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조방법에 따른 꾸지뽕열매 추출물의 항산화활성과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 저해활성
Antioxidant and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 Inhibitory Activities of Extracts from Mulberry (Cudrania tricuspidata) Fruit subjected to Different Drying Method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1 no.10, 2012년, pp.1388 - 1394  

윤광섭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가공학전공) ,  김재원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가공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건조 꾸지뽕나무 열매의 기능성 소재으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70% ethanol 추출물에 대한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실험군은 꾸지뽕나무 열매 동결건조분말 70% ethanol 추출물(ECFD), 열풍건조분말 70% ethanol 추출물(ECHD), 적외선건조분말 70% ethanol 추출물(ECID)을 각각 동결건조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수율은 적외선건조에서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색도는 $L^*$, $a^*$, $b^*$$H^{\circ}$ 값 모두 열풍건조 및 적외선건조에서 감소하였으며,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적외선건조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전자공여능은 적외선건조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환원력 및 ABTS 라디칼 소거활성에서도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적외선건조, 열풍건조, 동결건조 순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SOD 유사활성은 동결건조에서는 611.97 mUnit, 열풍건조에서는 723.02 mUnit, 적외선건조에서는 891.93 mUnit로 열풍건조 및 적외선건조가 동결건조에 비하여 각각 18.15% 및 45.75%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반면 ferrous ion chelating 효과에서는 동결건조(52.36%)>적외선건조(47.16%)>열풍건조(30.04%)의 순으로 동결건조 처리구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ACE 저해활성에서는 열풍건조 및 적외선건조가 동결건조에 비하여 각각 9.30% 및 30.88%가 증가하였으며, XO 저해 활성에서는 열풍건조 및 적외선건조가 동결건조에 비하여 각각 5.09% 및 9.02%가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 적외선 건조 처리한 꾸지뽕나무 열매 추출물은 다양한 항산화 활성 증대효과를 나타냄으로써 산화적 손상 예방 소재개발에 활용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of 70% ethanol extracts (EE) from Cudrania tricuspidata fruit (ECFD, EE of C. tricuspidata subjected to freeze-drying; ECHD, EE of C. tricuspidata subjected to heat air drying; ECID, EE of C. tricuspidata subjected to infrared drying) were investigated. Yields of f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기능성 소재활용에 관한 연구를 통해 꾸지뽕나무의 우수성이 밝혀져 왔으나 건조방법에 따른 꾸지뽕나무 열매 추출물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며 이들을 유용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그 효능에 대한 과학적인 근거의 제시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효능을 가지는 꾸지뽕나무 열매의 이용가치를 향상 시키고 효율적인 건조방법을 구명하고자 건조방법에 따른 생리활성을 조사함으로써 기능성 소재개발의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동의보감에 기재된 꾸지뽕나무와 관련된 효능은? 꾸지뽕나무(Cudrania tricuspidata)는 뽕나무과에 속하는 낙엽교목으로 동아시아에서 주로 분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1종만이 전국 각지에서 자생하고 있다. 예로부터 나무 잎, 줄기, 뿌리는 습진, 폐결핵, 만성 요통, 타박상, 급성관절염 등의 한방치료에 사용되었으며, 동의보감에서는 꾸지뽕 열매가 강장, 자양, 숙취해소, 간과 신장 보호효과 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3). 또한 항균 및 항산화 작용 (4), 항당뇨(5), 항고지혈증(6), 항고혈압(7), 항세포독성(8) 등에 관한 연구가 활발해짐에 따라 전남․북 지역을 중심으로 재배면적이 급속히 늘어가고 있다.
정상적인 생명활동을 통하여 생성된 활성산소를 제거할 수 있는 성분은? 정상적인 생명활동을 통하여 생성된 활성산소는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glutathione peroxidase, glutathione S-transferase 등과 같은 단백성 항산화제뿐만 아니라 glutathione, 비타민 C, 비타민 E, coenzyme Q 등과 같은비 단백성 항산화제에 의해 제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 그러나 생체가 과도한 스트레스를 받거나 과음, 흡연, 피로 또는 각종 질병상태에서는 활성산소 생성계와 제거계 사이의 불균형이 초래되어 과잉의 활성산소 생성으로 조직이 손상되며 이로 인해 노화가 촉진되고 발암, 고혈압, 동맥 경화 및 당뇨 등과 같은 각종질환을 유발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2).
생체가 과도한 스트레스를 받거나 과음, 흡연, 피로 또는 각종 질병상태에 따라 초래되는 활성산소 생성계와 제거계 사이의 불균형은 어떤 문제를 유발하는가? 정상적인 생명활동을 통하여 생성된 활성산소는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glutathione peroxidase, glutathione S-transferase 등과 같은 단백성 항산화제뿐만 아니라 glutathione, 비타민 C, 비타민 E, coenzyme Q 등과 같은비 단백성 항산화제에 의해 제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 그러나 생체가 과도한 스트레스를 받거나 과음, 흡연, 피로 또는 각종 질병상태에서는 활성산소 생성계와 제거계 사이의 불균형이 초래되어 과잉의 활성산소 생성으로 조직이 손상되며 이로 인해 노화가 촉진되고 발암, 고혈압, 동맥 경화 및 당뇨 등과 같은 각종질환을 유발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2). 이러한 질병의 원인으로 superoxide anion radical(O2), hydroxyl(OH), singlet oxygen(1O2) 및 hydrogen peroxide(H2O2) 등과 같은 free radical과의 관련성이 대두됨에 따라 식의약적인 측면에서 활성산소를 감소시킬 수 있는 천연식물자원을 활용한 소재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Johnston RB Jr, Keele BB Jr, Misra HP, Lehmeyer JE, Webb LS, Baehner RL, RaJagopalan KV. 1975. The role of superoxide anion generation in phagcytic bactericidal activity. Studies with normal and chronic granulomatous disease leukocyte. J Clin Invest 55: 1357-1372. 

