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상인에서 5가지 체간 안정화 운동자세가 초음파 영상을 이용한 복부근 두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ive Different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on Thickness of Abdominal Muscle Using an Ultrasonography Imaging in Normal People 원문보기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Physical Therapy Korea, v.19 no.3, 2012년, pp.1 - 10  

강정현 (서울재활병원 물리치료실) ,  심재훈 (백석대학교 보건학부 물리치료학과) ,  천승철 (건양대학교 의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mpare measurements of abdominal muscle thickness using ultrasonography imaging (USI) to those using a special transducer head device, during five different trunk stabilization exercises, ultimately to determine which exercise led to the greatest muscle thickness. Thirt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방법은 Bunce 등(2004)의 초음파 영상 장비 사용방법을 기반으로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음파 영상 장비를 대상자의 정적인 자세뿐만 아니라 다양한 동적인 자세에서도 초음파 탐촉자에 동일한 압력과 방향이 유지될 수 있도록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새로운 시도는 아직까지 매우 미흡한 것으로 사료된다.
  • Hodges와 Richardson 등(1999)은 요통 및 체간의 안정성이 결여된 많은 대상자들을 통하여 복횡근의 임상적 중요성을 보고하였으며 정적인 자세보다 동적이고 기능적인 동작을 운동조절(motor control)과 결합하여 훈련할 것을 추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복횡근의 최대 수축을 유도하기 위하여 복부 당기기 방법과 결합하여 체간 안정화 운동을 실시하였고 동적인 자세에서 복횡근을 측정하기 위하여 초음파 영상 장비를 대상자에 고정시켜 알아보았다.
  •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체간 안정화 자세에서의 객관적인 측정을 위하여 Bunce 등(2004)이 고안한 초음파 측정방법을 바탕으로 복부근의 두께 측정을 위하여 탐촉자를 고정시켜 측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자세에서 실시되는 5가지 체간 안정화 운동을 정상인에게 적용하여 초음파 탐촉자를 고정시켜 복부근의 두께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매트에서 실시한 체간 안정화 운동, 공을 이용한 체간 안정화 운동 및 슬링을 이용한 체간 안정화 운동이 복부근 두께 변화에 서로 다른 차이를 보이고, 복횡근과 내복사근의 두께 증가와 외복사근의 두께 감소에 미치는 영향이 서로 다를 것이라고 가설을 설정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5가지 체간 안정화 운동 중 효율성 측면에서 복횡근의 두께를 가장 크게 증가시키는 효과적인 운동 방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슬링을 이용하여 엎드린 자세에서 균형잡기 방법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나타났다.
  • 대부분의 연구 초점은 체간 안정화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복횡근의 단면적 및 두께 증가에 맞추어져 있으나, 어떠한 체간 안정화 자세에서 복횡근이 가장 크게 증가하는지에 관한 연구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편적으로 자주 사용하는 5가지 체간 안정화 운동중 복횡근의 두께를 가장 크게 증가시키는 운동 방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엎드린 자세에서 슬링을 잡고 균형을 유지하는 방법이 복횡근의 두께를 가장 크게 증가시켰다.
  • 그러나 침습적인 근전도는 실질적으로 비현실적이며(Hodges 등, 2003), 초음파 영상은 측정자가 탐촉자에 가하는 손의 압력 및 방향과 같은 변수들과 엎드린 자세와 같은 대상자 자세에 따라서 측정 시 많은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음파 영상 장비의 탐촉자를 측정자가 직접 손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방법이 아닌 대상자의 신체 부위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특수한 고정 장치를 고안하게 되었다. 이러한 방법은 Bunce 등(2004)의 초음파 영상 장비 사용방법을 기반으로 하였다.

