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영과잉 가산자료(Zero-inflated Count Data) 분석 방법을 이용한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노인학대 발생과 심각성에 미치는 위험요인 분석
Risk Factors Influencing Probability and Severity of Elder Abuse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Applying Zero-inflated Negative Binomial Modeling of Abuse Count Data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2 no.6, 2012년, pp.819 - 832  

장미희 (경희대학교 간호과학대학 동서간호학연구소) ,  박창기 (시카고 일리노이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risk factors that influence the probability and severity of elder abuse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Methods: This study wa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Self-report questionnaires were used to collect data from community-dwelling Korean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지금까지 간호학 분야에서 국내 정기간행물에 발표된 최근 5년간의 연구로는 가정 내 노인학대에 관한 문헌고찰 1편(Song, 2007), 노인학대에 관한 간호사의 인식 1편(Ko, 2010)과 학대와 관련변인간의 관계연구 1편(So, Kim,&Jung, 2009)으로 확인되어 양적으로 매우 부족한 상황으로 이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매우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노인학대의 위험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학대의 가산자료에 대한 적절한 통계분석 방법의 제시와 적용을 통해서 학대의 위험요인을 보다 세밀하게 파악하여, 학대라는 심각한 문제의 핵심에 다가가 다양한 수준에서의 노인학대 예방과 중재를 위한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예방적 중재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가산자료에 대한 보다 더 적절한 통계분석 방법의 적용을 통해 지역사회 거주 노인이 경험하는 노인학대의 위험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가설 설정

  • 이러한 다체계를 포함한 생태학적 모형은 노인학대의 복잡한 현상을 잘 설명할 뿐 아니라, 서로 다른 위험요인들간의 상호관계와 상호의존성을 이해하는 개념 틀을 제공하기 때문에(Schiamberg & Gans, 1999), 이러한 다체계 변인들이 서로 관련성을 갖고 노인학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0년 전국 노인학대 실태조사에 따른 결과와 2010년 노인학대신고접수 현황을 비교하였을 때 발생률 대비 신고 건수를 볼 때 알 수 있는 내용은 무엇인가? 0% 보다 2배 이상 증가하였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MHW], 2010).실제2010년한해동안노인학대신고접수 현황을 살펴 볼 때 7,503건으로 전년 대비 21.8%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Korea Elder Protection Agency [KEPA], 2010) 우리사회에서 노인학대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발생률 대비 신고 건수를 볼 때 학대의 대부분이 은폐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노인인구의 증가와 더불어 노인학대는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중요한 공중 보건의 문제임과 동시에 인간권리에 관한 사회적 이슈로써(Dong et al.
세계보건기구는 노인학대를 어떻게 정의하였는가? 노인학대를 정의하는 기준은 사회문화적인 차이로 인하여 국가와 학자에 따라 다양하지만, 세계보건기구는 노인학대를 ‘노인과 신뢰로운 모든 관계에서 발생하는 노인에게 해가 되거나 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 일회성이거나 반복적 행동 또는 적절한 행동의 부족’으로 정의하고 있다(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2002). 한국사회에서 노인학대에 대한 관심은 2004년 개정된 노인복지법에서 노인학대를 법규화한 이후 본격화 되었으며, 의료인의 노인학대에 대한 신고의무와 규정 등을 포함한 법적 규제가 확실히 규정되었다.
한국사회에서 노인학대에 대한 관심은 언제 본격화되었는가? 노인학대를 정의하는 기준은 사회문화적인 차이로 인하여 국가와 학자에 따라 다양하지만, 세계보건기구는 노인학대를 ‘노인과 신뢰로운 모든 관계에서 발생하는 노인에게 해가 되거나 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 일회성이거나 반복적 행동 또는 적절한 행동의 부족’으로 정의하고 있다(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2002). 한국사회에서 노인학대에 대한 관심은 2004년 개정된 노인복지법에서 노인학대를 법규화한 이후 본격화 되었으며, 의료인의 노인학대에 대한 신고의무와 규정 등을 포함한 법적 규제가 확실히 규정되었다. 이에 따라 노인학대 사례를 처음으로 발견할 가능성이 높은 간호사들이 노인학대 신고의무자로서 법적 전문가적 책임을 갖게 되어 (Ko, 2010; Song, 2007), 간호사가 노인학대 사례를 발견하고 중재하는데 능동적으로 참여해야할 필요와 책임이 높아졌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zagba, S., & Sharaf, M. F. (2011). Psychosocial working conditions and the utilization of health care services. BMC Public Health, 11(642), 1-7. http://dx.doi.org/10.1186/1471-2458-11-642 

  2. Bae, J. Y. (2005). Structural equational modeling for elderly suicidal thought. Social Science Review, 23, 343-375. 

  3. Baker, M. W., & Heitkemper, M. M. (2005). The roles of nurses on interprofessional teams to combat elder mistreatment. Nursing Outlook, 53, 253-259. http://dx.doi.org/10.1016/j.outlook.2005.04.001 

