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산발효 쌀가루의 혼합비율에 따른 전(煎)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Pan-fried Food (Jeon) Added with Lactic-fermented Rice Flour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3 no.6, 2014년, pp.868 - 876  

장영은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  김진숙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  이지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  김경미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  김기창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유산발효 쌀가루가 전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유산발효 쌀가루를 5~20% 혼합한 전을 제조한 후 조직감, 흡유율, 소화율 및 기호도 등을 검토하였다. 호화특성을 분석한 결과 모든 쌀가루들의 최고점도, 최저점도, 최종점도, 강하점도, 치반점도는 밀가루보다 낮았고 유산발효 쌀가루의 혼합에 의해 더욱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의 색도 측정에서 모든 쌀가루전은 밀가루전보다 명도를 나타내는 L값이 높았고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과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은 낮았으나, 유산발효 쌀가루의 혼합비율이 증가할수록 전의 L값은 낮아지고 a값과 b값은 증가하였다. 쌀가루로 제조한 전은 밀가루전에 비해 경도, 탄력성, 응집성, 점착성, 씹힘성이 유의적으로 낮았고, 유산발효 쌀가루의 혼합비율이 증가할수록 탄력성과 점착성이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일정량의 반죽으로 전을 제조했을 때 반죽무게 대비 기름을 흡수하는 비율은 밀가루전이 6.61%, 쌀가루전이 7.96%로 분석되었고, 유산발효 쌀가루의 혼합비율이 5%에서 20%로 증가할수록 흡유율은 7.5%에서 6.33%로 분석되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유산발효 쌀가루의 혼합에 의해 전의 RDS 비율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20%의 유산발효 쌀가루를 혼합하여 전을 제조했을 때 SDS 비율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유산발효 쌀가루를 혼합하여 제조한 전은 쌀가루전이나 밀가루전보다 전의 외관, 풍미, 맛에 대한 기호도가 상승하였고 특히 10% 발효 쌀가루를 혼합했을 때 전반적인 기호도가 유의적으로 상승하였다. 유산발효 쌀가루의 이용은 전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품질특성에 바람직한 영향을 주는 결과를 보였다. 이것은 쌀의 이용 증대효과를 가져 올 것으로 기대되며, 쌀 가공품의 다양성을 부여하고 다양한 소비패턴에 부응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actic-fermented rice flour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pan-fried food (Jeon). Pan-frying flour containing 5~20% lactic fermentation rice flour mixture was prepared. In rapid visco analyzer examination, peak viscosity, trough, final visco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쌀이 갖고 있는 본래의 특성을 쌀 가공기술 개발을 통해 변성시킴으로써 쌀의 가공적성을 개선시켜 쌀머핀, 쌀쿠키, 쌀케이크, 쌀빵 등 밀가루를 대체하여 쌀가루를 이용하고자 하는 노력이 있으나 전통식품에 응용한 사례는 많지 않다. 따라서 전통식품 중 밀가루를 이용한 대표적 전통식품인 전의 주원료로 쌀가루를 적용해 보고자 하였다. 전류는 다양한 부재료를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어 영양적인 면에서 우수한 전통음식일 뿐만 아니라 내국인은 물론(19,20) 외국인에게도(21,22) 선호도가 높고 다양한 연령층에서 기호성이 좋으나(23,24), 주재료인 탄수화물과 조리과정중 유지의 흡수로 인한 열량의 증가가 문제시 되는 음식중의 하나이다.
  • 또한 조리 후 전의 수분함량 및 지방함량은 전의 물성이나 관능적 특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는데, Lee(36)는 튀김의 조직감에 수분과 지방 함량이 적을수록 견고성과 바삭함이 좋다고 보고하였고, Kim과 Lee(39)는 조리 후 튀김의 수분보유량과 흡유량은 물성이나 관능특성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 가열온도 및 시간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전의 표면적과 중량을 일정하게 제조함으로써 전 반죽재료의 종류 및 유산발효 쌀가루의 혼합비율에 의한 전의 수분함량과 지방함량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쌀가루는 밀가루보다 물 결합능력이 낮아 쌀가루전의 수분함량이 밀가루전보다 낮은 것으로 생각되며, 입자가 작은 유산발효 쌀가루에 의해 물 결합능력이 증가하고(14) 따라서 유산발효 쌀가루를 혼합한 전의 수분보유력이 혼합하지 않은 전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런 특성이 전 제조 시 기름의 흡수를 저해한 것으로 사료된다.
  • 본 연구에서는 유산발효 쌀가루를 이용하여 전을 제조한 후 물성특성, 흡유율, 소화율 및 기호도 등을 분석함으로써 품질이 향상된 쌀 부침가루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고, 다양한 쌀 가공제품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쌀의 대부분은 어떤 종인가?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쌀은 대부분이 자포니카형의 단립종으로 생산량의 95% 이상이 주식인 쌀밥용으로 소비되고 있어(1) 가공용으로 소비되는 쌀은 매우 적다(7). 쌀 가공품으로는 떡류, 한과류, 음료류, 쌀빵, 쌀국수, 시리얼, 쌀과자, 주류 등을 들 수 있으며, 우리나라 쌀의 가공 이용형태를 보면 쌀떡과 면류 및 주류가 시장의 70% 이상을 점유하고 있어(8) 쌀 관련 제품의 다양화를 통해 소비자의 가공식품에 대한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제품 개발이 필요하다.
쌀은 어떤 나라에서 주식으로 이용되고 있는가? 쌀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 주요 국가에서 주식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특히 동남아를 비롯한 우리나라 국민의 주식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1). 그러나 경제발전과 더불어 소득수준의 증가, 주 5일제 근무, 독신가정 증가 등의 여러 요인으로 인해 생활양식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으며, 특히 식생활 분야에 있어서 편의화 및 다양화를 추구하면서 쌀의 주 소비 형태인 밥 대신 밀가루를 이용하여 제조한 제과, 제빵 및 라면, 국수와 같은 면류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 및 소비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2).
쌀의 소비량이 감소하게 된 배경은? 쌀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 주요 국가에서 주식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특히 동남아를 비롯한 우리나라 국민의 주식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1). 그러나 경제발전과 더불어 소득수준의 증가, 주 5일제 근무, 독신가정 증가 등의 여러 요인으로 인해 생활양식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으며, 특히 식생활 분야에 있어서 편의화 및 다양화를 추구하면서 쌀의 주 소비 형태인 밥 대신 밀가루를 이용하여 제조한 제과, 제빵 및 라면, 국수와 같은 면류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 및 소비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2). 이런 이유로 1인당 쌀의 소비량은 2009년의 경우 7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Han JA. 2009. Digestive, phys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cookies made of dry-heated OSA-high amylose rice starch.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668-672. 

