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혼 유방암 환자의 외상 후 성장
Posttraumatic Growth of Patients with Breast Cancer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2 no.6, 2012년, pp.907 - 915  

이숙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김연정 (단국대학교 대학생활상담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A diagnosis of breast cancer is one of the most traumatic events that threatens a woman's life, but while women adapt to and overcome these threats, they not only experience negative aspects, but also growt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any factors that affect growth,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암의 진단으로 인해 환자들이 부정적인 심리적 경험만을 할 것이라는 단선적인 관점을 넘어 그로 인해 인간이 성장할 수 있다는 넓은 시야를 제공하고 관련요인을 탐색한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 대상자가 국내 2개 대학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는 대상자이므로 전체 유방암 환자에게 일반화하는데 한계점을 갖는다
  • 본 연구는 유방암 환자들의 외상 후 성장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 본 연구는 유방암 환자의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기혼 유방암 환자에 대한 이해 증진과 외상 후 성장을 도모할 수 있는 간호 중재의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 결과 자존감과 암 대처가 유방암환자의 외상 후 성장에 주요 영향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기혼 유방암환자들의 외상 후 성장 정도와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유방암환자들의 외상 후 성장 증진에 효과적인 간호중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함이며 이를 위한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 ) 측면에서 부부 친밀감, 그리고 유방암 환자들에게 주요 심리적 문제인 자존감과 신체상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를 통해 기혼 유방암 수술환자에 대한 이해 증진과 외상 후 성장을 도모할 수 있는 간호 중재의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발병률이 높은 유방암 환자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기혼의 유방암 수술환자를 대상으로 외상 후 성장의 영향요인으로 알려진 대처방식(Kim et al., 2008; Yang, 2009)과 사회적 지지(Kim et al.) 측면에서 부부 친밀감, 그리고 유방암 환자들에게 주요 심리적 문제인 자존감과 신체상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를 통해 기혼 유방암 수술환자에 대한 이해 증진과 외상 후 성장을 도모할 수 있는 간호 중재의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외상 후 성장은 무엇인가? 외상 후 성장은 위기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으로 얻어지는 결과로써 단지 외상 전 수준으로 돌아가는 것 뿐만 아니라, 그 이상의 초월적인 변화를 경험하게 되는 주관적이고 긍정적인 심리적 변화를 말한다(Tedeshi & Calhoun, 1996). 본 연구에서는 Tedeshi와 Calhoun이 개발하고 Song, Lee, Park과 Kim (2009)이 번안 및 타당화한 Korea version of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K-PTGI)를 사용하였다.
암환자은 무엇을 경험하는가? 암환자들은 질병과정동안 죽음과 재발에 대해 불안을 느끼고 그로 인한 수면장애에 시달리며,예민함이나 우울과 같은 부정적인 감정을 경험하게 된다. 또한 가족기능의 변화나 재정적인 어려움의 문제를 해결해야 하고, 통증이나 피로, 화학요법의 부작용으로 인한 외모의 변화와 함께 다양한 신체적인 불편감으로 질병의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다(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ork [NCCN], 2007).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IBM) program을 사용하여 어떻게 통계 하였는가? 첫째, 대상자의 특성은 서술 통계를 실시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로 산출하였다. 둘째, 인구 사회학적 및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외상 후 성장의 차이는 Kolmogorov-Smirmov로 검정한 결과 모집단의 분포가 정규분포를 따르는 것으로 나타나 t-test와 ANOVA를 사용하여 검정하였다. 셋째,각 변인들의 수준은 평균과 표준편차로 산출하였다. 넷째, 대상자의 각 변수 간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실시하였다. 다섯째, 외상 후 성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해 multiple regression을 사용하여 독립변수를 동시에 투입하는 입력(enter)방식으로 시행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xter, N. N., Goodwin, P. J., McLeod, R. S., Dion, R., Devins, G., & Bombardier, C. (2006).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body image after breast cancer questionnaire. The Breast Journal, 12(3), 221-232. http://dx.doi.org/10.1111/j.1075-122X.2006.00246.x 

  2. Cho, O. H., & Yoo, Y. S. (2009). Psychosocial adjustment, marital intimacy and family support of post-mastectomy patients.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9(2), 129-135. 

  3. Choi, J. H. (2011). Posttraumatic growth in cancer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Busan. 

  4. Chung, S. W., Hwang, E. K., & Hwang, S. W. (2009). Marital intimacy and quality of life in women with breast cancer.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9(2), 122-128. 

  5. Falk Dahl, C. A., Reinertsen, K. V., Nesvold, I. L., Fossa, S. D., & Dahl, A. A. (2010). A study of body image in long-term breast cancer survivors. Cancer, 116(15), 3549-3557. http://dx.doi.org/10.1002/cncr.25251 

  6. Han, I. Y., & Lee, I. J. (2011). Posttraumatic growth in patients with cancer.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42(2), 419-441. 