  2. Danrong Z, Yuquiong C, Dejiang N. 2009. Effect of water quality on the nutritional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green tea extracts. Food Chem 113: 110-114. 

  3. Jang IM. 2003. Treatise on Asian Herbal Medicines. Natural Products Sci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Seoul, Korea. 

  4. Ottersen T, Vance B, Doorenbos NJ, Chang BL, el-Feraly FS. 1997. The crystal structure of cudranone, 2,6,3'-trihydroxy- 4-methoxy-2'-(3-methyl-2-butenyl)-benzophenone: a new antimicrobial agent from Cudrania chochinchinensis. Acta Chem Scand B 31: 434-436. 

  5. Chen F, Nakashima N, Kimura I, Kimura M. 1995. Hypoglycemic activity and mechanisms of extracts from mulberry leaves (Folium mori) and cortex mori radicis i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mice. Yakugaku Zasshi 115: 476-482. 

  6. Cha JY, Kim HJ, Jun BS, Cho YS. 2000. Effects of waterextract of leaves from Morus alba and Cudrania tricuspidata on the lipid concentration of serum and liver in rats.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3: 303-308. 

  7. Kang DG, Hur TY, Lee GM, Oh HC, Kwon TO, Sohn EJ, Lee HS. 2002. Effects of Cudrania tricuspidata water extract on blood pressure and renal functions in NO-dependent hypertension. Life Sci 70: 2599-2609. 

  8. Lee IK, Kim CJ, Song KS, Kim HM, Koshino H, Uramoto M, Yoo ID. 1996. Cytotoxic benzyl dihydroflavonols from Cudrania tricuspidata. Phytochemistry 41: 213-216. 

  9. Chon IJ, Lee SW, Cha JH, Han JH, Whang WK. 2005. Antioxidant compounds of Cudrania tricuspidata leaves. Yakhak Hoeji 49: 416-421. 

  10. Lee IK, Song KS, Kim SJ, Kim HM, Oh GT, Yoo ID. 1994. Tumor cell growth inhibi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flavonoids from the stem bark of Cudrania tricuspidata. Agric Chem Biotechnol 37: 105-109. 

  11. Lee SJ. 2002. Antioxidative activity of flavonoid compounds from Cudrania tricuspidata root bark. M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12. Han XH, Hong SS, Hwang JS, Jeong SH, Hwang JH, Lee MH, Lee MK, Lee DH, Ro JS, Hwang BY. 2005. Monoamine oxidase inhibitory constituents from the fruits of Cudrania tricuspidata. Arch Pharm Res 28: 1324-1327. 

  13. Dewanto V, Wu X, Adom KK, Liu RH. 2002. Thermal processing enhances the nutritional value of tomatoes by increasing total antioxidant activity. J Agric Food Chem 50: 3010-3014. 

  14. Abdel-Hameed ESS. 2008. Total phenolic contents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certain Egyptian Ficus species leaf samples. Food Chem 114: 1271-1277. 

