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통계적 소양의 교육적 의미 고찰
Study of the educational meaning of Statistical Literacy 원문보기

한국수학사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v.25 no.4, 2012년, pp.121 - 137  

강현영 (목원대학교 수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통계적 소양, 추론, 사고에 중점을 둔 통계 교육의 필요성이 강력하게 제기되었다. 특히 통계 교육의 목적으로서 통계적 소양의 중요성이 주목을 받고 논의되고 있다. 이에 따라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통계적 소양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그동안 논의되었던 통계적 소양의 정의, 구성요소를 살펴본다. 그리고 학교 수학교육과정에서 통계교육의 목적을 살펴보고, 통계적 소양의 측면에서 우리나라의 통계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생각해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Statistical literacy, reasoning, and thinking become a educational issue. Especially the important of Statistical literacy in purpose of statistics education has be discussed and come to the fore. So we research about Statistical literacy mainly with advanced researches. We consider about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동안 논의되었던 통계적 소양의 정의와 구성요소를 살펴본다. 그리고 학교 수학교육과정에서 통계교육의 목적을 살펴보고, 통계적 소양의 측면에서 통계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생각해 본다.
  • 또한 통계적이고 확률적인 지식의 이해를 바탕으로 모든 삶에서 접하는 통계 정보에 대한 비판적인 소비자와 생산자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학생들의 통계적 소양을 통계 교육의 목적으로 삼고자 하고 있다.
  • 통계 교육의 목적은 통계적 지식을 일상생활이나 직장에서 일어나는 문제를 해결하는데 적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바람직한 사회인으로서 양적 정보를 합리적으로 다루는 기술을 습하는 것이다. 또한 통계적이고 확률적인 지식의 이해를 바탕으로 모든 삶에서 접하는 통계 정보에 대한 비판적인 소비자와 생산자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학생들의 통계적 소양을 통계 교육의 목적으로 삼고자 하고 있다.
  • 다양한 맥락에서 접하는 통계 정보나 자료와 관련된 주장 또는 확률 통계적 현상들을 해석하고 비판적으로 평가하고, 통계 정보에 기초하여 토론하고 의사소통하는 것이다. 이러한 통계적 소양과 관련하여 우리나라 통계교육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면서 마무리하고자 한다.
  • 이에 따라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최근 통계 교육의 목적 중 하나로 주목받는 통계적 소양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그동안 논의되었던 통계적 소양의 정의와 구성요소를 살펴본다.
  • 많은 통계교육자나 교육과정과 교육부와 관련된 문헌을 보면 통계적 소양이나 통계적 능력이 있는 사람을 위한 기초적인 요구조건이나 학습 목표들에 대한 다양한 목록을 제시하고 있으며 통계적 소양에 대한 여러 가지 정의를 볼 수 있다. 통계 교육과 관련하여 언급되는 통계적 소양의 정의 또는 그와 관련된 요소 등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 통계 교육의 목적은 자료를 수집, 분석하여 발견된 지식을 실제적인 문제를 해결하는데 적용할 수 있는 통계적 사고력을 개발하는 것이다. 단순히 통계적 지식이나 기술을 습득하여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통계적이고 확률적인 지식의 이해를 바탕으로 모든 삶에서 접하는 통계 정보에 대한 비판적인 소비자와 생산자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 더 나아가 두 번째로 학생들이 과학적인 탐구 능력을 기르는 것이다. 학생들이 과학적 방법의 사용을 개선하도록 하는 것이다. 질문을 확인하고, 증거(자료)를 수집하고, 자료를 해석하는데 도구를 적용하고, 결과를 수정하고 의사소통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다.

가설 설정

  • 3. 자료의 근원, 분석 그리고 요약된 정보를 비판적으로 읽을 수 있다.
  • 성인과 고등학교나 대학을 졸업한 학습자들이 맥락 파악하기 상황에서 접하게 되는 통계적 메시지를 이해하고, 해석하고, 비판적으로 평가하고, 반응하기 위해 요구되는 기초 지식과 이를 가능하게 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통계적 소양이 크게 지식 요소와 성향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지식 요소는 기본 소양, 통계적 지식, 수학적 지식, 맥락적 지식, 비판적 질문이라는 다섯 가지 인지적 요소로 구성되며, 성향 요소는 비판적 자세, 신념과 태도라는 두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통계적 소양이란 무엇인가? 통계적 소양’은 일상생활 곳곳에 스며들어 있는 통계적 결과들을 이해하고 비판적으로 평가하는 능력이다. 공적이고 사적인 의견 결정, 전문적이고 개인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통계적 사고가 기여한 바를 인식하는 능력과 연결하는 것이다(Wallman, 1993, p.
학생들이 통계를 배우는 가장 중요한 목표는 무엇인가? 통계를 배움으로써 바람직한 사회인으로 실생활의 양적 정보를 합리적으로 다루는데 필요한 기술을 습득할 수 있지만 교육받은 성인들조차 자신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이슈에 대해 통계적으로 사고하지 못한다는 여러 연구가 있다(Gal, 2002; Rumsey, 2002a, 2002b; Watson, 2006 등). 학생들이 통계를 배우는 가장 중요한 목표는 통계적 소양, 추론, 사고의 함양이며, 이런 목표들이 현재 거의 성취되지 못하였다는 점에는 이견의 여지가 없다. 따라서 많은 교육자들은 학생들의 통계적 소양, 추론, 사고를 개발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Rumsey가 통계를 교육과정에 도입해야 하는 목적으로 제시하는 것은 무엇인가? Rumsey(2002b)는 통계를 교육과정에 도입해야 하는 두 가지 목적을 제시한다. 첫째는 학생들이 일상생활에서 넘치는 기본적인 정보를 충분히 잘 소비할 수 있도록 통계를 이해하는 훌륭한 통계적인 시민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정보에 관해 비판적으로 사고하고 그러한 정보에 기초하여 합리적인 의사 결정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통계 교육자들은 이러한 목적을 통계적 소양이라고 부른다. 더 나아가 두 번째로 학생들이 과학적인 탐구 능력을 기르는 것이다. 학생들이 과학적 방법의 사용을 개선하도록 하는 것이다. 질문을 확인하고, 증거(자료)를 수집하고, 자료를 해석하는데 도구를 적용하고, 결과를 수정하고 의사소통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다. 학생들은 통계에 대해 기본적으로 이해하는 것 이상으로 정보에 대해 설명하고 결정하고 평가하고 의사결정까지 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왜냐하면 이러한 것은 단순한 통계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통계적 추론과 사고가 요구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능력을 위한 기초를 통계적 소양의 처음부터 개발되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강시중, 수학교육개론, 교육출판사, 1995. 

