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시중 유통 소금 55건은 유형별로는 천일염 22건, 가공소금 17건, 재제소금 16건이었으며, 국산 33건, 수입 22건이었다. 수입국으로는 프랑스를 비롯하여 미국, 일본, 호주, 뉴질랜드, 아르헨티나였다. 식용소금 55건을 ICP-OES 및 Mercury analyzer를 이용하여 납, 카드뮴, 크롬, 구리, 비소, 니켈, 알루미늄, 코발트, 수은을 분석한 결과 평균 $0.281{\pm}0.344$, $0.035{\pm}0.221$, $0.364{\pm}0.635$, $0.182{\pm}0.313$, $0.046{\pm}0.062$, $0.155{\pm}0.247$, $5.753{\pm}10.746$, $0.028{\pm}0.211$, $0.001{\pm}0.001$ mg/kg이 검출되었다. 납의 검출량은 천일염에서 가공소금, 재제소금보다 유의적인 수준으로 높았으며, 크롬과 니켈은 가공소금에서 다른 소금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알루미늄은 수입산 천일염과 가공소금에서 시료 간 큰 차이를 나타냈으며, 검출량이 높은 제품은 프랑스산으로 지역적인 영향이 큰 것으로 판단된다. 소금의 섭취 시 중금속에 대한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소금을 통한 중금속의 주간섭취량과 FAO/WHO에서 제시하는 잠정주간섭취허용량(PTWI), 1인 1일 최대섭취허용량(PMTDI)과 미국 환경보호청(U.S. EPA)의 만성경구섭취 참고용량(RfD)과 비교하여 %PTWI를 구하였다. 금속별 주간섭취량은 납, 카드뮴, 크롬, 구리, 수은 각각 평균 0.413(0.000~1.688), 0.026(0.000~0.505), 0.667 (0.000~5.519), 0.265(0.022~1.720), 0.002(0.000~0.005), ${\mu}g/kg$ bw/week이었으며, %PTWI는 납, 카드뮴, 크롬, 구리, 수은이 각각 1.652(0.000~6.754), 0.372(0.000~7.214), 3.177(0.000~26.279), 0.008(0.001~0.049), 0.031(0.000~0.094)%로 소금을 통한 중금속 섭취량은 안전한 수준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heavy metal content of 55 commercial salts in the Seoul area. There were 22 types of solar sea salt, 17 types of processed salt and 16 types of reworked salt. Looked at another way, there were 22 types of domestic salt and 33 types of salt imported from France,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아직도 천일염의 경우 주요 소금 제조원인 해수의 오염이 각종 폐수 및 생활하수의 유입으로 인해 여러 가지 중금속 및 독성물질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국민건강에 위협을 줄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4).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에 유통되고 있는 소금을 천일염, 가공소금, 재제소금으로 나누어 중금속 함량을 조사하고, 소금을 통한 중금속 섭취량의 위해도를 평가함으로써 안전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중 유통 소금을 유형별로 분류해본다면? 시중 유통 소금 55건은 유형별로는 천일염 22건, 가공소금 17건, 재제소금 16건이었으며, 국산 33건, 수입 22건이었다. 수입국으로는 프랑스를 비롯하여 미국, 일본, 호주, 뉴질랜드, 아르헨티나였다.
시중 유통 소금 수입국으로는 어떤 나라가 있는가? 시중 유통 소금 55건은 유형별로는 천일염 22건, 가공소금 17건, 재제소금 16건이었으며, 국산 33건, 수입 22건이었다. 수입국으로는 프랑스를 비롯하여 미국, 일본, 호주, 뉴질랜드, 아르헨티나였다. 식용소금 55건을 ICP-OES 및 Mercury analyzer를 이용하여 납, 카드뮴, 크롬, 구리, 비소, 니켈, 알루미늄, 코발트, 수은을 분석한 결과 평균 $0.
가공소금, 재제소금보다 유의적인 수준으로 납의 검출이 높았던 소금은 무엇인가? 001 mg/kg이 검출되었다. 납의 검출량은 천일염에서 가공소금, 재제소금보다 유의적인 수준으로 높았으며, 크롬과 니켈은 가공소금에서 다른 소금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알루미늄은 수입산 천일염과 가공소금에서 시료 간 큰 차이를 나타냈으며, 검출량이 높은 제품은 프랑스산으로 지역적인 영향이 큰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Jo EJ, Shin DH. 1998. Study on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sun-dried, refined, and processed salt produced in Chonbuk area. J Fd Hyg Safety 13: 360-364. 

  2. Yang HC, Park JS, Choi GC, Ahn YJ, Yoon KB, Park BJ, Heo NC, Ham KS. 2007.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lar salt in Jeollanam-do. The Report of Health and Environment Research. p 31-49. 

  3. Ellocott P, Brown I. 2007. Sodium intakes around the world. World Health Organization. 

  4. Bae DH. 2009. Hazardous contaminations in commercial salts. Safe Food 4: 4-24. 

  5. Yoon HH, Chang HC. 2011. Growth inhibitory effect of kimchi prepared with four year-old solar salt and topan solar salt on cancer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935-941. 

  6. Lee KD, Park JW, Choi CR, Song HW, Yun SK, Yang HC, Ham KS. 2007. Salinity and heavy metal contents of solar salts production in Jeollanamdo province of Ko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753-758. 

  7. Kim SD, Jung SO, Kim BS, Yun ES, Chang MS, Park YA, Lee YC, Chae YZ, Kim MY. 2010. The content of heavy metals in herbal pills used as general processed food and risk assessment of heavy metal intak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038-1048. 

  8. Son JS, Park KH, Park MK, Hong HK, Bang SJ, Park JH. 2002. A study on safety of bay, refind and processed salt. The Report of Gyeonggi-do Institute of Health and Environment. 

  9. Hwang SH. 1998. A study on the heavy metal contents of common salts in Korea. Kor J Env Hlth Soc 14: 73-86. 

  10. Hong KT, Lee JY, Jang BK. 1996. Heavy metal contents of marketing salts and bay salts by heating. Korean J Sanitation 11: 79-84. 

  11. Shin DO, Jo EJ, Hong JS. 1999. Chemical composition of imported table salts and kimchi preparation test. J Fd Hyg Safety 14: 277-281. 

  12. Jo EJ, Shin DH. 1998. Study on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sun-dried, refined and processed salt produced in Chobuk area. J Fd Hyg Safety 13: 360-364. 

  13. Park JW, Kim SJ, Kim SH, Kim BH, Kang SG, Nam SH, Jung ST. 2000. Determination of mineral and heavy metal contents of various sal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1442-1445. 

  14. 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 (JECFA). 2000. Safety evaluation of certain food additives and contaminants. WHO Food Additives Series 44. International Programme on Chemical Safety and WHO, Geneva. p 273-391. 

  15. FAO. 2003. Summary of evaluations performed by the 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 (JECFA). ILSI, Geneva. 

  16.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06.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I).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oul, Korea. p 123-171. 

  17. Shin EK, Lee HJ, Jun SY, Park EJ, Jung YY, Ahn MY, Lee YK. 2008.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sodium reduction in foodservice operations. Korean J Comm Nutr 13: 215-22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