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해연안 패류의 성분원소 함량 및 퇴적물의 지화학적 특성
Contents of Inorganic Elements in Shellfish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urface sediments on the West Coast of Korea 원문보기

한국패류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28 no.3, 2012년, pp.225 - 232  

최윤석 (국립수산과학원 갯벌연구소) ,  송재희 (국립수산과학원 갯벌연구소) ,  박광재 (국립수산과학원 갯벌연구소) ,  윤상필 (국립수산과학원 갯벌연구소) ,  정상옥 (국립수산과학원 갯벌연구소) ,  안경호 (국립수산과학원 갯벌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갯벌어장에 서식하는 패류의 성분원소 함량 및 연안 생태계의 퇴적물의 지화학적 특성의 연관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서해연안을 연구지역으로 선정하였다. 연구지역내 갯벌어장 표층퇴적물의 COD, AVS, IL의 지화학적특성은 다소 오염된 지역이 나타나지만 대부분 양식장 오염니 기준에 비하여 매우 낮은 농도를 보이며 패류의 성장에 영향이 적은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중금속에 대한 농축비(Ef) 와 농집지수 (Igeo) 의 결과는 연구지역이 오염원이 적은 자연적인 상태를 유지하여 서식하는 패류에 대한 오염이 적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연구지역내에 서식하는 패류의 성분원소 함량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퇴적물과 패류의 원소함유량의 상관관계는 연관성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패류의 무기원소 및 중금속의 농축은 Mn, Zn에 대해서만 상관관계가 반영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갯벌어장의 패류 및 저서생물들이 서식하기에 좋은 조간대 퇴적물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어장관리를 위한 중금속 오염에 대한 기준설정이 필요하며, 오염경로와 퇴적물의 오염원을 관리할 수 있는 체계적인 정책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of between the contents of inorganic elements in shellfish and surface sediments, we measured the concentration of inorganic elements (As, Ca, Cd, Cr, Fe, Hg, Li, Mn, Ni, P, Pb, Zn) in various shellfish and surface sediments of research area. The enrichment fa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함수율 (Water Content) 은 미리 무게를 측정한 도가니에 퇴적물 시료 약 20 g을 담아 건조기에서 110℃로 24시간 가열한 후 데시케이터 안에서 실온으로 식혀 도가니의 무게를 측정한다. 그리고 강열감량 (Ignition Loss) 은 도가니를 전기로에 넣고 550℃에서 4시간 가열한 후 데시케이터 안에서 방냉하여 도가니의 무게를 측정한 후 그 무게차이로 계산하였다.
  • 보관된 시료는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전처리하여 건조한 다음 막자사발을 이용하여 미세한 분말로 분쇄하였고 X-선 형광분석기 (XRF : Rigaku, Model : Supermini) 를 이용하여 무기원소를 정량하였다. 그리고 극미량원소 분석을 위한 산 분해가 필요한 시료는 가식부위 약 0.5 g 정도를 정확하게 달아 진한 질산 2 mL를 첨가하고 마개를 하여 마이크로파 분해 장치를 이용하여 산 분해하였다. 그리고 방냉하여 테프론 비이커에 옮겨 150℃ 청정한 (clean) hot plate hood에서 완전 건조시키고, 진한 질산 2 mL로 2회 반복하여 잔여물을 녹인후 1 N 질산 용액으로 테프론 비이커에 침적된 화학적 성분을 용출시켰다.
  • 그리고 유리섬유 여과 지로 여과한 후, 여과용액 100 mL를 30% H2SO4 2 mL를 넣고 잘 흔든 다음 0.1 N Na2S2O3·H2O 용액으로 적정하여 분석하였다.
  • 퇴적물의 평균입도 분석 (Mean grain size) 은 채취한 시료를 약 20 g 정도 취하여 이온교환수를 이용하여 염분을 제거한다. 그리고 입자의 확산을 위해 10% 과산화수소 (H2O2) 와 0.1 N 염산 (HCl) 을 넣어 유기물과 탄산염 (CaCO3) 을 완전히 제거하였다. 그리고 표준체를 이용한 체질방법과 Stokes의 침전속도를 적용한 피펫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Folk, 1968) 결과의 해석은 Folk (1968) 와 McBride (1971) 의 방법에 따라 처리하였다.
  • , 2002). 따라서 연안생태계의 환경과 서식하는 패류의 연관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연안개발이 되지 않은 비교적 자연성을 유지하고 있는 곳을 연구지역으로 선정하였으며, 갯벌의 표층퇴적물과 서식하는 패류를 채취하여 퇴적물과 가식부위의 무기원소 함유량 및 중금속 함유량을 조사하였다 (Kim et al., 1997). 본 연구에서는 서해연안 표층퇴적물의 지화학적 특성에 따른 오염 정도를 조사하였고 갯벌어장에서식하는 패류의 성분원소 및 중금속 함량을 조사하였고, 퇴적물 내에 농축되기 쉬운 중금속들 중에서 몇 종의 원소를 선택하여 중금속에 대한 부화지수 Enrichment Factor (EF), 농집지수 Geoaccumulation index (Igeo) 를 계산하여 퇴적물과 서식하는 패류의 중금속 농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 또한 산 분해를 위한 시료는 퇴적물 시료와 패류의 패각시료는 약 0.5 g 정도를 정확하게 달아 진한 질산 : 과염소산 :불소산 = 2 : 1 : 2의 혼합된 산 10 mL를 첨가하고 마개를 하여 마이크로파 분해 장치를 이용하여 산 분해하였다. 그리고 방냉 하여 테프론 비이커에 옮겨 150℃ 청정한 hot plate hood에서 완전 건조시키고, 진한 질산 2 mL로 2회 반복하여 잔사를 녹인 후 1 N 질산 용액으로 테프론 비이커에 침적된 화학적 성분을 용출시켰다.
  • 보관된 시료는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전처리하여 건조한 다음 막자사발을 이용하여 미세한 분말로 분쇄하였고 X-선 형광분석기 (XRF : Rigaku, Model : Supermini) 를 이용하여 무기원소를 정량하였다.
  • , 1997). 본 연구에서는 서해연안 표층퇴적물의 지화학적 특성에 따른 오염 정도를 조사하였고 갯벌어장에서식하는 패류의 성분원소 및 중금속 함량을 조사하였고, 퇴적물 내에 농축되기 쉬운 중금속들 중에서 몇 종의 원소를 선택하여 중금속에 대한 부화지수 Enrichment Factor (EF), 농집지수 Geoaccumulation index (Igeo) 를 계산하여 퇴적물과 서식하는 패류의 중금속 농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 분석의 정도관리 (QA/QC) 를 위하여 마이크로파 분해 장치 산분해시 마다 8개의 시료와 2개의 정도관리 표준물질 MESS-3를 시료와 동일하게 산분해하여 시료로 준비하여 최적 분석조건으로 유도결합질량분석기 (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ICP-MS, Model: Elan 9000, Perkin Elmer Co.) 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 서해연안의 표층퇴적물과 패류는 조사정점 (Fig. 1) 과 같이 조간대가 형성되어 있어 패류양식을 하고 있는 지역으로 시료는 현장에서 채취하여 즉시 냉장보관함에 담아 실험실로 옮긴 후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국토해양부, 2010) 에 따라 퇴적물 입도, 유기물 함량, 함수율, 화학적 산소요구량 및 황화물을 조사하여 퇴적물의 건강상태를 평가하였다.

