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거점유상태와 주택형태에 따른 기혼자의 주거 만족도
Residential Satisfaction of Married Families by the Type of Housing Tenure and Housing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23 no.1, 2012년, pp.9 - 17  

이채성 (국민대학교 건축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factors that influence residents' satisfaction with their housing. Resident's satisfaction is mainly influenced by two factors - one that pertains to housing and the other as per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Housing-related factors include housing...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파트나 빌라의 경우 어떠한 장점이 있는가? 단독주택의경우 자신만의 마당이 있고 주변 주택과 공간적으로 상당히 떨어져 있어 프라이버시가 충분한 반면에, 아파트나 빌라의 경우 아래 위층 혹은 바로 앞에 다른 세대가 거주하여 프라이버시 등이 문제점으로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반면에 많은 세대가 같이 거주하여 여러 편의시설이 존재하고 유지관리비가 저렴한 장점도 있다.
주거 만족도란 무엇인가? 주거 만족도는 거주자가 자신들이 거주하는 공간에 대한 개인적인 느낌의 정도로, 다양한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 주변 환경의 객관적인 상황들에 대해 각자 개인이 주관적인 만족감 또는 불쾌감 등으로 서로 상이하게 표출한다.
인간은 기본적으로 무엇이 있어야 하는가? 인간은 기본적으로 옷과 음식 그리고 거주할 집이 있어야 한다. 현대 사회가 되면서 인간에게 절대적으로 필요한 옷과 음식은 대체로 충족되었다고 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

  1. Hong, K. (2009). A study on residents' satisfaction with multi-family public rental housing program in Daegu.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0(1), 71-82. 

  2. Kang, H., & Kim, M. (2010). Priority of residential choice and housing satisfaction among studio-type multi-family housing dwellers in the city of Gwangju.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1(3), 11-21. 

  3. Kim, H., & Song, H. (2008). A study on contentment of residential environment in Daegu CBD.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19(4), 59-70. 

  4. Lee, H., Park, H., & Go, S. (2009). A study on the preference of residential environment at the stage of purchasing apartments using conjoint analysis -focused in Gwangju city-.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0(2), 27-36. 

  5. Noh, S., & Kim, M. (2008). Residential environmental stress of multi-family housing dwellers -focus on the Gwangju city-.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19(3), 1-10. 

  6. Park, N., & Kim, J. (2004). The evaluation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al qualities in bundang residents.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15(6), 27-3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