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사염화탄소에 의하여 유발되는 지질과산화에 의한 간독성에 대한 흰점박이꽃무지 추출물의 보호효과를 일차배양한 간세포와 간독성 흰쥐에서 GPT, bile acid, bilirubin 등의 활성 지표를 통해 간독성 회복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사염화탄소로 유발시킨 일차배양 간세포에 대한 흰점박이꽃무지와 장수하늘소 추출물의 간독성 회복효과는 각각 41.2%와 8.4%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이 간독성 회복 효과가 높게 나타났으며, 용매 추출별로는 흰점박이꽃무지 메탄올 추출물보다는 물 추출물이 농도의존적으로 간독성 회복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사염화탄소에 의해 간독성이 유도된 흰쥐에 흰점박이꽃무지 물추출물 분획별로 처리하였을 때, 분자량 낮을수록 효과적이었으며, 분자량이 1,000이하의 분획물에서 32.1%로 간독성 회복 효과가 우수하였다. 또한 흰쥐에 사염화탄소를 복강투여로 간독성을 유발한 후 흰점박이꽃무지 물분획물을 경구투여할 경우에 혈청 GPT, bile acid와 bilirubin의 활성이 정상군보다는 높았지만 사염화탄소군보다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간섬유화와 관련된 hydroxyproline의 생성 억제에서는 분자량이 1000이하의 분획물에서 사염화탄소군보다 유의성 있게 생성을 억제하여 간섬유화를 예방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중심정맥 쪽에 아주 경미한 허혈성 변성 이외에는 다른 병변을 찾을 수 없었고 세포내에 organelle이 유지된 편이고 콜라겐 형성이 매우 많이 줄어들어 병리조직학적으로도 간보호 효과가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간독성 지표 활성을 긍정적으로 결과를 확인한 흰점박이꽃무지 추출물의 간질환 치료보조제나 건강기능성식품 소재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otaetia. brevitarsis extracts on the protection against liver damage by carbon tetrachloride($CCl_4$) in rat, two kinds of experiment were performed, firstly by the primary hepatocyte culture and secondly by the animal feeding. The primary hepatocyte cultu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간세포에서의 흰점박이꽃무지 물 분획물이 간보호 효과를 사염화탄소로 유도된 간독성 동물에서 간독성 회복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사염화탄소에 의하여 유발되는 지질과산화에 의한 간독성에 대한 흰점박이꽃무지 추출물의 보호효과를 일차배양한 간세포와 간독성 흰쥐에서 GPT, bile acid, bilirubin 등의 활성 지표를 통해 간독성 회복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사염화탄소로 유발시킨 일차배양 간세포에 대한 흰점박이꽃무지와 장수하늘소 추출물의 간독성 회복효과는 각각 41.
  • 사염화탄소에 유도된 간독성 회복효과에 대하여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추출물이 간세포 회복효과가 메탄올 추출물보다 긍정적 효과를 나타내어, 흰점박이꽃무지 물 추출물의 분자량별로 간세포 회복 능력을 알아보고자 분획을 실시하였다. 각각의 분획은 다음과 같이 분자량별로 1,000이하(I), 1,000 ~ 8,000(II), 8,000 ~ 13,000(III), 10,000~ 50,000(IV) 나누었으며, 각 분획별 단백질 함량에서는 분자량이 10,000 ~ 50,000의 물 분획(IV)에서 26.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염화탄소에 의하여 유발되는 지질과산화에 의한 간독성에 대한 흰점박이꽃무지 추출물의 보호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정상 흰쥐의 간세포를 일차 배양하여 in vitro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일반적으로 암세포주를 활용한 in vitro 실험에서 여러 효소 발현이 정상 간세포와 다르게 나타나는데, 일차 배양한 세포의 경우 정상 흰쥐에서 간세포를 분리, 배양하게 되므로 in vivo에서의 작용을 간접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Yun et al.
  • 2006). 이에 일차 배양 간세포에 효과를 사염화탄소를 처리하여 간독성이 유발된 흰쥐에서도 간보호 효과를 확인하여 간질환 치료제나 건강기능성식품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이 침묵의 장기로 알려진 이유는 무엇인가? 간은 당질, 단백질, 지방을 대사하는 중심기관이며, 체내에 들어온 외부물질을 산화, 환원, 가수분해 및 포합 반응을 통해 체내로 배설하는 기능을 담당하지만, 간질환의 초기단계에서 통증이나 자각증상이 잘 나타나지 않고 상당히 악화되어서야 발견되는 ‘침묵의 장기’로 알려져 있다(Friedman 2000). 간질환의 원인은 다양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병인학적으로 바이러스에 기인된 간질환, 약물중독에 기인된 간질환 및 담도기능부전에 의한 간질환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사염화탄소로 인해 간세포의 지질과산화가 촉진된 결과, 간에서 어떤 반응이 나타나는가? 사염화탄소 투여방법, 경로 및 횟수에 따라 급성간염, 지방간, 간 경변 등의 간질환 유발이 가능하기 때문에 투여물질의 효과를 밝히는데 있어 실험적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약물로서 (Recknagel 1983) 체내의 mixed function(cytochrome P-450) oxidase system에 의해 생성된 CCl3 free radical이 간 microsome의 막단백 thiol기와 강하게 공유결합 되어 결국 간세포의 지질과산화를 촉진해서 장해를 일으키게 된다. 그 결과 간에서 단백질 합성 억제와 glycogen 감소, 혈중으로 GOT, GPT 및 LDH 등을 유리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Groot and Noll 1986).
사염화탄소란? 사염화탄소(CCl4)는 유지, 고무, 수지의 용제 등에 이용되어 산업현장에서 쉽게 노출되는 환경공해물질로서(Anita and James 1989) 간에서 단백질 합성과 글리코겐 양을 저하시키고 microsomal enzyme을 억제하며 간세포를 괴사시키므로 간세포에 독성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물질이다 (McCay et al. 1993, Ji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nita KC, James RT(1989) Interaction of hypoxia and carbon tetrachloride toxicity in hepatocyte monolayers. Exp Mol Pathol 50, 183-192. 

