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 대상 '채소와 과일, 유제품의 충분한 섭취'를 위한 영양교육 실시 및 효과 평가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Focusing on Increasing Vegetables, Fruits and Dairy Foods Consumption for Preschool Children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17 no.5, 2012년, pp.517 - 529  

오수민 (서울여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유예리 (서울여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최혜인 (서울여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김경원 (서울여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mplement and evaluate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preschool children. Applying the PRECEDE-PROCEED model, the nutrition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and focused on changing beliefs, increasing nutrition knowledge and consumption of vegetables & fruits (V/F)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아의 영양문제에서 어떤 문제가 크게 두드러지는가? 유아의 영양문제 중 두드러진 것은 편식 문제이며, 특히 유아들이 채소류를 싫어하고 먹지 않는 경향이 있고 칼슘과 철분 섭취도 저조한 것으로 보고되었다(Kang 2005; Sin & Lee 2005; Oh & Chang 2006). 채소류와 과일류 식품은에너지 함량이 낮고 비타민 등 영양소가 풍부하여 이들 식품을 충분히 먹으면 균형된 식사, 건전한 식사에 도움이 되며 어린이의 비만 예방에도 크게 기여하고, 유제품은 칼슘이 풍부하여 골격 성장에 중요하다.
채소류와 과일류 식품을 위한 영양교육이 요구되는 이유는? 채소류와 과일류 식품은에너지 함량이 낮고 비타민 등 영양소가 풍부하여 이들 식품을 충분히 먹으면 균형된 식사, 건전한 식사에 도움이 되며 어린이의 비만 예방에도 크게 기여하고, 유제품은 칼슘이 풍부하여 골격 성장에 중요하다. 채소와 과일, 유제품의 섭취는 유아기뿐 아니라 생애 전반의 식습관과 건강에 중요하므로, 유아에게 채소와 과일, 유제품 섭취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특히 채소에 대한 거부감을 줄이고 이를 충분히 섭취 하기 위한 영양교육이 요구된다.
여성의 사회활동 참여의 증가로 어린이들에게 어떤 변화가 생겼는가? 여성의 사회활동 참여와 부모의 맞벌이, 조기교육 등으로 인해 어린이집 등 유아 보육시설이 증가하며 어린이들이 보육시설에서 보내는 시간이 늘고 있다. 2011년 현재 맞벌이 가구는 유배우 가구의 4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hn Y, Ko SY, Kim KW (2009): Evaluation of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 14(3): 266-276 

  2. Ahn YK, Ro HK (2009): A survey on preferences for vegetable cooking methods and vegetable-aversion-related factors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wangju and Chonnam regions. Korean J Community Nutr 14(5): 531-544 

  3. Green LW, Kreuter MW (2005): Health program planning: An educational and ecological approach, 4th ed., McGraw Hill, Boston 

  4. Hong MA, Choi MS, Han YH, Hyun TS (2010a):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developed by a public health center on preschool children's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habits and the parent's dietary attitudes. Korean J Community Nutr 15(5): 593-602 

  5. Hong SB, Park HR, Go GA, Jeong GO, Song KH(2010b): Evaluation of nutrition education for preschool children using picture-questionnaire. Korean J Community Nutr 15(4): 475-484 

  6. Jang HJ, Ko ES (2007): The effectiveness of nutrition education provided by dietitians in child care centers. Korean J Community Nutr 12(3): 299-309 

  7. Jung MS (2010): A survey on nutrition education realities and need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MS thesis. Kangwon University 

  8. Kang MJ (2005): A study on food habits, nutrient intakes and nutritional quality of preschool children in Seoul. Korean J Community Nutr 10(4): 471-483 

  9. Kim KH (2006): The effect evaluation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preschool children in Gyunggi-do. Korean J Community Nutr 11(5): 598-607 

  10. Kim KW, Na SY, Ko SY (2008): A study on the dietary intake status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 report on the research grant of the Guri city 

  11.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7): Healthy eating. Available from http://nutrition.kfda.go.kr/foodlife/index.htm [cited 2011 October 11] 

  12.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05): KHIDIKIDS. Available from http://kids_nutri.khidi.or.kr [cited 2011 October 10] 

  13. Korean Nutrition Society (2010):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14. Kristal AR, Glanz K, Tilley BC, Li S (2000): Mediating factors in dietary change: Understanding the impact of a worksite nutrition intervention. Health Educ Behav 27: 112-125 

  15. Ku UH, Seo JS (2005): The status of nutrient intake and factors related to dislike of vegetable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10(2): 151-162 

  1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1): Childcare statistics (2011. 1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11): Korean Health Statistics 201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1) 

  18. Na SY, Ko SY, Eom SH, Kim KW (2010): Intakes and beliefs of vegetables and fruits, self-efficacy, nutrition knowledge, eating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yunggi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15(3): 329-341 

  19. Oh YJ, Chang YK (2006): Children's unbalanced diet and parents' attitudes. Korean J Nutr 39(2): 184-191 

  20. Park HS, Ahn SH (2003): Eating habits and social behavior in Korean preschool chidlren. Korean J Nutr 36(3): 298-305 

  21. Seo JY, Lee IS, Choi BS (2009): Study of food intakes and eating patterns among preschool children in Daegu area -Assessment of dietary pattern and dietary diversity-. Korean J Community Nutr 14(5): 521-530 

  22. Seo JY, Choi BS, Lee IS (2010): Effects of nutritional education featuring cooking activities or preschool children in the Deagu area; Food habits and dietary attitutdes. J East Asian Soc Dietary 20(5): 794-801 

  23. Sin EK, Lee YK (2005): Evaluation of food and nutrition intake of preschool children in day-care cente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7): 1008-1017 

  24. Sin EK, Lee YK (2006):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health belief model base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day care center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 11(4): 488-501 

  25. Statistics Korea (2011): Statistics on dual-income household and career cessation women in 2011. Available from http:// kostat.go.kr [cited 2012 July 3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