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형 간호사의 성 태도와 신념 조사도구(Sexuality Attitudes and Beliefs Survey)의 적합성 평가 및 적용
Evaluation and Applic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Sexuality Attitudes and Beliefs Survey for Nurse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2 no.6, 2012년, pp.889 - 897  

김혜원 (관동대학교 간호학과) ,  정연이 (삼성서울병원 진료개선팀) ,  박승미 (호서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Sexuality Attitudes and Beliefs Survey (SABS) and to assess SABS for Korean nurses. Methods: The Korean version of SABS was developed through forward-backward translation techniques. Internal con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SABS원 도구는 요인분석과 같은 방식을 거치지 않았기 때문에, 12문항 전체가 지니는 내용을 속성에 따라 분류하여 설명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SABS도구12문항 각각이 지니는 의미뿐 아니라 SABS 도구가 어떤 구조나 하위개념으로 나타나는 지를 평가하고자 한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10문항의 한국형SABS도구로 재구성되면서 신뢰도와 타당도의 재검증뿐 아니라 도구의 특성을3개의요인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 , 2010).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문화적 특성을 반영한 간호사의 성 태도와 신념을 이해할 수 있고, 나아가 타 문화권 간호사가 보이는 성 태도, 신념과 비교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간호사들이 성 건강 간호를 제대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효능감과 중요성을 증진시키고 장애요인을 줄여주는 것이 필요하다.
  • 개인의 성 관련 태도와 신념은 사회 문화적 특성을 반영한 것으로 전제할 때, SABS 도구가 외국에서는 유용성이 확인되었다 하더라도 우리나라 상황에서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지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Magnan 등(2005)이 개발한 SABS 도구의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원 도구를 번역하여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한 후, 이 도구를 활용하여 실제 우리나라 임상 간호사들의 성 태도와 신념을 조사하며, 임상간호사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임상실무 특성, 성 관련 특성에 따른 성태도와 신념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한다.
  • SABS도구는 간호사가 성 건강 간호를 수행할 때 장애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개인적인 태도와 신념을 규명하기 위해 개발된 도구이다(Reynolds& Magnan, 2005). 본 연구는 간호사가 인식하고 있는 성 태도와 신념이 성 건강 사정과 상담과정을 방해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일 것으로 전제하였고, SABS 도구를 우리나라 환경에 적용하기 위하여 한국형 SABS도구의 적합성을 조사하고, 이 도구를 이용한 임상간호사의 성 태도와 신념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SABS원 도구는 요인분석과 같은 방식을 거치지 않았기 때문에, 12문항 전체가 지니는 내용을 속성에 따라 분류하여 설명하지 못하였다.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성태도와 신념을 측정하는 SABS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고 국내 임상간호사 개인이 가지고 있는 성 태도와 신념을 조사하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 결과 SABS 도구는 ‘성 건강간호 효능감’, ‘성 건강간호 장애성’, ‘성 건강간호 중요성’으로 명명된 3개 요인으로 추출되었으며 적절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갖춘 도구로 확인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SABS 도구를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번안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함으로써 한국형 SABS 도구의 적합성을 확인 한 후 우리나라 임상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성태도와 신념을 조사하기 위함이다.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그러나 본 연구의 제한은 한국형 SABS도구를 사용하여 간호사가 성건강 간호를 수행할 때 예상되는 태도와 신념에 초점을 둔 것이므로, 실제 임상 간호사의 성 건강 간호수행 능력을 확인하지 못한 점이다. 본 연구의 의의는 한국형 SABS 도구가 간호 실무 현장에서 간호사의 성 건강 간호 수행의 평가도구로 활용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였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추후 연구를 통해 한국형 SABS 도구로 측정한 점수와 실제 성 건강 간호 수행능력과의 관련성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 표본상관행렬의 고유 값을 살펴본 결과 1보다 큰 값을 가진 성분의 수가 3개로 확인되었는데, 이는 Kaiser의 규칙에 의해 본 도구의3개요인이적당하다고평가할수있다(Kaiser, 1958). 원래 이 도구는 개발당시 요인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시도하여 구성 개념을 확인하고자 하였다(Table 2).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3개의 요인을 선정하였으며, 그 다음AMOS를이용하여확인적요인분석을실시하였다.
  • 이 연구는 Magnan 등(2005)이 개발한 성태도와 신념조사도구(SABS)를 한국어로 번역하고 한국어판SABS도구의타당도와신뢰도를 검증하는 방법론적 연구이며, 설문지를 이용한 횡단적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가설 설정

