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국내 뇌졸중 편마비 환자를 대상으로 한 건측억제-환측유도 치료효과의 메타분석
Meta-Analysis of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in Hemiplegic Stroke Patient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Physical Therapy Korea, v.19 no.2, 2012년, pp.59 - 68  

박소연 (전주대학교 대체의학대학 물리치료학과) ,  신인수 (전주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meta-analysis investigated the effects on arm motor impairment, arm motor function and disability, and psychological aspects of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CIMT) for upper extremity hemiparesis following stroke, based on Korean studies. A comprehensive search of the complete Korean stu...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실시된 연구 중 편마비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CIMT 및 mCIMT 연구를 대상으로 치료 적용시 평가한 측정도구들을 제시하고 유사한 측정도구들을 세 영역(운동손상, 운동기능과 장애, 심리)으로 분류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즉, CIMT 적용시 전체 효과크기를 알아보고, CIMT의 범주형 변인(출판여부, 제한 유형, 측정도구의 세 영역 등)과 연속형 변인(대상자의 연령, 처치기간, 주당적용일(day), 1일적용시간)에 따른 CIMT의 효과크기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실시된 연구 중 편마비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CIMT 및 mCIMT 연구를 대상으로 치료 적용시 평가한 측정도구들을 제시하고 유사한 측정도구들을 세 영역(운동손상, 운동기능과 장애, 심리)으로 분류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즉, CIMT 적용시 전체 효과크기를 알아보고, CIMT의 범주형 변인(출판여부, 제한 유형, 측정도구의 세 영역 등)과 연속형 변인(대상자의 연령, 처치기간, 주당적용일(day), 1일적용시간)에 따른 CIMT의 효과크기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기존의 개별연구들에서 CIMT 효과의 차이를 가져오는 변수가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 선행연구에서 포함하고 있는 주요 범주형 변수에 따라 효과크기를 분석 (categorical analysis)하였다. 범주형 분석은 개별연구들의 이질성 원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 개별연구의 과학적 검증을 위해 사용되고 있는 메타분석은 경제학 및 교육학 등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적용되고 있지만, 특히 보건의료분야에서는 특정 치료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여러 개별연구들을 종합하여 분석함으로써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는 체계적 고찰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실시된 CIMT 적용 연구를 검색하고 분석하여 그 효과를 과학적으로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이란 무엇인가? 뇌졸중(stroke)이란 뇌혈관이 막히거나 파열되어 발생하는 국소 신경학적 기능부전으로 전 세계 주요 사망 원인 중 하나이다(Bonita 등, 2004; Langhorne 등, 2011). 뇌졸중 발생 후 80%는 생존 가능하지만 운동, 인지, 지각, 감각, 언어 기능에서 후유장애가 발생하며, 특히 뇌손상이 한쪽에 발생하면 병변 반대쪽의 상하지와 체간 근육이 약화되는 편마비 증상이 발생되게 된다.
뇌졸중 발생 후 80%의 환자들은 어떠한 영향을 받는가? 뇌졸중(stroke)이란 뇌혈관이 막히거나 파열되어 발생하는 국소 신경학적 기능부전으로 전 세계 주요 사망 원인 중 하나이다(Bonita 등, 2004; Langhorne 등, 2011). 뇌졸중 발생 후 80%는 생존 가능하지만 운동, 인지, 지각, 감각, 언어 기능에서 후유장애가 발생하며, 특히 뇌손상이 한쪽에 발생하면 병변 반대쪽의 상하지와 체간 근육이 약화되는 편마비 증상이 발생되게 된다. 편마비 환자의 운동기능 회복에 있어서 하지기능은 상지기능에 비해 빠르게 회복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Kwakkel과 Kollen, 2007; Langhorne 등, 2011).
CIMT 적용시 가장 효과가 큰 분류는 무엇인가? 적용 효과는 운동손상, 운동기능과 장애, 심리적 요인의 세 분류로 나누어 알아보았다. 그 중 가장 높은 효과크기를 보이는 분류로는 심리적 요인 영역으로, 그 효과크기는 .946으로 높은 효과크기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강지연. 자기효능을 이용한 건측억제유도운동 (Constraint-induced movement)이 편마비 환자의 상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2. 김금순, 강지연. 상지운동훈련이 편마비 환자의 상지활동, 일상생활활동 및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재활간호학회지. 2002;5(2):134-144. 

  3. 김금순, 강지연. 바이오피드백과 건측 억제유도 운동을 이용한 상지운동훈련이 편마비 환자의 상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2003;33(5):591-600. 

  4. 김덕용, 박창일, 장원혁 등. 만성 편마비 환자에서 건측 상지 운동 제한 치료법의 효과. 대한재활의학회지. 2003;27(6):813-818. 

  5. 김영미, 황윤태, 박래준. 건측억제유도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손 기능과 일상생활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학회지. 2005;7(4):493-504. 

  6. 김지혁. 편마비 환자에 대한 비환측 상지고정술 적용 효과.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7. 박소연, 신인수. 국내 노인을 대상으로 한 낙상예방운동 프로그램이 근력증가에 미치는 효과: 메타분석.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11;18(3):38-48. 