  4. Cooper, C., Selwood, A., & Livingston, G. (2008). The prevalence of elder abuse and neglect: A systematic review. Age and Ageing, 37, 151-160. http://dx.doi.org/10.1093/ageing/afm194 

  5. Daly, J. M. (2011). Evidence-based practice guideline: Elder abuse prevention.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37(11), 11-17. http://dx.doi.org/10.3928/00989134-20111004-01 

  6. Dong, X. Q., Simon, M. A., Beck, T. T., Farran, C., McCann, J. J., de Leon, C. F. M., et al. (2011). Elder abuse and mortality: The role of psychological and social wellbeing. Gerontology, 57, 549-558. http://dx.doi.org/10.1159/000321881 

  7. Jackson, S. L., & Hafemeister, T. L. (2011).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elder abuse: The importance of differentiating by type of elder maltreatment. Violence and Victims, 26, 738-757. http://dx.doi.org/10.1891/0886-6708.26.6.738 

  8. Jang, T. Y., & Jang, T. S. (2004). Marginal effect of causal elements on traffic accidents.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16, 75-87 

  9. Jon, B. J. (1974).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Yonsei Nonchong, 1, 107-130. 

  10. Kee, B. S. (1996). A preliminary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Korea version.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y Association, 35, 298-307. 

  11. Khan, A., Ullah, S., & Nitz, J. (2011). Statistical modelling of falls count data with excess zeros. Injury Prevention, 17, 266-270. http://dx.doi.org/10.1136/ip.2011.031740 

  12. Kim, H. J. (2007). A study on the assessment of the risk factors of elderly abuse.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37, 67-87. 

  13. Kim, J. Y., & Kim, K. (2007). A study on predictors of the elder abuse: Focused on the elderly characteristics and family environment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riminology, 18, 1341-1360. 

  14. Kim, S., & Park, I. S. (2010). Elder abuse. Journal of Korean Geriatric Psychiatry, 14, 3-8. 

  15. Ko, C. M. (2010). A study of nurses' characteristics and their perception of seriousness of elder abus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Nursing, 17, 109-118. 

  16. Korea Elder Protection Agency. (2010). The report of current state on elderabuse. Retrieved April 4, 2012, from http://www.noinboho.or.kr/board2/bbs/board.php? bo_tablenews&wr_id5 

  17. Luo, Y., & Waite, L. J. (2011). Mistreat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older adults: Exploring the role of psychosocial resources and deficits.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66, 217-229. http://dx.doi.org/10.1093/geronb/gbq096 

  1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0). The report of national survey on elder abuse. Retrieved April 4, 2012, from http://www.mw.go.kr/front/al/sal0301vw.jsp? PAR_MENU_ID 04&MENU_ID0403&BOARD_ID140&BOARD_FLAG00&CONT_SEQ237769&page1 

  19. Morrison-Beedy, D., Carey, M. P., Feng, C. Y., & Tu, X. M. (2008). Predicting sexual risk behaviors among adolescent and young women using a prospective diary method. Research in Nursing & Health, 31, 329-340. http://dx.doi.org/10.1002/nur.20263 

  20. Oh, J., Kim, H. S., Martins, D., & Kim, H. (2006). A study of elder abuse in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3, 203-214. http://dx.doi.org/10.1016/j.ijnurstu.2005.03.005 

  21. Schiamberg, L. B., & Gans, D. (1999). An ecological framework for contextual risk factors in elder abuse by adult children. Journal of Elder Abuse & Neglect, 11, 79-103. http://dx.doi.org/10.1300/J084v11n01_05 

  22. Schmeidel, A. N., Daly, J. M., Rosenbaum, M. E., Schmuch, G. A., & Jogerst, G. J. (2012). Health care professionals' perspectives on barriers to elder abuse detection and reporting in primary care settings. Journal of Elder Abuse and Neglect, 24, 17-36. http://dx.doi.org/10.1080/08946566.2011.608044 

  23. Shin, D. S. (1996). A study on the correlation among family support, depression and physical health status in elderl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24. So, H., Kim, H., & Jung, M. (2009). A study about elder abuse experience of elderly peopl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12, 120-129. 

  25. Sohn, E. (2002). A study on how the experience of old females affects their mental health.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6. Song, M. S. (1991). Construct of a functional status prediction model for the elderl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7. Song, M. S. (2007). Elderly abuse in domestic settings: Nursing perspective. Journal of Nursing Query, 16, 78-101. 

  28.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2). A global response to elder abuse and neglect: Building primary heath care capacity to deal with the problem world wide: Main report. Retrieved April 7, 2012, from http://www.who.int/ageing/projects/elder_abuse/en/index.html 

  29. Yang, K. M. (2004). A study of elder abuse in the domestic setting: Coping strategies and the consequences of elder abus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 1047-1056. 

  30. Zaninotto, P., & Falaschetti, E. (2011). Comparison of methods for modelling a count outcome with excess zeros: Application to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s).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65, 205-210. http://dx.doi.org/10.1136/jech.2008.07964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