가설 설정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자세에서 실시되는 5가지 체간 안정화 운동을 정상인에게 적용하여 초음파 탐촉자를 고정시켜 복부근의 두께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매트에서 실시한 체간 안정화 운동, 공을 이용한 체간 안정화 운동 및 슬링을 이용한 체간 안정화 운동이 복부근 두께 변화에 서로 다른 차이를 보이고, 복횡근과 내복사근의 두께 증가와 외복사근의 두께 감소에 미치는 영향이 서로 다를 것이라고 가설을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흉요근막의 장력 증가로 인해 체간의 안정화에 어떻게 도움이 되는가? 특히, 복횡근은 복부의 심부근육으로 백색선(linea alba)에서부터 흉요근막(thoracolumbar fascia)과 요추의 횡돌기(transverse process)까지 이어져 복부의 심부를 횡으로 둘러싸고 있으며(Loukas 등, 2008; Panjabi, 2003), 복횡근의 수축은 복부내압(intra-abdominal pressure)과 흉요근막의 장력(tension)을 증가시켜 다양한 자세와 방향에서 체간 안정화에 가장 중요한 근육으로 보고되고 있다(Cresswell 등, 1992; Loukas 등, 2008). 흉요근막의 장력 증가는 상지 움직임 시에 하지의 장딴지근(gastrocnemius)과 가자미근(soleus)의 근수축을 먼저 유발하여 상하지의 가교역할(bridge function)과 함께 체간의 안정화에 기여하게 된다(Hirashima 등, 2002; Loukas 등, 2008). 복횡근은 여러 가지 일상생활동작 중 미리 되먹임(feedforward) 작용으로 사지 근육 및 다른 체간 근육의 움직임보다 먼저 활성화되어 다양한 방향에서 체간의 불균형을 조절하게 된다(Hodges와 Richardson, 1997).
체간 안정화는 어떤 치료 및 예방에 적용되는가? 체간 안정화(trunk stabilization)는 자세변화와 부하 상태에 따라서 척추를 바르게 유지하고 사지의 움직임을 수행하기 위해서 선행되어야 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Willson 등, 2005). 체간 안정화는 요추부 근골격계 질환의 원인으로 언급되고 있는 복부근과 체간 신전근의 불균형을 조절하여 요통의 치료 및 예방에 적용되고 있다(Panjabi, 2003). 체간 안정화에 기여하는 근육으로는 척추 앞쪽에 복횡근(transverse abdominal muscle), 뒤쪽에 다열근(multifidus muscle), 윗쪽에 횡격막(diaphragm) 그리고 아래쪽에 골반저근(pelvic floor muscle)이 원통모양(cylindrical shape)으로 이루어져 있다(Kisner와 Colby, 2002; Panjabi, 2003).
슬링을 이용한 체간 안정화 운동이 정확한 자세를 유지하기 어려운 이유는? 또한, 실험 전에 충분한 사전교육과 연습에도 불구하고, 슬링을 이용한 체간 안정화 운동을 복부 당기기 방법과 병행하면서 정확한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어려웠다. 이러한 이유는 슬링을 잡고 엎드린 자세에서의 체간 안정화 운동방법이 견갑골 안정화에 무의식적으로 더 많은 기여를 하게 되면서 정확한 자세를 유지하기 어려웠던 것으로 추측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김선엽, 백인협. 복횡근 강화운동이 체간 신전-굴곡시 척추 분절 운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03;10(1):63-76. 

  2. 오재섭, 박준상, 김선엽 등. 슬링(sling)과 고정된 지지면에서의 팔 굽혀 펴기 동작시 근 활성도비교.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03;10(3):29-40. 

  3. 최희수, 권오윤, 이충휘 등. 요부 안정화 운동에 따른 몸통근육들의 근활성도 비교.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05;12(1):1-10. 

  4. Ainscough-Potts AM, Morrissey MC, Critchley D. The response of the transverse abdominis and internal oblique muscles to different postures. Man Ther. 2006;11(1):54-60. 

  5. Bunce SM, Hough AD, Moore AP. Measurement of abdominal muscle thickness using M-mode ultrasound imaging during functional activities. Man Ther. 2004;9(1):41-44. 

  6. Cresswell AG, Grundstr?m H, Thorstensson A. Observations on intra-abdominal pressure and patterns of abdominal intra-muscular activity in man. Acta Physiol Scand. 1992;144(4):409-418. 

  7. de Araujo RC, Tucci HT, de Andrade R, et al. Reliability of electromyographic amplitude values of the upper limb muscles during closed kinetic chain exercises with stable and unstable surfaces. J Electromyogr Kinesiol. 2009;19(4): 685-694. 