  8. 배정희.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의 건측억제-환측유도 운동이 환측 상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전북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9. 손미옥.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 회복을 위한 CIMT 적용 효과.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10. 손미옥, 김은수, 박시운 등. 뇌졸중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한 변형 건측 상지 운동 제한 치료법의 효과. 대한재활의학회지. 2007;31(1):56-62. 

  11. 성인영, 박준민. 편마비형 뇌성마비 환아에서 건측 상지 고정술을 통한 상지 기능 촉진 효과. 대한재활의학회지. 1998;22(4):828-832. 

  12. 신형수. 억제유도동작치료 시작시기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13. 유광수, 배정희.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의 건측억제-환측유도 운동이 환측 상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06;17(4):482-491. 

  14. Becker BJ. Synthesizing standardized mean-change measures. Br J Math Stat Psychol. 1988;41(2): 257-278. 

  15. Bonita R, Mendis S, Truelsen T, et al. The global stroke initiative. Lancet Neurol. 2004;3(7):391-393. 

  16.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s. Hillsdale, NJ, Routledge Academic, 1988, 24-26. 

  17. Cooper H. Research Synthesis and Meta-analysis: A step-by-step approach. 4th eds. CA, SAGE Publications Inc., 2010, 111-113. 

  18. Cooper H, Hedges LV. The Handbook of Research Synthesis. CA, Russell Sage Foundation, 1994, 301-322. 

  19. Corbetta D, Sirtori V, Moja L, et al.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in stroke patient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Eur J Phys Rehabil Med. 2010;46(4):537-544. 

  20. Dahl AE, Askim T, Stock R, et al. Short- and long-term outcome of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after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feasibility trial. Clin Rehabil. 2008;22(5):436-447. 

  21. Gurusamy KS, Gluud C, Nikolova D, et al. Assessment of risk of bias in randomized clinical trials in surgery. Br J Surg. 2009;96(4):342-349. 

  22. Hakkennes S, Keating JL.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following stroke: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sed controlled trials. Aust J Physiother. 2005;51(4):221-231. 

  23. Kwakkel G, Kollen B. Predicting improvement in the upper paretic limb after stroke: A longitudinal prospective study. Restor Neurol Neurosci. 2007;25(5-6):453-460. 

  24. Kwakkel G, Wagenaar RC, Kollen BJ, et al. Predicting disability in stroke: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Age Ageing. 1996;25(6):479-489. 

  25. Langhorne P, Bernhardt J, Kwakkel G. Stroke rehabilitation. Lancet. 2011;377(9778):1693-1702. 

  26. Liepert J. Evidence-based therapies for upper extremity dysfunction. Curr Opin Neurol. 2010;23(6):678-682. 

  27. Michael KM, Shaughnessy M. Stroke prevention and management in older adults. J Cardiovasc Nurs. 2006;21(5 Suppl 1):S21-S26. 

  28. Morris SB, DeShon RP. Combining effect size estimates in meta-analysis with repeated measures and independent-groups designs. Psychol Methods. 2002;7(1):105-125. 

  29. Myint JM, Yuen GF, Yu TK, et al. A study of constraint- induced movement therapy in subacute stroke patients in Hong Kong. Clin Rehabil. 2008;22(2):112-124. 

  30. Oujamaa L, Relave I, Froger J, et al. Rehabilitation of arm function after stroke. Literature review. Ann Phys Rehabil Med. 2009;52(3):269-293. 

  31. Page SJ, Sisto S, Levine P, et al. Efficacy of modified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in chronic stroke: A single-blinde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rch Phys Med Rehabil. 2004;85(1):14-18. 

  32. Rerkasem K, Rothwell PM. Meta-analysis of small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in surgery may be unreliable. Br J Surg. 2010;97(4):466-469. 

  33. Schaechter JD, Kraft E, Hilliard TS, et al. Motor recovery and cortical reorganization after constraint- induced movement therapy in stroke patients: A preliminary study. Neurorehabil Neural Repair. 2002;16(4):326-338. 

  34. Shi YX, Tian JH, Yang KH, et al. Modified constraint- induced movement therapy versus traditional rehabilitation in patients with upper-extremity dysfunction after strok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rch Phys Med Rehabil. 2011;92(6):972-982. 

  35. Sirtori V, Corbetta D, Moja L, et al.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for upper extremities in stroke patients.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09;(4):CD004433. 

  36. van der Lee JH.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Some thoughts about theories and evidence. J Rehabil Med. 2003;(Suppl 41):41-45. 

  37. van der Lee JH, Wagenaar RC, Lankhorst GJ, et al. Forced use of the upper extremity in chronic stroke patients: Results from a single-blind randomized clinical trial. Stroke. 1999;30(11): 2369-2375. 

  38. Wolf SL, Lecraw DE, Barton LA, et al. Forced use of hemiplegic upper extremities to reverse the effect of learned nonuse among chronic stroke and head-injured patients. Exp Neurol. 1989;104(2):125-132. 

  39. Zipp GP, Winning S. Effects of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on gait, balance, and functional locomotor mobility. Pediatr Phys Ther. 2012;24(1):64-68.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