  2. Berry MN, Edward AM, Barritt GJ(1991) Laboratory technique in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logy. pp.15, Burdon, eds, Elsevier, New York. 

  3. Choi YH, Lee KY, Yang KM, Jeong YM, Seo JS(2006) Effect of larva extract of Allomyrina dichotoma on carbon tetrachloride- induced hepatotoxicity in m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10), 1349-1355. 

  4. Di Pascoli L, Lion A, Milazzo D, Caregaro L(2004) Acute liver damage in anorexia nervosa. Int J Eat Disord 36(1), 144-147. 

  5. Friedman SL(2000) Molecular regulation of hepatic fibrosis, an integrated cellular response to tissue injury. J Biol Chem 275, 2247-2250. 

  6. Groot H, Noll T(1986) The crucial role of oxygen partial pressures in haloalkane free radical mediated lipid peroxidation. Biochem. pharmacol 35, 15-21. 

  7. Jin YX, Yoo YS, Han EK, Kang IJ, Chung CK(2008) Artemisia capillaris and Paecilomyces japonica stimulate lipid metabolism and reduce hepatotoxicity induced by carbon tetrachloride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5), 548-554. 

  8. Jung ME(2001) Biochemical and histological effects of Phellinus linteus methanol extract on liver lipid metabolism of rats $CCl_{4}$ and high fa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331-337. 

  9. Kang IJ, Kim HK, Chung CK, Oh DH(2000) Effects of Protaetia orientalis(Gory et Perchlon) larva on the lipid metabolism in ethanol administered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479-484. 

  10. Kim CH, Lee JS, Go MS, Park KT(2002) Economical characteristics Protaetia orientalis submarmorea(Burmeister)( Coleoptera: Cetoniidae). Kor J Appl Entomol 41, 43-47. 

  11. Kim HG, Kang KH(2005) Bionomical characteristic of Protaetia brevitarsis. Kor J Appl Entomol 44, 139-144. 

  12. Kim OK(2001) Protective effects of extracts of Diospyrus kaki Folium against hepatotoxicity in carbon tetrachloride intoxicated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97-101. 

  13. Kiso Y, Tohkin M, Hikino H(1983) Assay method for antihepatotoxic activity using carbon tetrachloride induced cytotoxicity in primary cultured hepatocytes. Planta med 49, 222-227. 

  14. Lowry, OH, Rosebrough NJ, Farr AL, Randall RJ(1951) Protein measurement with the folin phenol reagent. J Biol Chem 193, 265-271. 

  15. McCay PB, Lai EK, Poyer JL, DuBose CM, Janzen EG(1993) Oxygen and carbon-centered free radical formation during carbon tetrachloride metabolism. Observation of lipid radicals in vivo and in vitro. J Biol Chem 259, 2135-2143. 

  16. Naei K, Tak Y, Murad O(1985) The regulation as hepatic glutathione. Ann Rev Pharmacol Toxicol 25, 715-744. 

  17. Park HY, Park DS, Park SS, Oh HW, Shin SW, Lee HK, Joo CK, Hong SD(1994) Bacteria-induced antibiotic peptide, protaecin from the white-spotted flower chafer, Protaetia brevitarsis.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2, 52-58. 

  18. Park KN, Kwon TY, Kim HG, Shin MK(1997) A herbalogical study on the HOLTRICHIA. J Traditional Korean Medicine 7, 1-4. 

  19. Poynard T, Morra R, Ingiliz P, Imbert-Bismut F, Thabut D, Messous D, Munteanu M, Massard J, Benhamou Y, Ratziu V(2008) Biomarkers of liver fibrosis. Adv Clin Chem 46, 131-160. 

  20. Recknagel RO(1983) A new direction in the study of carbon tetrachloride hepatotoxicity. Life Sciences 33(5), 401-408. 

  21. Reitman S, Frankel S(1957) A colorimetric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serum glutamic oxaloacetic and glutamic pyrivic transaminase. Am J Clinic Pathol 28, 56-59. 

  22. Shin MK(1986) Clinical traditional herbalogy, pp. 482-484, Younglim Press Co.(in Korean). Seoul. 

  23. Yun SH, Kim DH, Hyun SH, Lee SK, Jeon TW, Jeong TC(2006) Protective effects of the water extract of Protaetia brevitarsis larva against carbon tetrachloride-induced toxicity in the primary cultures of adult rat hepatocytes. Yakhak Hoeji 50(4), 287-292. 

  24. Zhang ZL(1984) Economic insect founa of China. Fasc. 28, Cloeoptera : Larva of Scarabaeidae, pp27-28, Science Press, Beijing.(in Chinese)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