대상 데이터

  • 갯벌어장에 서식하는 패류의 성분원소 함량 및 연안 생태계의 퇴적물의 지화학적 특성의 연관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서해연안을 연구지역으로 선정하였다.
  • 그리고 무기원소 분석을 위한 시료의 채취는 산 세척된 플라스틱 주걱을 이용하여 산 세척된 폴리에틸렌 병에 표층퇴적물 50 g 정도를 현장에서 채취하였으며, 이들 시료는 즉시 보냉 시료보관함에 담아 실험실로 옮긴 후 급속 냉동하여 전처리 전까지 보관하였다.
  • 그리고 방냉 하여 테프론 비이커에 옮겨 150℃ 청정한 hot plate hood에서 완전 건조시키고, 진한 질산 2 mL로 2회 반복하여 잔사를 녹인 후 1 N 질산 용액으로 테프론 비이커에 침적된 화학적 성분을 용출시켰다. 그리고 미리 산 세척된 100 mL 부피 플라스크 (volumetric flask) 에 정용하여 시료로 준비하였다.
  • 따라서 갯벌에 서식하는 패류의 성장과 영양 및 종 조성에 많은 변화를 준다. 조사정점의 퇴적물은 니질사 또는 니질로 구성되어 일반 적인 양식어장의 입도 구성을 나타내었다 (Table 1).