  2. Lee MK, Shin M. 2006. Characteristics of rice flours prepared by moisture-heat treatment. Korean J Food Cookery Sci 22: 147-157. 

  3. Shin M. 2010. Activation of the rice processing industry. Food Preservation and Processing Industry 9: 16-37. 

  4.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2008. The strategies for promoting of rice processed foods. Press Release. Seoul, Korea. 

  5. Jung DS, Lee FZ, Eun JB. 2002. Quality properties of bread made of wheat flour and black rice flour.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232-237. 

  6. Kee HJ, Lee ST, Park YK. 2000.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wheat noodles made of brown glutinous rice flour with and without aroma.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799-805. 

  7. Cho JH, Koh BK. 2003. A survey on the rice-based processed food consumption of the housewives at Daegu. Korean J Soc Food Sci 19: 300-307. 

  8. Kum JS. 2010. Nutrition of rice and rice processed foods. Food Preservation and Processing Industry 9: 38-54. 

  9. Song JY, Shin M. 2007. Effects of soaking and particle sizes on the properties of rice flour and gluten-free rice brad. Food Sci Biotechnol 16: 759-764. 

  10. Pruska-Kedzior A, K?dzior Z, Gor?cy M, Pietrowska K, Przybylska A, Spychalska K. 2008. Comparison of rheological, fermentative and baking properties of gluten-free dough formulation. Eur Food Res Technol 227: 1523-1536. 

  11. Blanco DA, Ronda F, Perez B, Pando V. 2011. Improving gluten free bread quality by enrichment with acidic food additives. Food Chem 127: 1204-1209. 

  12. Choi BK, Kum JS, Lee HY, Park JD.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cake (Backsulki) according to milling type and particle size. Korean J Food Preserv 12: 230-234. 

  13. Kim RY, Kim CS, Kim HI. 2009.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non-waxy rice flour affected by grinding methods and steeping tim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076-1083. 

  14. Lee SH, Shin M. 2009. Characteristics of preparation of rice manju and rice flours with soaking and different particle sizes. Korean J Food Cookery Sci 25: 427-434. 

  15. Kim HY, Lee BY, You HS, Ham SS. 1999. Milling and rice flour properties of tempering condition on moisture content of rice.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6: 76-80. 

  16. Juliano BO. 1985. Criteria and tests for rice grain qualities. In Rice Chemistry and Technology. The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St. Paul, MN, USA. p 443-524. 

  17. Shin MS. 2009. Rice-processed food. Food Sci Industry 42:2-18. 

  18. Kum JS. 1998. Effects of amylose content on quality of rice bread.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590-595. 

  19. Lee JJ. 1985. A study on the changes of food habit for Seoul residents. M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20. Jang EJ, Lee YK, Lee HG. 1996. The study for consciousness, dietary life behaviors on Korean traditional food. Korean J Dietary Culture 11: 179-206. 

