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입원초기에 적용된 상지수동운동이 뇌혈관질환자의 환측 관절가동범위, 근력 및 상지 경직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Passive Upper Arm Exercise on Range of Motion, Muscle Strength, and Muscle Spasticity in Hemiplegic Patients with Cerebral Vascular Disease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2 no.6, 2012년, pp.783 - 790  

신동순 (충남대학교병원) ,  송라윤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  신은경 (충남대학교병원) ,  서성주 (충남대학교병원) ,  박정은 (충남대학교병원) ,  한승연 (충남대학교병원) ,  정회용 (충남대학교병원) ,  류춘지 (충남대학교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ssive upper arm exercise on range of motion, muscle strength, and muscle spasticity in hemiplegic patients with cerebral vascular disease. Methods: A quasi-experimental design with nonequivalent control group was utilized. Accor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뇌혈관질환을 진단받고 중환자실에 입원한 편마비 환자들을 대상으로 환측 상지에 조기수동운동을 간호중재로 적용함으로써 환측 상지의 수동관절가동범위, 근력 및 근 경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편마비 뇌졸중 환자의 환측에 적용한 조기상지 수동운동이 관절가동범위, 근력, 근 경직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를 이용한 유사 실험연구이다 (Figure 1).
  • 본 연구에서는 중환자실에 입원한 편마비가 있는 뇌혈관질환자를 대상으로 입원후 안정기라고 판정되는 2일째 시점부터 환측 상지에 수동운동을 2주간 적용한 후 관절가동범위와 근력, 경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함으로서 편마비로 인한 장애를 조기에 예방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는 간호중재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뇌혈관질환으로 중환자실에 입원한 편마비 환자에게 하루 2회 30분씩 적용된 상지수동운동이 관절범위 향상과 함께 근 경직을 예방할 수 있는 간호중재방법으로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환자실에 입원한 뇌혈관질환자 중 편마비 환자를 대상으로 환측 상지에 2주간의 조기수동운동을 적용한 후 관절가동범위, 근력정도 및 근 경직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1) 가설 1. 환측에 조기 상지수동 운동을 적용한 후 실험군은 대조군간의 관절가동범위 변화양상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 3) 가설 3. 환측에 조기 상지수동 운동을 적용한 후 실험군은 대조군간의 근 경직도변화양상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 2) 가설 2. 환측에 조기 상지수동 운동을 적용한 후 실험군은 대조군간의 근력 변화양상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관절가동범위란 무엇인가? 관절가동범위란 사지 및 체간의 각 관절을 수동적으로 운동시킨 경우의 운동범위를 말한다. 측정을 위한 기구로 수동 플라스틱 각도계, 디지털 각도계, 전자 각도계 등이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수동 플라스틱 각도계(Jamar Plastic Goniometer 7541, Sammons Preston)를 사용하였다.
도수근력검사란 무엇인가? 도수근력검사란 근육의 힘을 손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저항을 달리하여 근육이 이겨내는 힘에 따라 근력의 정도를 나눈다. 본 연구에서는 임상에서 널리 쓰이고 있는 Daniels와 Worthingham의 도수근력검사(Hislop, Montgomery, Connelly, & Daniels, 1995) 기준에 따라 0에서 5까지 분류하였으며, 0점은 근육수축이 전혀 없는 것이고, 5점은 충분히 큰 저항을 이기고 정상관절 범위의 관절운동이 가능한 것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근력이 좋은 것을 나타낸다.
뇌혈관 질환의 특징은 무엇인가? 최근 우리나라 사망원인 2위인 뇌혈관 질환은 혈액을 뇌로 운반하는 뇌혈관이 갑자기 막히거나 터져서 나타나는 다양한 뇌신경학적 증상을 동반하는 혈관병으로, 단일 질환 중 대표적 사망원인으로 보고되고 있다(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1). 뇌혈관질환은 발병 자체가 치명적이어서 단 한 번의 이환에도 침범영역에 따라 다양한 만성기능장애를 갖게 되고, 손상부위와 정도에 따라 증상은 다르지만 대다수는 편마비로 인해 움직임이나 기능을 회복하지 못한 채 영구적인 장애를 가지고 살아가게 된다(Trombly & Radomski, 2002). 뇌혈관질환자의 13%가 첫 2주내에 상지기능장애가 발생하며, 6개월 후까지 30-60%의 생존자들에게 심각한 운동장애가 남아있어 먹기, 옷 입기, 씻기 등과 같은 일상생활활동제한으로 이어지게 된다(Mangold, Schuster, Keller, Zimmermann-Schlatter, & Ettlin,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ohannon, R. W., & Smith, M. B. (1987). Interrater reliability of a Modified Ashworth Scale of muscle spasticity. Physical Therapy, 67, 206-207. 

