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문화재로서 경주 계림 내 생육수목 현황 및 공간정보 구축 연구
Construction of Spatial Information and Growth Status of All Tree Individuals in the Gyerim Historical Site, Gyeongju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5 no.5, 2017년, pp.1 - 13  

홍석환 (부산대학교 조경학과) ,  안미연 (부산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강래열 (부산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경상북도에 소재한 경주 계림(사적 제19호)을 대상으로 원형보전의 기본자료 구축을 위한 생육수목의 공간정보 구축과 관리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계림 내 생육하는 전체 수목에 대한 조사결과, 2015년 11월 현재 계림 내에는 총 25종 510개체의 수목이 생육하고 있었고, 이 중 자연적으로 생육하는 종은 14종이었으며, 식재종 또한 14종이었다. 식재종 중 회화나무와 느티나무, 버드나무를 제외한 수종들은 역사적으로 식재근거가 없는 종으로, 원형보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만 하는 문화재로 지정된 이후에 고증 없이 도입된 종이다. 이들 종의 개체수는 전체 계림에서 약 33%를 차지하였으며, 귀화종인 가죽나무까지 포함하면 36%를 넘는 비율로 이미 계림의 역사적 전통성은 상당부분 훼손되었다고 볼 수 있었다. 2000년 이상의 역사를 지닌 계림은 현재 흉고직경 100cm 이상의 대경목이 총 15주로 전체 수목의 2.9%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이 중 10주가 왕버들로 과거 대상지 대부분이 왕버들 군락지로 판단할 수 있었다. 그러나 현재 흉고직경 20cm 이하의 후대목은 전무한 상태로 향후 숲의 지속적인 쇠퇴가 예상되었다. 또한, 대부분 소경목은 식재된 수목이 차지하고 있어, 계림이 지닌 자연숲으로써의 역사성과 장소성이 급속히 퇴색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ovide management directions through the provision of tree spatial information as basic data for the preservation of Gyerim(legal historical site), which is located in Gyeongju city, Gyeonsangnam-do, Korea. As a result of the survey of the entire forest, there are a tot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숲은 하천의 범람으로 인한 충적지대에 형성된 숲으로 지형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지형특성의 분석은 기존 정보자료인 1:1,000 수치지형도의 등고선데이터를 추출한 분석과 현장에서 측정한 수목의 바닥높이 정보를 추출한 분석을 각각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경주 계림에 생육하는 수목의 정밀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분석하는 것이 주요 목적으로 계림 내 생육하고 있는 수목의 정밀한 위치정보와 함께, 해당 수목의 규격 및 생육상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수목 위치정보는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 일반적으로 시행하는 간이측량법이 아닌 광파 측량기기인 토탈스테이션(Topcon, GTS-233N)을 이용하여 개별 수목의 위치를 측정한 후 GI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3차원 위치정보를 구축하였다.
  • 본 연구는 문화재 지정 이후 반세기가 넘게 지난 현 시점에서라도 후대 원형을 추정할 수 있는 기록을 남기고자 계림의 수목정보를 조사한 데 의미가 있다. 다만, 법률적 제약으로 인해 조사되지 못한 성토된 토양의 깊이, 수목의 수령 등을 추가적으로 기록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 비록 과거부터 있어왔던 동측의 소규모 수림대를 제외하고, 대부분 지역은 인위적 성토가 이루어져 원형을 면밀히 파악하기는 어려우나, 현재의 미세지형을 바탕으로 범람시 물의 흐름 또는 인위적 물길 조성 이전의 자연상태를 추정해보고자 하였다. Figure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현재 수치지도를 바탕으로 범람 시 물길을 추정하면 계림의 동북부에서 남서로 연결되는 물길이 그려지게 되며, 수목측정위치의 고도값을 바탕으로 한 지형의 분석에서는 북동측의 범람시작지점은 확인이 어려웠으며, 계림 중앙부에서 서남측으로 흐르는 물길의 형태를 확인할 수 있었다.
  • 이에 본 연구는 경주 계림의 현재 수목 분포현황을 구체적으로 정보화하여 현 시점에서의 역사적 사료로 기록하고자 하며, 향후 계림의 원형 복원을 위한 관리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계림의 느티나무는 생태적 특성에 의한 자생적지가 아니라, 회화나무를 대신한 식재로 보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보는 이유는? , 2005)을 감안하면 대경목 또한 대부분 인위적으로 식재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 해석으로 보인다. 이는 성리학의 상징수목인 회화나무가 국내로 도입되었으나, 당시 수급이 용이하지 않아 회화나무 대신 느티나무가 동일한 수목으로 간주하여 식재되는 문화변용에 의한 식재(Kang, 2015)가 계림에서도 진행되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계림의 느티나무는 생태적 특성에 의한 자생적지가 아니라, 회화나무를 대신한 식재로 보는 것이 합리적이다.
문화재란? 문화재는 지식, 신앙, 예술, 도덕, 법률, 관습 등 사회에서의 모든 문화활동의 결과물 또는 그 증거물을 말하며(Park, 2003), 법적으로는(문화재보호법 제2조) 인위적이거나 자연적으로 형성된 국가적․민족적 또는 세계적 유산으로써 역사적 · 예술적 · 학술적 또는 경관적 가치가 큰 것들을 말한다. 우리나라는 역사적으로 보전가치가 높은 생물자원을 문화재보호법에 의해 문화재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는데, 사람이 만든 것뿐만 아니라, 자연물까지 확대하여 정의하고 있다.
경주 계림이 사적으로 지정된 것으로 판단되는 이유는? 이러한 기준에서 보면 경주 계림은 명승이나 사적 어느 것으로 지정되어도 무방하다고 할 수 있다. 지정 당시인 1962년 문화재보호법에는 현재와는 달리 명승이나 사적을 크게 구분하고 있지 않았기 때문에, 사적으로 지정된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Han, B. H., J. W. Choi, T. H. Noh and J. S. Kim(2012) Vegetation distribution status and change for twenty four years(1986-2010) of Seunghwanglim(Forest), Wonju.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6(5): 741-757. 