  • 성 건강 간호 수행에는 간호사, 환자 그리고 환경과 같은 다각적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데, 그 중에서도 간호사 개인이 지니고 있는 성 태도와 신념 요인은 간호 실무에서 환자의 성 건강문제를 적극 고려할 것인지 또는 무시하거나 회피할 것인지 결정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한 간호사 특성으로 간주되고 있다 (Katz, 2003). 이에 본 연구는 성 건강 간호 수행에 있어서 간호사 개인의 특성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요인임을 가정하였고, 구체적인 특성으로서 성 태도와 신념에 초점을 두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성이란 무엇에 의해 영향을 받는가? 성(sexuality)은 인간의 삶에 있어서 역동적이고 통합적인 부분으로 가장 핵심적인 영역이며, 생물학적, 심리적, 사회문화적, 윤리적, 종교적, 영적인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2002). 개인의 안녕을 성취하고 지속적인 발달을 이루기 위해서는 성 건강 증진이 필수적인데, 성 건강 증진을 위해서는 모든 사람에게 평생 동안 포괄적인 성 교육, 성 건강 정보와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World Association for Sexual Health [WAS], 2008).
간호사들이 성 건강 주제를 논의하거나 성 문제에 당면했을 때 장애 요인은? 간호사들이 성 건강 주제를 논의하거나 성 문제에 당면하였을 때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내용들이 장애요인으로 파악되고 있다. 즉, 성 관련 주제가 당혹스럽게 느껴지고, 우선순위가 아니며, 오히려 성에 대한 언급이 환자의 불안을 가중시키거나 사생활을 침해한다는 걱정 등이 있었고(Guthrie, 1999; Haboubi & Lincoln, 2003), 성 문제에 대한 간호중재를 알지 못하였고, 성 건강 중재에 필요한 자원과 시간의 부족과 성 상담 교육이나 훈련을 받지 못한 점, 그리고 역할모델이 없었기 때문에 성 관련 주제를 피하게 된다고 보고되었다 (Cort et al., 2001; Haboubi & Lincoln, 2003; Higgins, Barker, & Begley, 2006; Kautz, Dickey, & Stevens, 1990; Lavin & Hyde, 2006; Rana, Knik, Ozcan, & Yuzer, 2007; Reynolds& Magnan, 2005).
실제 간호사가 성 건강에 대한 논의를 회피하는 주된 이유는? 그런데 특히 많은 임상 간호사들은 환자의 성 건강을 사정하고 중재하는 것이 전문 간호의 부분으로 중요하다는 사실을 인식하면서도, 성 건강을 실제 간호 실무에 통합하는데 있어서 어려움이 있음을 보고하였다(Cort, Attenborough, & Watson, 2001; Magnan, Reynolds, & Galvin, 2005). 환자들 역시 가장 적절한 성 관련 상담자로 간호사가 적합하다고 판단하고 있었으며, 간호사가 먼저 성 관련 주제를 언급해 줄 것을 기대하였지만, 실제 간호사가 성 건강에 대한 논의를 회피하는 주된 이유는 바로 성 건강 간호에 필요한 준비 부족으로 볼 수 있다(Algier&Kav,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lgier, L., & Kav, S. (2008). Nurses' approach to sexuality-related issues in patients receiving cancer treatments. Turkish Journal of Cancer, 38, 135-141. 