이론/모형

  • 1 N 염산 (HCl) 을 넣어 유기물과 탄산염 (CaCO3) 을 완전히 제거하였다. 그리고 표준체를 이용한 체질방법과 Stokes의 침전속도를 적용한 피펫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Folk, 1968) 결과의 해석은 Folk (1968) 와 McBride (1971) 의 방법에 따라 처리하였다.
  • 연구지역내의 표층 퇴적물중 금속원소의 오염평가는 저질특성을 반영하여 오염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인 농집지수인 (Igeo) 를 계산하였다 (Hwang et al, 2006). Igeo 지수는 Müller (1979) 에 의하여 제시된 것으로 퇴적물에 함유된 금속원소의 농도를 오염되지 않은 금속원소의 농도와 비교하는 방법이다 (Hwang et al.
  • , 2003). 즉 퇴적물 내 금속원소의 농도를 오염되지 않은 지역에서의 자연적인 농도와 (Lim et al., 2007) 비교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며 그 방법으로 부화지수 Enrichment Factor(EF), 농집지수 Geoaccumulation index (Igeo) 의 방법을 이 연구에서는 이용하였다. 먼저 EF는 퇴적물 내의 측정된 Al에 대한 각 금속원소의 농도비 [(Me/Al)observed] 를 지각물질 중 Al에 대한 각 금속원소의 농도비 [(Me/Al)crust] 로 나누어 준 값을 말한다 (Eq.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서해 연안이 패류양식에 적합한 이유는? 서해 연안은 조수 간만의 차가 크고 갯벌이 발달되어 있어 패류양식에 적합한 조건을 가지고 있다. 특히 바지락, 굴, 가무락, 백합 등의 패류양식은 1980년 이후에 시작되어 갯벌어장에서 최고 생산량을 기록하며 생산성이 향상되어 왔지만, 갯벌 양식어장 주변의 공장건립, 인간의 생활하수 등에 의한 갯벌 어장 오염과 연안의 간척과 매립으로 환경이 변화하면서 갯벌어장의 연안퇴적물이 가지고 있는 지화학적 특성이 변화되어왔다 (Kim et al.
갯벌어장의 환경오염도 측정 방법으로 생물을 이용한 방법은? 이러한 생물을 이용한 평가방법으로 (Lee et al., 2006) 은 갯벌생태계의 현탁물을 섭식 (suspension-feeding) 하여 성장하는 바지락에서 중금속을 농축 및 축적하는 특이 단백질 (metallothionein, MT) 을 환경오염의 지표물질로 사용하여 중금속에 의한 환경오염을 측정하는 방법의 가능성을 보고하였다. 한편 (Ahn et al.
갯벌어장의 오염도가 증가하고 생산성이 저하되고 있는 이유는? 서해 연안은 조수 간만의 차가 크고 갯벌이 발달되어 있어 패류양식에 적합한 조건을 가지고 있다. 특히 바지락, 굴, 가무락, 백합 등의 패류양식은 1980년 이후에 시작되어 갯벌어장에서 최고 생산량을 기록하며 생산성이 향상되어 왔지만, 갯벌 양식어장 주변의 공장건립, 인간의 생활하수 등에 의한 갯벌 어장 오염과 연안의 간척과 매립으로 환경이 변화하면서 갯벌어장의 연안퇴적물이 가지고 있는 지화학적 특성이 변화되어왔다 (Kim et al.,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hn, I. Y., Ji, J. Y., Choi, H. S., Pyo, S. H., Park, H. and Choi, J. W. (2006) Spatial variations of heavy metal accumulation in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from some selected intertidal flats of Korea. Ocean and Polar Research, 28(3): 215-224. 

  2. Choi, M. S., Chun, J. H., Woo, H. J. and Yi, H. I. (1999) Change of heavy metals and sediment facies in surface sediments of the Shiwa Lake.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s, 8(5): 593-600. 

  3. Cho, S. M., Kim, Y. H., and Jeong, W. G. (2009) The study on bioaccumulation of heavy metals in the cultured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along the coast of Tongyeong, Korea.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25(3): 213-222. 

  4. Cho, T, C., Lee, S. B. and Kim, S. Y. (2001) Sedimentological and hydro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bed deposits for the cultivation of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in Gomso tidal flat. Journal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34(3): 245-253. 

  5. Cho, Y. G., Ryu, S. O., Khu, Y. K. and Kim, J. Y. (2001) Geochemical composition of surface sediments from the Saemangeum tidal flat, west coast of Korea.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6(1): 27-34. 