  2. Hong, S. H., S. D. Lee and U. J. Lym(2009) Current conditions and preservation strategies for the forest genetic resource reserve, Galgye Forest, Geochang County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12(5): 25-36. 

  3. Hwang, J. H.(1999) A study on the locational and landscape characteristics and its meaning of the old forests in Kyongju. Journal of Gyeongju University 12: 443-464. 

  4. Jang, D. S., H. B. Kim and J. H. Hwang(1996) A study on the transition of Kyungju City Forests.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31(3): 37-49. 

  5. Kang, P. K.(2015) The recognition on trees and culture transformation in China and Korea - Focusing on Sophora and Zelkova Tree. Deagu Sahak 118: 113-142. 

  6. Kim, J. W., J. C. Lim, S. Y. Hwang and J. A. Lee(2011) An eco-sociological review on the origin of relic forests in Korea: Case-studies on the Mansong-jeong of Andong, Karo-sup of Uiseong, Seongbaksup of Seongju, Sang-rim of Hamyang and Kye-rim of Gyeongju. Academia Koreana Symposium 167-214. 

  7. Korea Forest Service(2015) Korean Plant Names Index. http://www.nature.go.kr/kpni/SubIndex.do(2016.7.1.) 

  8. Lee, K. J., J. S. Kim, J. W. Choi and B. H. Han(2008) Vegetation structure of Abies holophylla forest near Woljeong Temple in Odae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2(2): 173-183. 

  9. Lee, S. D., C. Lee, D. W. Kim and J. S. Kim(2013)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plan of Geumdangsil Pine Forest of Yecheo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7(6): 718-732. 

  10. Lim, W. H., J. H. You, H. G. Son and J. W. Kim(2009) Management by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iagnosis of Wolseong in Gyeongjusi.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7(3): 39-48. 

  11. Park, J. H.(2003) A Study on the Scientific Methods for the Preservation of Cultural Properties. Master's Thesis, Chosun University, Gwangju, Korea. 

  12. Park, J. H., T. Tamura and T. Yoshiki(2005) Relationship between distribution of Zelkova serrata and micro-landforms in a small hilly watershed around Sendai, Northeastern Japan. Journal of the Korea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12(1): 47-54. 

  13. Park, S. S.(1998) Theoretical study of cultural assets through tourism resource. The Korean Tourism Information Society 2: 141-176. 

  14. Song, J. S.(2008) A synecological study of the riverside vegetation of the upper stream of Nakdong river, Korea - Forest and shrub vegetatio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2(4): 443-45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