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통계적 소양의 관점에서 살펴본 중학교 3학년 통계단원 문항 분석
Analysis of the Problems in Statistics Units of Middle School Textbooks for the 3rd Grade in terms of Statistical Literacy

학교수학 = School Mathematics, v.19 no.4, 2017년, pp.731 - 749  

고상미 (충북대학교 대학원) ,  김미순 (충북대학교 대학원) ,  정재균 (충북대학교 대학원) ,  조완영 (충북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수학교과서가 학생들의 통계적 소양을 함양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맥락의 4가지 유형과 통계적 문제해결 과정을 토대로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9종의 중학교 3학년 수학교과서의 통계단원의 문항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맥락의 4가지 유형 중에 개인적 맥락의 유형에 해당하는 문항이 67%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통계적 문제해결 과정 중에서는 자료 분석 과정이 72.8%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다양한 맥락을 활용한 문항을 통해 통계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자료를 수집하는 과정부터 제시된 자료에서 합리적인 결론을 추측해보는 활동을 통하여 통계적 소양을 함양시킬 수 있는 문항들이 더 포함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the current mathematics textbooks are structured so as to cultivate students' statistical literacy. To do this, we analyzed the problems of the statistics units of 9 kinds of middle school 3rd grade mathematics textbook according to 2009 revised ma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9종의 교과서의 중학교 3학년 통계단원에서 나타난 문항들이 통계적 소양을 기를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맥락의 유형을 개인적 맥락, 사회적 맥락, 직업적 맥락, 과학적 맥락으로 나누고, 교과서의 문항이 어떤 맥락에 해당하는지, 어떤 맥락에 집중되어있는지, 부족한 맥락은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수학교과서가 학생들의 통계적 소양을 함양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지를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09 개정 중학교 3학년 수학 교과서 통계단원의 문항을 분석하였고,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교 수학에서 통계교육은 어떤 문제점이 있는가? 그러나 PISA와 TIMMS 주관의 학업성취도 국제비교 연구 결과, 우리나라 학생들은 수학 내용 영역 중에서 통계에 대한 소양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황혜정 외 5인, 2016). 또한, 그동안 교육과정에서 실생활과의 연관성을 강조하여 수학의 유용성을 인식하여 학생들이 흥미를 느끼고, 수학을 탐구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지만, 학교수학에서의 통계교육은 기능, 계산, 절차를 강조하여 학생들이 통계적으로 추론하고 사고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가 제기되었다(우정호, 2007).
통계적 소양에서 통계적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여 활용하는 것 외에 어떤 측면이 강조되고 있는가? 통계적 소양에 대한 여러 가지 정의와 연구에 따르면, 통계적 소양에서는 통계적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여 활용하는 것 외에 크게 두 가지 측면이 강조되고 있다. 하나는 다양한 맥락에서 접하는 통계 정보나 자료와 관련된 주장 또는 확률 통계적 현상들을 해석하고 비판적으로 평가하는 능력이며, 다른 하나는 통계 정보에 기초하여 토론하고 의사소통 하는 것이다(강현영 외 10인, 2014). 따라서 통계적 소양에서는 통계 정보나 자료가 제시되는 맥락과 통계 현상을 해석하고 평가하기 위한 통계적 문제해결 과정이 중요한 요소가 된다.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수학과의 목표는?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는 ‘수학과는 수학의 개념, 원리, 법칙을 이해하고 기능을 습득하여 주변의 여러 가지 현상을 수학적으로 관찰하고 해석하는 능력을 기르며, 수학적 문제 상황을 수리․논리적 사고를 통하여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능력과 태도를 기르는 교과’(교육과학기술부, 2011b)라고 수학과의 목표를 밝히고 있고, 2015년 발표된 ‘제2차 수학교육 종합계획’에서는 ‘창의적 융합 인재 양성을 위한 수학교육’이라는 비전 아래 ‘수학 기반의 핵심역량 함양’, ‘수학의 가치와 유용성 인식 확산’, ‘선진 수학교육 기반 조성’을 목표로 체계적인 수학교육 발전의 대안을 제시하고 있으며, 2015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는 수학과의 목표를 “수학의 개념, 원리, 법칙을 이해하고 기능을 습득하며 수학적으로 추론하고 의사소통하는 능력을 길러, 생활 주변과 사회 및 자연 현상을 수학적으로 이해하고 문제를 합리적이고 창의적으로 해결하며 수학 학습자로서 바람직한 태도와 실천능력을 기른다.”라고 제시하고 있다(교육부,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교육과학기술부(2011a).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 총론.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09-41. 

  2. 교육과학기술부(2011b).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 [별책8]. 

  3. 교육부(2015).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4. 강현영(2012). 통계적 소양의 교육적 의미 고찰. 한국수학사학회지, 25(4), 121-137. 

  5. 강현영, 신보미, 고은성, 이동환, 심송용, 김정자, 구나영, 정인수, 최경식, 홍지혜, 이상배 (2014). 통계교육활성화를 위한 수학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연구보고 2014A039. 

