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체중이동 훈련을 통한 관절가동화기법이 편마비환자의 균형 및 보행속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Weight Shift Training With Joint Mobilization on Balance and Gait Velocity of Hemiplegic Patients 원문보기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Physical Therapy Korea, v.19 no.1, 2012년, pp.10 - 18  

손효영 (유성웰니스병원 재활센터) ,  최종덕 (대전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weight shift training with joint mobilization on the ankle joint passive range of motion (PROM), balance capacity and gait velocity in hemiplegic patients. Fourteen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the experimental group (EG) or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치료기간이 짧아 체중이동훈련을 통한 관절가동화기법의 중, 장기효과를 관찰할 수 없었으나, 관절가동화기법은 단기 적용에도 관절가동범위 및 움직임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8∼12회기에 치료효과를 나타냈다(Collins 등, 2004; Kluding과 Santos, 2008).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12회기를 매일 총 2주에 걸쳐 적용하여 체중이동훈련을 통한 관절가동화기법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다른 제한점으로 관절가동화기법의 경우 편마비환자를 대상으로 한 선행 연구가 거의 없어 연구결과에 대한 비교에 어려움이 있었다.
  •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환자는 근육의 생역학적 변화로 초래되는 발목관절의 뻣뻣함과 관절구축으로 건강한사람에 비해 배측굴곡의 관절가동범위가 감소하고 마비측으로의 체중이동 능력이 저하되며, 균형 및 보행에 장애를 받는다(Chung 등, 2004; Gao 등, 2009; Harlaar 등, 2000).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편마비환자의 마비측 발목에 체중이동 훈련을 통한 관절가동화기법을 적용한 후 배측굴곡 수동관절가동범위와 균형 및 보행속도의 향상 여부를 알아보고, 관절가동화기법이 편마비환자의 균형 및 보행속도 향상에 적합한 치료방법인지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험군에서 배측굴곡 수동관절가동범위가 증가되고 균형 및 보행 속도가 향상된 것을 볼 수 있었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기립자세에서 마비측 하지로의 체중이동능력 향상을 위한 체중이동 훈련과 배측 굴곡 관절가동범위증가를 위한 관절가동화기법을 접목하여 적용하였을 때, 마비측 발목의 배측굴곡 수동관절가동범위와 균형 및 보행속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의 가설은 체중이동 훈련을 통한 관절가동화기법적용의 그룹에서 배측굴곡 수동관절가동범위의 증가, 균형의 향상, 보행속도의 증가를 보일 것이라 설정하였다.

가설 설정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기립자세에서 마비측 하지로의 체중이동능력 향상을 위한 체중이동 훈련과 배측 굴곡 관절가동범위증가를 위한 관절가동화기법을 접목하여 적용하였을 때, 마비측 발목의 배측굴곡 수동관절가동범위와 균형 및 보행속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의 가설은 체중이동 훈련을 통한 관절가동화기법적용의 그룹에서 배측굴곡 수동관절가동범위의 증가, 균형의 향상, 보행속도의 증가를 보일 것이라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환자에서 나타나는 운동기능장애는 무엇에 의해 발생되나? 뇌졸중은 병변부위에 따라 운동기능장애, 인지 및 지각기능장애, 감각장애, 언어장애, 정서장애 등다양한 기능장애를 보인다(Mahabir 등, 1998).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환자에서 나타나는 운동기능장애는 골격근 마비에 의한 근 약화, 강직(spasticity)과 같은 비정상적인 근 긴장, 비정상적인 움직임 패턴, 비정상적인 자세, 균형능력의 결함, 체중이동 능력의 감소 등으로 운동조절 능력에 문제가 생김으로써 발생한다(Sharp와 Brouwer, 1997). 비정상적인 근 긴장과 체중이동 능력의 저하는 마비측의 운동량을 감소시키고, 비정상적인 체중지지로 보행양상의 변화를 초래하며, 마비측 하지의 근 수축능력 감소와 강직 등 근육과 결합조직의 특성변화를 초래한다(김봉옥 등, 2001; Chen 등, 2003; Richards 등, 2003).
뇌졸중은 어떠한 장애를 보이는가? 인구의 고령화로 뇌졸중의 유병율이 증가하는 반면 의료기술의 발달로 사망률은 줄어들고 있다(Rosamond 등, 2008). 뇌졸중은 병변부위에 따라 운동기능장애, 인지 및 지각기능장애, 감각장애, 언어장애, 정서장애 등다양한 기능장애를 보인다(Mahabir 등, 1998).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환자에서 나타나는 운동기능장애는 골격근 마비에 의한 근 약화, 강직(spasticity)과 같은 비정상적인 근 긴장, 비정상적인 움직임 패턴, 비정상적인 자세, 균형능력의 결함, 체중이동 능력의 감소 등으로 운동조절 능력에 문제가 생김으로써 발생한다(Sharp와 Brouwer, 1997).
수동관절가동범위측정 할 때 오차를 줄이기 위해 실시한 것은? 두 축이 90°를 이루도록 하여 대상자의 발목을 중립에 위치시킨 후 수동적으로 배측굴곡 시켜 각도를 측정한다. 이 때, 내반과 외반을 피해 측정하였으며 오차를 줄이기 위해 총 3회 반복 실시하여 평균을 측정값으로 사용하였다. 관절각도계를 사용한 발목 배측굴곡의 수동가동범위측정은 측정자 내 신뢰도(ICC=.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공원태, 마상렬, 김태호. 회외발에 대한 족관절 관절가동술이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009;20(3);527-539. 