  8. Escamilla RF, Lewis C, Bell D, et al. Core muscle activation during Swiss ball and traditional abdominal exercises. J Orthop Sports Phys Ther. 2010;40(5):265-276. 

  9. Hayden JA, van Tulder MW, Malmivaara AV, et al. Meta-analysis: Exercise therapy for nonspecific low back pain. Ann Intern Med. 2005;142(9):765-775. 

  10. Hirashima M, Kadota H, Sakurai S, et al. Sequential muscle activity and its functional role in the upper extremity and trunk during overarm throwing. J Sports Sci. 2002;20(4):301-310. 

  11. Hodges PW. Is there a role for transversus abdominis in lumbo-pelvic stability? Man Ther. 1999;4(2):74-86. 

  12. Hodges PW, Pengel LH, Herbert RD, et al. Measurement of muscle contraction with ultrasound imaging. Muscle Nerve. 2003;27(6):682-692. 

  13. Hodges PW, Richardson CA. Inefficient muscular stabilization of the lumbar spine associated with low back pain. A motor control evaluation of transversus abdominis. Spine (Phila Pa 1976). 1996;21(22):2640-2650. 

  14. Hodges PW, Richardson CA. Feedforward contraction of transversus abdominis is not influenced by the direction of arm movement. Exp Brain Res. 1997;114(2):362-370. 

  15. Kirkesola G. S-E-T advanced level 1-U. The upper body. Seminar workbook. S-E-T Kompetanse AS. Norway, 2005. 

  16. Kisner C, Colby LA. Therapeutic Exercise: Foundation and techniques. 4th ed. Philadelphia, F.A. Davis, 2002:451-456. 

  17. Koppenhaver SL. Hebert JJ, Fritz JM, et al. Reliability of rehabilitative ultrasound imaging of the transversus abdominis and lumbar multifidus muscles. Arch Phys Med Rehabil. 2009;90(1): 87-94. 

  18. Loukas M, Shoja MM, Thurston T, et al. Anatomy and biomechanics of the vertebral aponeurosis part of the posterior layer of the thoracolumbar fascia. Surg Radiol Anat. 2008;30(2):125-129. 

  19. Mannion AF, Pulkovski N, Gubler D, et al. Muscle thickness changes during abdominal hollowing :An assessment of between-day measurement error in controls and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Eur Spine J. 2008;17(4):494-501. 

  20. McGill SM. Low back exercises: Evidence for improving exercise regimens. Phys Ther. 1998;78(7):754-765. 

  21. Panjabi MM. Clinical spinal instability and low back pain. J Electromyogr Kinesiol. 2003;13(4):371-379. 

  22. Queiroz BC, Cagliari MF, Amorim CF, et al. Muscle activation during four Pilates core stability exercises in quadruped position. Arch Phys Med Rehabil. 2010;91(1):86-92. 

  23. Rankin G, Strokes M, Newham DJ. Abdominal muscle size and symmetry in normal subjects. Muscle Nerve. 2006;34(3):320-326. 

  24. Richardson CA, Jull G, Hodges P, et al. Treatment of motor control problems. In: Therapeutic exercise for spinal segmental stabilization in low back pain-scientific basis and clinical approach. London, Churchill Livingstone, 1999. 

  25. Saliba SA, Croy T, Guthrie R, et al. Differences in transverse abdominis activation with stable and unstable bridging exercises in individuals with low back pain. N Am J Sports Phys Ther. 2010;5(2):63-73. 

  26. Vera-Garcia FJ, Grenier SG, McGill SM. Abdominal muscle response during curl-ups on both stable and labile surfaces. Phys Ther. 2000;80(6):564-569. 

  27. Whittaker JL. Ultrasound imaging of the lateral abdominal wall muscles in individuals with lumbopelvic pain and signs concurrent hypocapnia. Man Ther. 2008;13(5):404-410. 

  28. Willson JD, Dougherty CP, Ireland ML, et al. Core stability and its relationship to lower extremity function and injury. J Am Acad Orthop Surg. 2005;13(5):316-32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