  6. Hong, S. P., Kim, D. S. and Kim, Y. M. (1997) Effect of water temperature, salt and $MgCl_{2}$ concentration on sand ejection characteristics of short neck clam, Luditapes philippinarum. Journal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30(1): 114-118. 

  7. Hwang, D. W., Jin, H. G., Kim, S. S., Kim, J. D., Park, J. S. and Kim, S. G. (2006) Distribution of organic matters and metallic elements in the surface of Masan harbor, Korea. Journal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39(2): 106-117. 

  8. Hyun, S. M., Lee, T. H., Choi, J. S., Choi, D. L. and Woo, H. J. (2003) Ge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heavy metal pollutions in the surface sediments of Gwangyang and Yeosu bay, south coast of Korea.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8(4): 380-391. 

  9. Jeon, S. G. and Cho, Y. G. (2002) Some heavy metal concentration of surface sediments from the south coast of Korea.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s, 11(12): 1299-1305. 

  10. Kim, S. K., Lee, M. K., Ahn, J. H., Kang, S. W. and Jeon, S. H. (2005) The effects of mean grain size and organic matter contents in sediments on the nutrients and heavy metals concentration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27(9): 923-931. 

  11. Kim, S. K.(1997) A study on the heavy metals contents of shellfish in western coast of Korea. Jounal of Natural Science of Soonchunhyang University, 3: 353-364. 

  12. Kim, P. G., Park, M. E., Sung, K. Y., Lim, S. T. and Oh, S. M. (2009) Comparative study on distribution of heavy metals of the surface sediments in east/west oceanic dumping areas.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42(2): 121-131. 

  13. Kim, K. T., Kim, E. S., Cho, S. R., Kang, S. H., Kim, J. K. and Park, J. K. (2008) The distribution of heavy metals in the surface waters and sediments of Gaduk in Jinhae Bay,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 14(2): 95-103. 

  14. Lee, C. B., Park, Y. a., Kang, H. J. and Kim, D. C. (1991)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ntinental shelf and slope sediments off ther southeastern coast of Korea.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5(1): 15-32. 

  15. Lee, I. S. and Kim, E. J. (2000) Distribution of heavy metals in sediments, seawater and oysters (Crassostrea gigas) in the Jinhae Bay. Korean Journal of Ecology, 23(1): 59-64. 

  16. Lee, E. H., Ryu, B. H. and Yang, S. T. (1975) Seasonal changes in heavy metal content of baby clam. Journal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8(2): 85-89. 

  17. Lee. Y. S., Jo, Y. H., Byun, I. S., Kang, S. W., Cho, E. M., Han, Y. S., Choi. S. H., Park, H. S., Kho, W. G., Ahn, I. Y. and Jeong, K. H. (2006) Bioaccumulation of heavy metals in Ruditapes philippinarum.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22(2): 157-165. 

  18. Lim, D. I. (2003) Geochemical of coastal sediments around Jeju Island, south sea of Korea: potential provenance of sediment.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4(4): 337-345. 

  19. Lim, D. I., Choi, J. Y., Choi, H. W. and Kim, Y. O. (2007) Natural background level analysis of heavy metal concentration Korean coastal sediments. Ocean and Polar Research, 29(4): 379-389. 

  20. Na, C. K. (2004) Heavy metals in sediments and organisms from tidal flats along the Mokpo coastal area.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37(3): 335-345. 

  21. Park, C. S., Wi, M. Y. and Hwang, E. K. (2008) The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s in the seawater, sediment and seweed in Mokpo coastal regio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26(4): 303-310. 

  22. Song, K. C., Mok, J. S., and Kang, C. S. (2001) Sand elemination in shortnecked clam, Ruditaes philippinarum, harvested from western coast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34(3): 179-183. 

  23. Shin, Y. K., Kim, Y., Chung, E. Y. and Hur, S. B. (2000) Temperature and salinity tolerance of the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Journal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33(3): 213-218. 

  24. Song, M. Y., Choe, B. L., Park, K. S. and Lee, I. S. (1997) Distribution of heavy metals in the sediments and Periwinkles (Littorina brevicula) of Onsan Bay. Korean Journal of Ecology, 20(1): 51-59. 

  25. Yoo, I. S., Yoo, E. J., Lee, J. S., Park, H. and Soh, C. T. (1989) Heavy metals in sediments and shellifish along Mangyong River.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5(1): 35-4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