  2. 김봉옥, 김태민, 채진목 등. 뇌졸중 환자의 보행 시작 중에 보이는 운동역학 특성. 대한재활의학회지. 2001;25(2):227-235. 

  3. 김종만, 안덕현. 강직성 편마비 환자에서의 운동장애는 강직 때문인가? 근육약화 때문인가?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02;9(3):125-135. 

  4. 박종한, 권용철. 노인용 한국판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K)의 표준화 연구-제2편: 구분점 및 진단적 타당도. 신경정신의학. 1989;28(3):508-513. 

  5. 박지웅, 안재기, 박용범 등. 보행 가능한 편마비 환자에서 편측 및 건측 하지 발목 관절의 인대와 힘줄의 초음파 비교.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10;17(2):60-66. 

  6. 이성은. 발목관절 가동범위 증진 프로그램이 노인의 보행과 균형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05;12(2):28-36. 

  7. 이한숙, 최홍식, 권오윤. 균형조절 요인에 관한 고찰.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1996;3(3):82-91. 

  8. 형인혁. 발의 안정성이 균형과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8:92-103. 

  9. Rosamond W, Fleqal K, Furie K, et al. Heart disease and stroke statistics 2008 update: A repor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statistics committee and stroke statistics subcommittee. Circulation. 2008;117:e25-e146. 

  10. Andriacchi TP, Andersson GB, Fermier RW, et al. A study of lowerlimb mechanics during stair-climbing. J Bone Joint Surg Am. 1980;62(5):749-757. 

  11. Berg KO, Maki BE, Williams JI, et al. Clinical and laboratory measures of postural balance in an elderly population. Arch Phys Med Rehabil. 1992;73(11):1073-1080. 

  12. Chen CL, Chen HC, Tang SF, et al. Gait performance with compensatory adaptations in stroke patients with different degrees of motor recovery. Am J Phys Med Rehabil. 2003;82(12):925-935. 

  13. Chou SW, Wong AM, Leong CP, et al. Postural control during sit to stand and gait in stroke patients. Am J Phys Med Rehabil. 2003;82(1):42-47. 

  14. Chung SG, Van Rey E, Bai Z, et al. Biomechanic changes in passive properties of hemiplegic ankles with spastic hypertonia. Arch Phys Med Rehabil. 2004;85(10):1638-1646. 

  15. Cochrane CG. Joint mobilization principles: Considerations for use in the child with central nervous system dysfunction. Phys Ther. 1987;67(7):1105-1109. 

  16. Collins N, Teys P, Vicenzino B. The initial effects of a Mulligan's mobilization with movement technique on dorsiflexion and pain in subacute ankle sprains. Man Ther. 2004;9(2):77-82. 

  17. Dean CM, Richards CL, Malouin F. Task-related circuit training improves performance of locomotor tasks in chronic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trial. Arch Phys Med Rehabil. 2000;81(4):409-417. 

  18. Dijs HM, Roofthooft JM, Driessens MF, et al. Effect of physical therapy on limited joint mobility in the diabetic foot. J Am Podiatr Med Assoc. 2000;90(3):126-132. 

  19. Duncan PW, Weiner DK, Chandler J, et al. Functional reach: A new clinical measure of balance. J Gerontol. 1990;45(6):192-197. 

  20. Elveru RA, Rothstein JM, Lamb RL. Goniometric reliability in a clinical setting: Subtalar and ankle joint measurements. Phys Ther. 1988;68(5):672-677. 

  21. Eng JJ, Chu KS. Reliability and comparison of weight-bearing ability during standing tasks for individuals with chronic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02;83(8):1138-1144. 