  2. Butler, A., Blanton, S., Rowe, V., & Wolf, S. (2006). Attempting to improve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using the FTM protocol: Case report. Journal of Neurologic Physical Therapy, 30(3), 148-156. 

  3. Choi, S. H., Lee, J. C., & Bae, J. J. (2010). The effect of complex rehabilitation exercise program on hemodynamics, functional fitness and lower extremity isokinetic strength in hemiplegia. Korean Journal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18(3), 127-138. 

  4. Erdfelder, E., Faul, F., & Buchner, A. (1996). GPOWER: A general power analysis program. Behavior Research Methods, Instruments, & Computers, 28, 1-11. http://dx.doi.org/10.3758/BF03203630 

  5. Hendricks, H. T., van Limbeek, J., Geurts, A. C., & Zwarts, M. J. (2002). Motor recovery after stroke: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3, 1629-1637. http://dx.doi.org/10.1053/apmr.2002.35473 

  6. Hislop, H. J., Montgomery, J., Connelly, B., & Daniels, L. (1995). Daniels and Worthingham's muscle testing: Techniques of manual examination (6th ed.). St Louis, MO: Saunders. 

  7. Kim, H. J. (2009). Effects of bilateral passive range of motion exercise on the function of upper extremities and ADL's in patients with acute strok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8. Kim, K. S., & Kang, J. Y. (2002). Upper extremity exercise training effects on motor activity, ADL and health related QOL of hemiplegic patients.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5(2), 134-144. 

  9. Kim, T. H., Lee, D. Y., Kim, N. J., & Song, C. H. (2006). Predicting activities of daily living by the motor assessment in subacute hemiplegia. Korea Sport Research, 17(6), 331-340. 

  10. Kim, W. H., Hwang, M.-O., & Park, E.-Y. (2007). The effect of physical occupational therapy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stroke inpatients at least 3 months after strok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University Trained Physical Therapists, 14(1), 74-81. 

  11.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1). Statistical database on health. Retrieved December 30, 2011, from http://kosis.kr/abroad/abroad_01 List.jsp 

  12. Lynch, D., Ferraro, M., Krol, J., Trudell, C. M., Christos, P., & Volpe, B. T. (2005). Continuous passive motion improves shoulder joint integrity following stroke. Clinical Rehabilitation, 19, 594-599. http://dx.doi.org/10.1191/0269215505cr901oa 

  13. Mangold, S., Schuster, C., Keller, T., Zimmermann-Schlatter, A., & Ettlin, T. (2009). Motor training of upper extremity with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in early stroke rehabilitation. Neurorehabilitation and Neural Repair, 23, 184-190. http://dx.doi.org/10.1177/1545968308324548 

  14. Pandyan, A. D., Johnson, G. R., Price, C. I., Curless, R. H., Barnes, M. P., & Rodgers, H. (1999). A review of the properties and limitations of the Ashworth and modified Ashworth scales as measures of spasticity. Clinical Rehabilitation, 13(5), 373-383. http://dx.doi.org/10.1191/026921599677595404 

  15. So, H. Y., Cho, B. H., & Seo, Y. O. (2007). Rehabilitation nursing. Seoul: Hyunmoonsa. 

  16. Trombly, C. A., & Radomski, M. V. (2002). Occupational therapy for physical dysfunction (5th ed.). Baltimore: Lippincott. 

  17. Tseng, C. N., Chen, C. C., Wu, S. C., & Lin, L. C. (2007). Effect of a range of motion exercise programm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7(2), 181-191.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06.04078.x 

  18. Yang, E. J., Kim, H. J., Ahn, H. S., & Lee, E. H. (2006). The effect of early upper extremities passive exercise on the hand edema and upper spasticity of the hemiplegia patient after stroke.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2(1), 147-157. 

  19. Yoon, C. G. (2010). Adult hemiplegia: Evaluation and treatment (2nd ed.). Seoul: Hyunmoons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