  2. 이영하, 통계적 소양의 증진방안, 교과교육내용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워크숍 (2009),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pp. 43-61. 

  3. 교육인적자원부, 수학과 교육과정,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2007. 

  4. 교육과학기술부, 수학과 교육과정, 2009. 

  5. 한국과학창의재단, 2009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교육과정 연구, 2011. 

  6. 우정호, 학교수학의 교육적 기초,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7. 

  7. Batanero, C, "Discussion: The role ofmodels in Understanding and Improving Statistical Literacy", International Statistical Review, vol. 70(2002), no. 1, pp. 37-40. 

  8. Ben-Zvi, D & Garfield, J, The Challenge of Developing Statistical Literacy, Reasoning and Thinking(2004), 이경화 외, 통계적 사고의 의미와 교육, 경문사, 2010. 

  9. Campos, T. M. M, Silva, C. B, Cazorla, I. M, Statistical Literacy in Brazil in high school and middle school: An analysis of official documents, Joint ICMI/IASE Study: teaching statistics in school mathematics, Proceedings of ICMI study 18 and 2008 IASE Round Table Conference. 

  10. Gal, I, "Assessing Statistical Knowledge as it related to student's interpretation of data", Reflections on Statistics(1998), Lawrence Erlbaum Associate, Inc. pp. 275-295. 

  11. Gal, I, "Adults' Statistical Literacy: Meanings, Components, Responsibilities", International Statistical Review, vol. 70(2002), no. 1, pp. 1-51. 

  12. Gal, I, "Teaching for statistical Literacy and Services of Statistics Agencies", The American statistician, vol. 57(2003), no. 2, pp. 80-84. 

  13. Li Jun, "Statistics Education for Junior High School in China", Proceeding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statistical Education(IASE)(2004), Sweden, pp. 219-229. 

  14. Monteiro, C & Ainley, J, "Developing critical sense in graphing", European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III(2003). 

  15. Moore, D., "Statistics among the liberal arts",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93(1998), no. 444, pp. 1253-1259. 

  16.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구광조 외 2인 역, 수학교육과정과 평가의 새로운 방향, 경문사, 1989. 

  17.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2000, 류희찬 외 5인 역, 학교수학을 위한 원리와 규준, 경문사, 2007. 

  18. Pfannkuch, M & Wild, C, Towards an understanding of Statistical Thinking, The Challenge of Developing Statistical Literacy, Reasoning and Thinking, edied Ben-Zvi, D & Garfield, J(2005), pp. 17-46. 

  19. Peressini, D & Webb, N, Analyzing mathematical reasoning in students' responses across multiple performance tasks, in Lee V. steff (ed.), Developing Mathematical Reasoning in Grade K-12(1999), pp. 156-174. 

  20. Rumsey, D J, "Discussion: Statistical Literacy: Implications for Teaching", Research and Practice, International Statistical Review, vol. 70(2002a), no. 1, pp. 32-36. 

  21. Rumsey, D J, "Statistical Literacy as a Goal for Introductory Statistics Courses", Journal of Statistics Education, vol. 10(2002), no.3. http://www.amstat.org/publications/jse/jse_archive.htm 

  22. Sanchez, J, Building Statistical Literacy assessment tools with the IASE/ISLP, IASE/ISI Satellite, 2007. 

  23. Snell, J. L, "Discussion: Best how do you teach it?", International Statistical review, vol 70(2002), no. 1, pp. 45-46 

  24. Wallman, K K, "Enhancing Statistical Literacy: Enriching Our Society", Jounal of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vol. 88(1993), no.421, pp. 1-8. 

  25. Watson, J.,"Assessing statistical literacy through the use of media surveys", In I. Gal & J. Garfield(Eds.), The assessment challenge in statistics education, pp. 107-121. Amsterdam, The Netherlands: International Statistical Institute/IOS Press, 1997. 

  26. Watson, J., "Discussion: Statistical Literacy before Adulthood", International Statistical Review, vol. 70(2002), no. 1, pp. 26-30. 

  27. Watson, J., "Statistical Literacy: a complex hierarchical construct", Statistics Education Research Journal, vol.2(2003), no.2, pp. 3-46 

  28. Watson, J., Statistical Literacy at School; Growth and Goals, Lawrence Erlbaum Associate, Inc, 2006. 

  29. Weldon, K. L,"Discussion", International Statistical Review, vol. 70(2002), no. 1, pp. 43-44. 

  30. Wild, C. J & Pfannkuch, M, "Statistical thinking in empirical enquiry", International Statistical Review, vol. 67(1999), no. 3, pp. 223-25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