  22. Friden J, Lieber RL. Spastic muscle cells are shorter and stiffer than normal cells. Muscle Nerve. 2003;27(2):157-164. 

  23. Gao F, Grant TH, Roth EJ, et al. Changes in passiv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gastrocnemius muscle at the muscle fascicle and joint levels in stroke survivors. Arch Phys Med Rehabil. 2009;90(5):819-826. 

  24. Given JD, Dewald JP, Rymer WZ. Joint dependent passive stiffness in paretic and contralateral limbs of spastic patients with hemiparetic stroke.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1995;59(3):271-279. 

  25. Green T, Refshauge K, Crosbie J, et al.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a passive accessory joint mobilization on acute ankle inversion sprains. Phys Ther. 2001;81(4):984-994. 

  26. Harlaar J, Becher JG, Snijders CJ, et al. Passive stiffness characteristics of ankle plantar flexors in hemiplegia. Clin Biomech(Bristol, Avon). 2000;15(4):261-270. 

  27. Hunt SM, Mckenna SP, Williams J. Reliability of a population survey tool for measuring perceived health problems: A study of patients with osteoarthrosis.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1981;35(4):297-300. 

  28. Jeng SF, Schenkman M, Riley PO, et al. Reliability of a clinical kinemetic assessment of the sit to stand movement. Phys Ther. 1990;70(8):511-520. 

  29. Kaltenborn FM. Manual Mobilization of the Joints: The Kaltenborn method of joint examination and treatment. Oslo, Olaf Norlis Bokhandel, 1999:21-26. 

  30. Kluding PM, Santos M. Effects of ankle joint mobilizations in adults poststroke: A pilot study. Arch Phys Med Rehabil. 2008;89(3):449-456. 

  31. Mahabir D, Bickran L, Gullifort MC. Stroke in trinidad and tobago: Burden of illness and risk factors. Rev Panam Salud Publica. 1998;4(4):233-237. 

  32. Mecagni C, Smith JP, Roberts KE, et al. Balance and ankle range of motion in community-dwelling women aged 64 to 87 years: A correlational study. Phys Ther. 2000;80(10):1004-1011. 

  33. Morris S, Morris ME, Iansek R. Reliability of measurements obtained with the timed up and go test in people with Parkinson disease. Phys Ther. 2001;81(2):810-818. 

  34. Mulligan BR. Manual Therapy: NAGS, SNAGS, MWM'S, etc, 4th ed. Wellington, Plane View Services Ltd., 1999:121-125. 

  35. Perry J. Kinegiology of lower extremity bracing. Clin Orthop Relat Res. 1974;102:18-31. 

  36. Podsiadlo D, Richardson S. The timed "up & go": A test of basic functional mobility for frail elderly person. J Am Geriatr Soc. 1991;39(2):142-148. 

  37. Richards JD, Pramanik A, Sykes L, et al. A comparison of knee kinematic characteristics of stroke patients and agematched healthy volunteers. Clin Rehabil. 2003;17(5):565-571. 

  38. Runge CF, Shupert CL, Horak FB, et al. Ankle and hip postural strategies defined by joint torques. Gait Posture. 1999;10(2):161-170. 

  39. Salsich GB, Mueller MJ, Hastings MK, et al. Effect of achilles tendon lengthening on ankle muscle performance in people with diabetes mellitus and a neuropathic plantar ulcer. Phys Ther. 2005;85(1):34-43. 

  40. Schenkman M, Bulter RB. A model for multisystem evaluation treatment of individual with Pakinson's disease. Phys Ther. 1989;69(11):932-943. 

  41. Sharp SA, Brouwer BJ. Isokinetic strength training of the hemiparetic knee: Effect on function and spasticity. Arch Phys Med Rehabil. 1997;78(11):1231-1236. 

  42. Shumway-Cook A, Brauer S, Woollacott M. Predicting the probability for falls in community dwelling older adults using the timed up & go test. Phys Ther. 2000;80(9):896-903. 

  43. Svantesson U, Takahashi H, Carlsson U, et al. Muscle and tendon stiffness in patients with upper motor neuron lesion following a stroke. Eur J Appl Physiol. 2000;82(4):275-279. 

  44. Thilmann AF, Fellows SJ, Ross HF. Biomechanical changes at the ankle joint after stroke.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1991;54(2):134-139. 

  45. Tilson JK, Settle SM, Sullivan KJ. Application of evidence- based practice strategies: Current trends in walking recovery interventions poststroke. Top Stroke Rehabil. 2008;15(3):227-246. 

  46. Wolfson L, Whipple R, Judge J, et al. Training balance and strength in the elderly to improve function. J Am Geriatr Soc. 1993;41(3):341-34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