  2. Bagozzi, R. P., & Yi, Y. (1988). On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16, 74-94. http://dx.doi.org/10.1007/BF02723327 

  3. Cort, E. M., Attenborough, J., & Watson, J. P. (2001). An initial exploration of community mental health nurses' attitudes to and experience of sexuality- related issues in their work with people experiencing mental health problems. Journal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8, 489-499. http://dx.doi.org/10.1046/j.1351-0126.2001.00425.x 

  4. Fornell, C., & Larcker, D. F. (1981).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ed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 39-50. http://dx.doi.org/10.2307/3151312 

  5. Guthrie, C. (1999). Nurses' perceptions of sexuality relating to patient care. Journal of Clinical Nursing, 8, 313-321. http://dx.doi.org/10.1046/j.1365-2702.1999.00253.x 

  6. Haboubi, N. H. J., & Lincoln, N. (2003). Views of health professionals on discussing sexual issues with patients.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25, 291-296. http://dx.doi.org/10.1080/0963828021000031188 

  7. Higgins, A., Barker, P., & Begley, C. M. (2006). Sexuality: The challenge to espoused holistic care.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12, 345-351. http://dx.doi.org/10.1111/j.1440-172X.2006.00593.x 

  8. Julien, J. O., Thom, B., & Kline, N. E. (2010). Identification of barriers to sexual health assessment in oncology nursing practice. Oncology Nursing Forum, 37, e186-e190. http://dx.doi.org/10.1188/10.ONF.E186-E190 

  9. Kaiser, H. F. (1958). The Varimax criterion for analytic rotation in factor analysis. Psychometrika, 23, 187-200. http://dx.doi.org/10.1007/BF02289233 

  10. Katz, A. (2003). Sexuality after hysterectomy: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discussion of nurses' rol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42, 297-303. http://dx.doi.org/10.1046/j.1365-2648.2003.02619.x 

  11. Kautz, D. D., Dickey, C. A., & Stevens, M. N. (1990). Using research to identify why nurses do not meet established sexuality nursing care standards. Journal of Nursing Quality Assurance, 4, 69-78. 

  12. Kim, N. C. (2000). Nurses' attitudes and knowledge about sexuality of the aged.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2, 195-203. 

  13. Lavin, M., & Hyde, A. (2006). Sexuality as an aspect of nursing care for women receiving chemotherapy for breast cancer in an Irish context. European Journal of Oncology Nursing, 10, 10-18. http://dx.doi.org/10.1016/j.ejon.2005.03.013 

  14. Lee, H. S. (2011). Korean dictionary. Paju: Bobmunsa. 

  15. Magnan, M. A., Reynolds, K. E., & Galvin, E. A. (2005). Barriers to addressing patient sexuality in nursing practice. Medical-Surgical Nursing, 14, 282-289. 

  16.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year book 2010. Seoul: Author. 

  17. Park, M. S. (2008). Nursing students' knowledge and attitudes regarding sexuality in the aged. Theses Collection, 43, 625-631. 

  18. Rana, Y., Kanik, A., Ozcan, A., & Yuzer, S. (2007). Nurses' approaches towards sexuality of adolescent patients in Turkey.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6, 638-645.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05. 01523.x 

  19. Reynolds, K. E., & Magnan, M. A. (2005). Nursing attitudes and beliefs toward human sexuality: Collaborative research promoting evidencebased practice. Clinical Nurse Specialist, 19, 255-259. http://dx.doi.org/10.1097/00002800-200509000-00009 

  20. Robinson, B. B. E., Bockting, W. O., Rosser, B. R. S., Miner, M., & Coleman, E. (2002). The sexual health model: Application of a sexological approach to HIV prevention. Health Education Research, 17, 43-57. http://dx.doi.org/10.1093/her/17.1.43 

  21. Saunamaki, N., Andersson, M., & Engstrom, M. (2010). Discussing sexuality with patients: Nurses' attitudes and belief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6, 1308-1316.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10.05260.x 

  22. Tak, Y. R., Kang, K. A., Kim, J. H., Kim, T. K., Kim, H. O., Song, J. H., et al. (2009). Introduction to statistics for nurse. Seoul: Fornurse. 

  23. Volman, L., & Landeen, J. (2007). Uncovering the sexual self in people with schizophrenia. Journal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4, 411-417. http://dx.doi.org/ 10.1111/j.1365-2850.2007.01099.x 

  24. World Association for Sexual Health. (2008). The sexual health for the Millennium. A declaration and technical document. Retrieved October 20, 2011, from http://www.worldsexualhealth.org/sites/default/files/Millennium%20 Declaration%20(English).pdf 

  25.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2). Sexual health. Retrieved July 13, 2010, from http://www.who.int/reproductive-health/gender/sexualhealth.htm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