  21. Chang MJ, Cho MS. 2000. Recognition and preference to Korean traditional food for foreign visitors in Korea. Korean J Dietary Culture 15: 215-223. 

  22. Jung BM, Kim ES, Rhee KC. 2001.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cornmeal extrudates by addition of defatted soy flour and squid.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292-298. 

  23. Lee JH. 1999. Survey obn food preference in Gyeongnam area. Korean J Soc Food Sci 15: 338-352. 

  24. Kim KJ, Cha EJ. 1994. Survey on utilization of pan-fried food items at institutional foodservice establishments in Pusan. Korean J Soc Food Sci 10: 309-314. 

  25.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of AOAC International.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8-35. 

  26. Englyst HN, Kingman SM, Cummings JH. 1992. Classification and measurement of nutritionally important starch fractions. Eur J Clin Nutr 46: S33-S50. 

  27. Choi YH, Kim SB, Cho YS, Kim EM, Park SY, Kim TY. 2010.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ice flour by lactic acid fermentation.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ence 21: 509-515. 

  28. Lee YH, Kum JS, Ku KH, Chun HS, Kim WJ. 2001. Changes in chemical composition of glutinous rice during steeping and quality properties of Yukwa.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737-744. 

  29. Han XZ, Hamaker BR. 2001. Amylopectin fine structure and rice starch paste breakdown. J Cereal Sci 34: 279-284. 

  30. Choi SI, Kim TJ, Park JH, Lim CS, Kim MY.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ying mix added with brown rice fib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7: 671-680. 

  31. Kim RY, Park JH, Kim CS. 2011. Effects of enzyme treatment in steeping process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wet-milled rice flou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300-1306. 

  32. Egawa K. 1992. Recipe and baking technology of rice flour for making bread. New Technol North Agric 5: 95-101. 

  33. Park JD, Choi BK, Jum JS, Lee HY. 2006.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rown rice flours produced under different drying and milling condi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38:495-500. 

  34. Medcalf SL, Luned DB. 1985. Factors affecting water uptake in the milled rice. J Food Sci 50: 1674-1679. 

  35. Choi EJ, Kim HS. 1997. Physicochemical and gelatinization properties of glutinous rice flour and starch steeped at different condi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17-24. 

  36. Lee MJ. 2005. Utilization of starch to improve quality of deep-fat fried batter. M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37. Lee JH, Shin ES, Kweon BM, Ryu HS, Jang DH. 2005. Optimizing ingredients mixing ratio of mungbean pancak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274-1283. 

  38. Shin KS, Woo KJ. 1999. Changes in adding soybean on quality and surface structure of Korean rice cake (Jeung- Pyun). Korean J Soc Food Sci 15: 249-257. 

  39. Kim BS, Lee YE. 2009. Effect of cellulose derivatives to reduce the oil uptake of deep fat fried batter of pork cutlet. Korean J Food Cookery Sci 25: 488-495. 

  40. Moon SJ, Oh HS, Lee MH. 1996. Cooking characteristics of emulsifier-containing oil - Degree of oil absorption and spattering during cooking, and standard recipe for fried foods. Korean J Soc Food Sci 12: 99-107. 

  41. Song TH, Yoo JH. 2009. Understanding food chemistry. Hyoilbooks press, Seoul, Korea. p 153-200. 

  42. Sanz T, Salvador A, Fiszman SM. 2004. Effect of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on properties of methylcelluloseadded batters application to battered, fried seafood. Food Hydrocolloids 18: 127-131. 

  43. Ahn MS. 2004. Food and cookery science. Shinkwang press, Seoul, Korea. p 167. 

  44. Snow P, O'Dea K. 1981. Factors affecting the rate of hydrolysis of starch in foods. Am J Clin Nutr 34: 2721-2727. 

  45. Holm J, Bjorck I, Ostrowska S, Eliasson AC, Asp NG, Larsson K, Lundquist I. 1983. Digestibility of amylose-lipid complexes in-vitro and in-vivo. Starch 35: 294-297. 

  46. Wursch P, Dal Vedovo S, Koellreuter B. 1986. Cell structure and starch nature as key determinants of the digestion rate of starch in legume. Am J Clin Nutr 43: 25-29. 

  47. Heijnen MLA, Amelsvoort JMM, Deurenberg P, Beynen AC. 1998. Limited effect of consumption of uncooked (RS) or retrograded (RS3) resistant starch on putative risk factors for colon cancer in health men. Am J Clin Nutr 67: 322-331. 

  48. Choi JS, Sohn KH. 1997.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odified rice powder for rice-based infant foods - Thermalenzymatic treatment on rice powder. Korean J Dietary Culture 12: 375-38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