  15.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6.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17. Arabshahi-Delouee S, Urooj A. 2007. Antioxidant properties of various solvent extracts of mulberry (Morus indica L.) leaves. Food Chem 102: 1233-1240. 

  18. Kato H, Lee IE, Chuyen N, Kim SB, Hayase F. 1987. Inhibition of nitrosamine formation by nondialyzable melanoidins. Agric Biol Chem 51: 1333-1338. 

  19. Yen GC, Duh PD, Tsai HL. 2002. Antioxidant and pro-oxidant properties of ascorbic acid and garlic acid. Food Chem 79: 307-313. 

  20. Martin JP Jr, Dailey M, Sugarman E. 1987. Negative and positive assay of superoxide dismutase based on hematoxylin autoxidation. Arch Biochem Biophys 255: 329-336. 

  21. Cushman DW, Cheung HS. 1971. Spectrophotometric assay and properties of the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of rabbit lung. Biochem Pharmacol 20: 1637-1648. 

  22. Ozer N, Muftuoglu M, Ataman D, Ercan A, Ogus IH. 1999. Simple, high-yield purification of xanthine oxidase from bovine milk. J Biochem Biophys Methods 39: 153-159. 

  23. Chae SI, Kim BJ. 1995. Statistical analysis for SPSS/PC. Bubmoon Publishing Co., Seoul, Korea, p 66-75. 

  24. Cha JY, Jeong JJ, Kim YT, Seo WS, Yang HJ, Kim JS, Lee YS. 2006. Detection of chemical characteristics in Hamcho (Salicornia herbacea) according to harvest periods. J Life Sci 16: 683-690. 

  25. Woo KS, Hwang IG, Noh YH, Jeong HS. 2007. Antioxidant activity of heated licorice (Glycyrrhiza uralensis Fisch) extracts in Kore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689-695. 

  26. Oh PS, Lee HJ, Lim KT. 2009. Inhibitory effect of glycoprotein isolated from Cudrania tricuspidata bureau on histamine release and COX-2 activity in RBL-2H3 cells.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405-412. 

  27. Kang HK, Yoo YK, Lee SK. 2003. Effects of prestorage heat treatment on changes of phenolic compound contents and incidence of skin blackening in 'Niitaka' pear fruits during cold storage. J Kor Soc Hort Sci 44: 197-200. 

  28. Kim JH, Kwak DY, Choi MS, Moon KD. 1999. Comparison of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Korean and Chinese safflower (Carthamus tinctororius L.) seed.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912-918. 

  29. Johnson JE, Walford R, Harma D, Miquel J. 1986. Free radicals, aging and degenerative disease. Alen R, ed. Liss, New York, NY, USA. p 325-371. 

  30. Lee KS, Kim GH, Kim HH, Kim ES, Park HM, Oh MJ.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tea thermally processed from dried Ixeris dentata root. Korean J Food Preserv 15: 524-531. 

  31. Kim OK, Ho JN, Nam DE, Jun WJ, Hwang KT, Kang JE, Chae OS, Lee JM. 2012. Hepatoprotective effect on Curdrania tricuspidata extracts against oxidative dam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7-13. 

  32. Yen GC. 1990. Influence of seed roasting process on the changes in composition and quality of sesame (Sesame indicum) oil. J Sci Food Agric 50: 563-570. 

  33. Park NY, Jeong YJ, Lee GD, Kwon JH. 2000. Monitoring of maillard reaction characteristics under various roasting conditions of Polygonatum odoratum roo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647-654. 

  34. Nice DJ, Robinson DS, Holden MA. 1995. Characterisation of a heat-stable antioxidant co-purified with the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from dried peas. Food Chem 52: 393-397. 

  35. Seo SJ, Choi Y, Lee SM, Kong S, Lee J. 2008. Antioxidant activities and antioxidant compounds of some specialty ric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29-135. 

  36. Funayama S, Hikino H. 1979. Hypotensive principles of Diospyros kaki leaves. Chem Pharm Bull (Tokyo) 27: 2865-2868. 

  37. Hatano T, Yasuhara T, Yoshihara R, Okuda T, Ikegami Y, Matsuda1 M, Yazaki1 K, Agata I, Nishibe S, Noro T, Yoshizaki M, Okuda T. 1991. Inhibitory effects of galloylated flavonoids on xanthine oxidase. Planta Med 57: 83-8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