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요골신경 압박마비의 회복
Convalescence from Saturday Night Palsy 원문보기

대한미세수술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microsurgery, v.21 no.2, 2012년, pp.81 - 85  

이승용 (차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한수홍 (차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이순철 (차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이인성 (차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김진우 (차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 정형외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Saturday night palsy is a transient form of nerve palsy that occurs after a prolonged period of direct pressure on the course of radial nerve by one's own or spouse's head. Although commonly encountered, there have been only few studies concerning its convalescence. The purpose of this stud...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Although commonly encountered, and it is known the prognosis of “Saturday night” palsy is generally good, but there have been only few studies concerning its convalescence and the literature concerned with the disease course such as symptom duration and its determinants is scar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dict the prognosis of Saturday night palsy based on the analysis of regular follow up results.

가설 설정

  • Second, the sleep time as reported by the patients may not be accurate, especially after alcohol binge. Third, sleep time may not truly reflect the duration of compression. In this regard, the accurate measurement for the actual compression time should have to be obtained but it is arduously difficult task.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