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염건 조피볼락(Sebastes schlegeli) 제조 중 ADH 및 ALDH의 활성변화
Changes in Alcohol Dehydrogenase (ADH) and Acetaldehyde Dehydrogenase (ALDH) Activity during the Processing of Salt-Dried Rockfish Sebastes schlegeli 원문보기

한국수산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45 no.6, 2012년, pp.594 - 599  

심길보 (국립수산과학원 식품안전과) ,  이현진 (국립수산과학원 식품안전과) ,  이소정 (국립수산과학원 식품안전과) ,  조현아 (국립수산과학원 식품안전과) ,  윤나영 (국립수산과학원 식품안전과) ,  임치원 (국립수산과학원 식품안전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rocessing conditions for salt dried rockfish Sebastes schlegeli by sun drying and cold-air drying, as measured by alcohol dehydrogenase (ADH) and acetaldehyde dehydrogenase (ALDH) activity. We processed salt dried rockfish samples. The salinity of 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숙취해소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는 우럭간국의 원료인 염건 조피볼락 열수 추출물에 대하여 ADH 와 ALDH 활성을 조사하고, 그 활성에 따라 염건 조피볼락의 최적 제조조건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피볼락은 주로 어떻게 소비되고 있는가? 그러나 최근 조피볼락 입식량 증가로 출하물량 증가하고 원전 사고 이후 소비심리 위축으로 인하여 조피볼락의 현지가격은 급락하면서 정부차원에서의 해결방안 모색이 요구되고 있다 (KMI, 2012). 조피볼락은 주로 생선회로 소비되고 있으며, 머리와 내장과 같은 비가식 부위의 비율이 높고 가식부가 전체 중량의 50% 이내로 낮아 가공품 개발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지금까지 알려진 조피볼락 가공제품에 대한 연구로는 훈연처리에 의한 조피볼락의 저장성 및 기호성 증진 연구, 조피볼락을 이용한 동태 육수 제조에 관한 연구 등으로 관련 연구는 미흡한 수준이다(Lee et al.
우리나라에서는 조피볼락을 이용한 대표적인 향토음식으로 무엇이 있는가? 우리나라에서는 조피볼락을 이용한 대표적인 향토음식으로는 서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소비되고 있는 우럭간국 또는 우럭 젓국(이하 ‘우럭간국’)이라고 불려지는 음식이 있다. 이 향토음식은 조피볼락을 염장한 후 자연 건조시켜 갖은 채소와 함께 끓여낸 음식으로, 독특한 풍미와 숙취해소 음식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우럭간국은 어떤 음식인가? 우리나라에서는 조피볼락을 이용한 대표적인 향토음식으로는 서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소비되고 있는 우럭간국 또는 우럭 젓국(이하 ‘우럭간국’)이라고 불려지는 음식이 있다. 이 향토음식은 조피볼락을 염장한 후 자연 건조시켜 갖은 채소와 함께 끓여낸 음식으로, 독특한 풍미와 숙취해소 음식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러나 우럭간국의 원료인 염건 조피볼락은 일부 지역에서 소규모로 생산되고 있으며, 염장 및 건조조건, 최종 제품의 수분 함량 등 제조조건은 확립되어 있지 않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 Arlington, VA, U.S.A. 

  2. Bastian KA and Betts GF. 1978. Kinetics and reaction mechanism of potassium-activated aldehyde dehydrogenase from Saccharomyces cerevisiae. Biochem J 173, 787-798. 

  3. Bligh EG and Dyer WJ. 1959. A rapid method for total lipid extraction and purification. Can J Biochem Physiol 37, 911-917. 

  4. Cha JY, Jung HJ, Jeong JJ, Yang HJ, Kim YT and Lee YS. 2009. Effects of amino acids on the activities of alcohol metabolizing enzyme alcohol dehydrogenase (ADH) and acetaldehye dehydrogenase (ALDH). J Life Sci 19, 1321-1327. 

  5. Chung MS, Lee GS and Chae HJ. 2004. In vitro biological activity assay of ethanol extract of radish.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7, 67-71. 

  6. Gwak HJ. Eun JB. 2010. Chemical changes of low salt Gulbi (salted and dried yellow corvenia) during hot-air drying with different temperatures.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147-154. 

  7. Hooi R, Barbano DM, Bradley RL, Budde D, Bulthaus M, Chettiar M, Lynch J, Reddy R. 2004. Chemical and physical methods. In, Wehr HM, Frank JF (Eds):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Dairy Products.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Washington D.C., U.S.A, 363-532. 

  8. Hwang JY, Ham JW and Nam SH. 2004. Effect of Maesil (Prunus mume) juice on the alcohol metabolizing enzyme activiti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329-332. 

  9. Iimuro Y, Bradford BU, Forman DT and Thurman RG. 1996. Glycine prevents alcohol-induced liver in jury by decreasing alcohol in the rat stomach. Gastroenterology 110, 1536-1542. 

  10. Jin SI, Kim YC, Kang SW, Jeong CH, Choi SJ, Kim JK, Choi SG and Heo HJ. 2008. Analysis of nutritional components and development of an intermediate moisture food from sturgeon. Korean J Food Preserv 15, 719-724. 

  11. Kang BK, Jung ST and Kim SJ. 2002. Effects of vegetable extracts by solvent separation on alcohol dehydrogenase activity from Saccharomyces cerevisiae.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244-248. 

  12. Kim KS and Paik HY. 1992. A comparative study on optimum gestation of salt and sodium intake in young and middleaged Korean women. Korean J Nutr 25, 32-41. 

  13. Korea Maritime Institute (KMI). 2012. Korea Maritime Institute Fisheries Outlook Center, Fisheries outlook service (Fish); the February 2012 issue. No. 285. KMI. Seoul, Korea, 7-10. 

  14. Koivula T and Koivusalo M. 1975. Different from of rat liver aldehyde dehydrogenase and their subcellular distribution. Biochem Biophy Acta 397, 9-23. 

  15. Lee IS, Kim IC, Chae MH and Chang HC. 2007. Storage and acceptability of a smoked Sebastes schlegeli produ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458-1464 

  16. Lee SJ, Shim KB, Lim CW, Hong YM, Kim JD and Yoon HD. 2012. Effect of various washing methods on the quality of semi-dried Pacific saury Cololabis saira Guamegi. Kor J Fish Aquat Sci 45, 224-231. 

  17. Lee JY. 2001. A study of salt consumption and related factors among adult females. Korean J Food & Nutr 14, 430-440. 

  18. Lieber CS. 1994. Alcohol and the liver: Update. Gastroenterology 106, 1085-1090. 

  19.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MIFAFF). 2012.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Statistical Yearbook 2012. MIFAFF. Seoul, Korea, 422. 

  20. Min OR, Shin MS, Jhon DY and Hong YH. 1988. Changes in amines, formaldehydes and fat distribution during Gulbi process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0, 125-132. 

  21. Peters TJ. 1982. Ethanol metabolism. Bri Med Bull 38, 17-20. 

  22. Shim KB, Lim CW, Lee SJ, Jung HY, Shim HJ and Yoon HD. 2011. Effect of drying conditions on biogenic amine production and lipid oxidation in semi-dried Pacific saury Cololabissaira, Guamegi. Kor J Fish Aquat Sci 44, 470-477. 

  23. Shin JH, Kwon OC, Kang MJ, Choi SY, Lee SJ and Sung NJ. 2006. The changes of malonaldehyde and fatty acids composition of yellow corvenia during Gulbi processing and storage. Korean J Food & Nutr 19, 374-38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