  6. 고은성(2014). 통계 교수학습에서 스토리텔링의 적용방안.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자료집, 37-49. 

  7. 고호경, 김응환, 양순열, 권세화, 권순학, 정낙영, 장인선, 임유원, 최수영, 이성재, 노솔, 백형윤, 홍창섭(2014). 중학교 수학(3). (주)교학사. 

  8. 김남희, 나귀수, 박경미, 이경화, 정영옥, 홍진곤 (2011). (예비교사와 현직교사를 위한) 수학교육과정과 교재연구. 서울: 경문사. 

  9. 김세화(2013). 2009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1학년 수학교과서 분석 및 스토리텔링 학습 지도 방안-통계단원중심으로. 울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김원경, 조민식, 방금성, 김수미, 배수경, 오혜정, 지은정, 최형권, 황정하(2014). 중학교 수학(3). 비상교육. 

  11. 류진하(2015). 한 초등수학영재학생이 보이는 수학적 소양에 관한 분석. 진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류희찬, 류성림, 이경화, 신보미, 강순모, 윤옥교, 김명수, 조성오, 천태선, 김철호(2014). 중학교 수학(3). 천재교과서. 

  13. 배혜진(2015). 초등수학교과서 통계영역 분석-통계적 문제해결 과정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서승희(2016). 2015개정 고등학교 과목의 대수영역 성취기준에 따른 수업 설계 및 적용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송미영, 임해미, 최혁준, 박혜영(2013).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연구 : PISA 2012 결과보고서.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16. 신항균, 황혜정, 이광연, 김화영, 조준모, 최화정, 윤기원(2014). 중학교 수학(3). 서울: 지학사. 

  17. 우정호, 박교식, 이종희, 박경미, 김남희, 임재훈, 남진영, 권석일, 김진환, 강현영, 조차미, 최은자, 김준식, 허선희, 전지영, 고현주, 이정연(2014). 중학교 수학(3). 서울: 두산동아. 

  18. 우정호(2007). 학교 수학의 교육적 기초.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19. 윤현진(2009). 수학과 교육 내용 개선 방안 연구 : '이산 수학', '확률과 통계'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20. 이강섭, 최상기, 왕규채, 이강희, 송교식, 안인숙, 송영준, 윤상호, 김보현, 황현태, 황현균(2014). 중학교 수학(3). 서울: (주)미래엔. 

  21. 이기용(2017). 한?미 고등학교 수학교과서 비교-통계적 소양을 중심으로. 인천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2. 이정무(2016). 수능에서 통계적 소양 평가의 가능성 모색-SAT 통계문항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대한수학교육학회지, 26(3), 527-542. 

  23. 이영하(2009). 통계적 소양의 증진방안, 교과교육 내용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워크숍.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43-61. 

  24. 이혜연(2016). 프로이덴탈과 PISA 맥락의 유형에 따른 수학 교과서 분석 : 2009개정 교육과정 미적분 I 을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장아름(2016). 통계적 사고를 중심으로 한 교과서 문항 비교 분석-중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정상권, 이재학, 박혜숙, 홍진곤, 박부성, 강은주, 오화평(2014). 중학교 수학(3). 서울: (주)금성출판사. 

  27. 조지민, 김수진, 이상하, 김미영, 옥현진, 임해미, 박연복, 이민희, 한희진, 손수정(2011). 국제학업성취도 평가 연구(PISA/TIMSS) : PISA 2012 예비검사 시행보고서.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28. 허민, 김선희, 도종훈, 조혜정, 조숙영, 이경은, 양서윤, 이규희, 김소연(2014). 중학교 수학(3). 서울: 대교. 

  29. 황선옥, 강병개, 한길준, 한철형, 권혁천, 김의석, 유의종, 정종식, 김민정(2014). 중학교 수학(3). 서울: 좋은책 신사고. 

  30. 황혜정, 나귀수, 최승현, 박경미, 임재훈, 서동엽 (2016). 수학교육학신론. 서울: 문음사. 

  31. Franklin, C., Kader, G., Mewborn, D., Moreno, J., Peck, R., Perry, M., & Scheaffer, R. (2007). Guidelines for assessment and instruction in statistics education (GAISE) report: A pre-K-12 curriculum framework. Alexanddria, VA: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32. Freudenthal, H.(1991). Revisiting mathematics education. Dordrecht: Kluwer Academic Publishers 

  33. Garfield, J. B., delMas, R. C., & Chance, B. L (2003). A model of classroom research in action : Developing simulation activities to improve students' statistical reasoning. Journal of Statistics Education, 7(3), 247-265. 

  34. OECD(2013). PISA 2012 Assessment and Analytical Framework : Mathematics, reading, science, problem solving and financial literacy. OECD Publishing. 

  35. Stein, M. K, Smith, M. S., Henningsen, M. A., & Silver, E. A. (2017). 수학과제가 수학수업을 만났을 때. (김남균, 조완영, 권성룡 역), 서울: 경문사. (영어 원작은 2009년 출판).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