  7. Heijer, M., Seynaeve, C., Vanheusden, K., Duivenvoorden, H. J., Vos, J. V., & Bartels, C. C. M., et al. (2011). The contribution of self-esteem and self-concept in psychological distress in women at risk of hereditary breast cancer. Psycho-Oncology, 20(11), 1170-1175. http://dx.doi.org/10.1002/pon.1824 

  8. Jon, B. J. (1974).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The Journal of Yon-Sei, 11(1), 107 -130. 

  9. Kim, H. J., Kwon, J. H., Kim, J. N., Lee, R., & Lee, K. S. (2008). Posttraumatic growth and related factors in breast cancer survivor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3(3), 781-799. 

  10. Kim, J. N., Kwon, J. H., Kim, S. Y., Yoo, B. H., Hur, J. W., & Sung, H. J., et al. (2004). Validation of Korean-cancer coping questionnaire (K-CCQ).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9(2), 395-414. 

  11. Kim, S. H., & Lee, E. S. (2006). The stress and adaptation of the spouses of patients with gynecological cancer.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6(2), 162-171. 

  12. Koo, B. J. (2008). The influence of resilience, hope, marital intimacy, and family support on quality of life for middle-aged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7(4), 421-430. 

  13. Lee, K. H. (1998). Marriage types classified by wives' perception of marital conflict and intimac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University, Seoul. 

  14. Lee, Y. S. (2007). Psychosocial experience in post-mastectomy women.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59(3), 99-124. 

  15. Lepore, S. J., Glaser, D. B., & Roberts, K. J. (2008). On the positive relation between received social support and negative affect: A test of the triage and self-esteem threat models in women with breast cancer. Psycho-Oncology, 17(12), 1210-1215. http://dx.doi.org/10.1002/pon.1347 

  16. Linley, P. A., & Joseph, S. (2004). Positive change following trauma and adversity: A review. Journal of Trauma Stress, 17(1), 11-21. http://dx.doi.org/10.1023/B:JOTS.0000014671.27856.7e 

  17. Moorey, S., Frampton, M., & Greer, S. (2003). The cancer coping questionnaire: A self-rating scale for measuring the impact of adjuvant psychological therapy on coping behaviour. Psycho-Oncology, 12(4), 331-344. http://dx.doi.org/10.1002/pon.646 

  18. 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ork. (2007). NCCN practice guidelines in oncology. Retrieved 2007, from http://www.nccn.org/index.asp 

  19.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2012). Cancer statistics. Retrieved January 2, 2012, from http://www.cancer.go.kr/ncic/cics_f/01/012/index.html 

  20. Posluszny, D. M., Baum, A., Edwards, R. P., & Dew, M. A. (2011). Posttraumatic growth in women one year after diagnosis for gynecologic cancer or benign conditions. Journal Psychosocial Oncology, 29(5), 561-572. http://dx.doi.org/10.1080/07347332.2011.599360 

  21.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22. Smith, B. W., Dalen, J., Bernard, J. F., & Baumgartner, K. B. (2008). Posttraumatic growth in non-Hispanic White and Hispanic women with cervical cancer. Journal Psychosocial Oncology, 26(4), 91-109. http://dx.doi.org/10.1080/07347330802359768 

  23. Song, S. H., Lee, H. S., Park, J. H., & Kim, K. H. (2009).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4(1), 193-214. 

  24. Statistical Korea. (2004). I wish I could have more respect for myself. Retrieved 2004, from http://kosis.kr/gen_etl/start.jsp?orgId110&tblIdTX_12019_A332&conn_pathI2&path NSI 

  25. Tedeshi, R. G., & Calhoun, L. G. (1996).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Measuring the positive legacy of trauma. Journal of Traumatic Stress, 9(3), 455-471. http://dx.doi.org/10.1002/jts.2490090305 

  26. Tedeshi, R. G., & Calhoun, L. G. (2004). Posttraumatic growth: Conceptual foundations and empirical evidence. Psychological Inquiry, 15(1), 1-18. http://dx.doi.org/10.1207/s15327965pli1501_01 

  27. Yang, A. J. (2009). Mindfulness, positive cancer coping styles and posttraumatic growth in breast cancer survivors-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coping styl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8. Yoon, M. O., & Park, J. S. (2003). Live spiritual experiences of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4(3), 445-456. 

  29. Yu, M. S., & Lee, S. Y. (2010). The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body image after breast cancer questionnaire. Korean Journal of Play Therapy, 13(1), 65-81. 

  30. Zwahlen, D., Hagenbuch, N., Carley, M. I., Jenewein, J., & Buchi, S. (2010). Posttraumatic growth in cancer patients and partners-effects of role, gender and the dyad on couples' posttraumatic growth experience. Psycho-Oncology, 19, 12-20. http://dx.doi.org/10.1002/pon.148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