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육정책의 실태와 과제
The Status and Challenges of Child Care Policy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3 no.12, 2012년, pp.5738 - 5744  

노명숙 (전주비전대학교 아동복지과)

초록

본 연구는 문헌조사방법을 통해 보육정책의 현황을 정리하고, 문제점을 파악하여 향후 보육정책의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실태 분석을 통해 발견한 보육정책의 문제점은 0~2세 전 계층 무상 보육으로 인해 실수요계층인 맞벌이 가정의 이용이 어려운 점, 양육수당의 지원 대상에서 36개월 이상의 보육시설을 이용하지 않는 저소득층이 제외된 점, 보육시설 이용아동 대부분 국공립이 아닌 민간어린이집을 이용하므로 보육의 공공성 확보가 어려운 점 등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향후 보육정책에서 국공립어린이집 확충으로 보육의 공공성을 확보하고, 양육수당을 현실화하고, 질 높은 영아전담 어린이집의 수를 늘리고, 시간제 보육서비스를 확대하고, 부모교육 및 상담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status of Child Care Policy, to discover the problems faced by child care policy and to provide better Child Care policies to reorient in the future. The following problems have been identified through the Child Care Policy Analysis of: (1) Due to '0 to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보육정책의 실태를 분석하고 문제점을 찾고, 향후 보육정책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사회복지정책 분석모델 중 ‘대상이 누구인지’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여 0~5세 아동 중 보육정책의 사각지대가 발생할 수 있는 부분을 지적하고, 저소득층에게는 양육수당의 확대가 필요하다는 점을 설명하고, 시간제보육 확대와 부모교육과 상담서비스 필요성을 주장한 점에서는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보육정책에 관한 문헌조사를 통해 보육정책의 실태를 분석하였다. 사회복지정책의 분석 모델인 Gilbert & Terrell의 모델을 적용하여 보육정책의 대상자는 누구이고 복지예산의 수혜자는 누구인지에 대해 초점을 두어 분석하였다.
  • 서울시의 ‘서울형어린이집’과 부산시의 ‘공보육어린이집’을 통해 이미 시범적으로 진행된 바 있으므로 이 사업에 대한 평가를 통해 공공형 어린이집을 보강하는 것이다.
  • 우리나라의 보육정책의 중요성과 영유아보육법의 목적에 부합한 보육정책이 펼쳐져야 할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기에, 본 연구는 보육정책에 대한 우리나라의 현황을 정리하고, 현 보육정책이 안고 있는 문제점들에 대해 파악하여 향후 보육정책이 풀어야할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 즉 보육정책에서 복지의 대상자는 누구이고, 보육예산의 수혜자는 누구인지에 초점을 두어 분석하였다. 이 분석을 통해 보육정책의 현 실태와 문제점을 찾아내고, 이를 토대로 향후 보육정책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 이상의 실태분석과 문제점 발견을 통해 향후 보육정책이 해결해야 할 과제가 있다. 첫째, 국공립어린이집이나 법인 보육시설을 확충하여 보육의 공공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더불어 정부의 재정을 민간어린이집에 지원함과 동시에 국가의 지도감독권을 강화함을 통해 공공형 어린이집을 많이 보강하는 것이 필요하다.

가설 설정

  • 누가, 어느 집단을 사회복지의 대상자로 할 것인가에 관한 것으로 사회복지급여를 소수에 국한할 것인지(선택주의), 전 국민에게 제공할 것인지(보편주의)에 대한 문제가 포함된다. 둘째, 사회적공급이다. 사회복지 대상자에게 무엇을 제공할 것인가의 문제를 말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저출산으로 인해 노동인구가 감소하는 나이는? 최근 우리나라는 저출산으로 15~64세 노동인구가 감소하는 상황에 직면하면서 심각하게 위기의식을 느끼고 있다. 그러나 이와 더불어 문제가 되는 것은 여성의 교육 경험이 늘어났음에도 불구하고 경제활동참가율은 2002년 10월 50.
저출산으로 인해 문제가 되는 것은 무엇인가? 최근 우리나라는 저출산으로 15~64세 노동인구가 감소하는 상황에 직면하면서 심각하게 위기의식을 느끼고 있다. 그러나 이와 더불어 문제가 되는 것은 여성의 교육 경험이 늘어났음에도 불구하고 경제활동참가율은 2002년 10월 50.5%, 2012년 10월 50.4%[1]로 십여 년이 지나도 그다지 증가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또한 2005년 이래 계속 우리나라의 합계출산율이 1.1~1.2명을 넘지 못하고 있다. 저출산 극복과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확대는 미래의 성장 동력 확보라는 측면에서 국가의 중요한 과업으로 인식되고 있다.
저출산 극복과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확대는 어떤 측면에서 국가의 중요한 과업으로 인식되는가? 2명을 넘지 못하고 있다. 저출산 극복과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확대는 미래의 성장 동력 확보라는 측면에서 국가의 중요한 과업으로 인식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Bureau of Statistics, www.kostat.go.kr, 2012. 

  2. Won, S.J., "Social Welfare Policy", pp. 37-38, Gongdongche, 2011. 

  3. Gilbert, N. and Terrell, P., "Dimensions of Social Welfare Policy"(5th ed), Boston: Allyn & Bacon, 2002. 

  4. Choi, M.O., "Status and challenges of childcare support policies-Focusing on the analysis of Future Wheel", 2012 The Korean Association for Policy Studies Summer Seminar, pp. 665-683, 2012. 

  5. Yoo, H.J., "Childcare development of the basic plan development, Women's Studies", 62,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2002. 

  6. Pyo, K.S., "Korea Childcare business status and development plan", Korea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40, pp. 139-163, 2004. 

  7. Lee, S.Y., "A study on Status of Childcare Policies and Ways to Improve the Situation in Ko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University of Seoul, p. 72, 2006. 

  8. Park, Y.M., "Empirical research on childcare policy in Kore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2000. 

  9. Oh, Y.M. and Park, B.S., "Analysis of Ulsan Metropolitan City of childcare policy", 2010 The Korean Association for Policy Studies Summer Seminar, pp. 409-430, 2010. 

  10. Jung, H.J., "Lee Myung-bak government's child care policy issues and challenges", Korea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42, pp. 279-303, 2006. 

  11. Shon, K.H. and Cho, B.H., "The Employment and Child Care Choices of Mothers with Infant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8, 7, pp. 59-76, 2010, Article(CrossRefLink) 

  12. KDI, "Analysis on the impact of women's wages level on fertility", KDI,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