferences for the Korean traditional foods of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3(4):65-87 

  66. Lee HJ, Park KS. 2008. Research of kinds of Jeon (Korean Fired cooking) and recipes of it" Journal of food research and technology 

  67. Lee HJ. 1981. A Study on the Book Siuejunsuh.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19(3):47-61 

  68. Lee KJ, Cho MS. 2008. Content Analysis of the New York Times on Korean Restaurants from 1980 to 2005. Journal of Foodservice Management. 11(1):281-306 

  69. Lee KJ, Cho MS. 2009. Evaluation of the Meat and Poultry 'Jorim' Model in Korean Modern Cookbook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24(5):478-485 

  70. Lee KJ, Cho MS. 2010. The Change of the Concept and Meaning of Bulgogi in Cookery Book & Dictiona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25(5):508-515 

  71. Lee KR. 2009. A Study on Changes in the Cooking Process of Red Beans Used to Prepare Bab in Cooking Books Written during Last 100 Years. The Korean society of food and nutrition. 22(4):678-686 

  72. Lee YJ. 2008. The study of concept in native local foods and research subject. The society of practice folklorelistics. (11):29-56 

  73. Ma YS. 1997. A bibliographical study on the jeon. Graduate School of Home Economics Education, Hanyang University 

  74. Ma YS. Lee HJ. A Bibliographical Study on the fish and shellfish jeon.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7:101-129 

  75. Nam EY. 2007. Korean Consumer Culture in 1990s: With focus on consumer consciousness and behavior. Korean Sociological Association. 76:189-226 

  76. Oh IK. 2000. Content Analysis: Applications to Tourism Research. The tourism sciences society of Korea. 24(1):317-322 

  77. Park CL, Chung HJ. 2011. A Literature Review Regarding a Bibimnaengmyeon (Cold Buckwheat Noodles Mixed with Sauce)-Related Recipes -Focus on recipe data published in Korea from the 1800's to the 1980'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26(4):307-313 

  78. Park CL, Kwon YS, Chung HJ. 2011. A Historical Study on the Changes in the Recipe of Naengmyeon (Korean Cold Noodles) Base on Water -Focus on the Recipe Data Published in Korea from 1800's to 1980'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26(2):128-141 

  79. Ryu KL, Kim TH. 1992. The Historical study of Beef Cooking - I. cookery of soup based on beef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7(3):223-235 

  80. Song KJ. 2006. An Influence of the Trade with the West on Joseon's Economy After the Opening of the Door. Journal of the study of history (81):229-267 

  81. Yoo HL. 2002. A Critical Review of Political Ideas in Korea. Insrirute for Korean Politic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11(2):1-42 

  82. 두산백과. 2012. 두산백과사전(검색어: 근대). http://terms.naver.com/entry.nhn?cid200000000&docId1069480&mobile&categoryId200001071 

  83. 국립국어원. 2012. 국어대사전(검색어: 근대). http://www.korean.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