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채취시기 및 생산방법에 따른 천일염의 성분 분석
Analysis of components according to different collecting time and production method in sun-dried salt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20 no.6, 2013년, pp.791 - 797  

김영섭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기능성식품과) ,  김행란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기능성식품과) ,  김소영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기능성식품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생산시기별 국내산 천일염(장판염, 토판염)의 성분 비교와 미생물 오염 실태 조사를 통하여 천일염 품질관리 기준 마련을 위한 기초 데이터를 생산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월별 천일염 시료의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 15%이상의 높은 수분함량을 보인 시료도 포함되어 식염규격기준에 부적합하였지만, 불용분의 경우 장판염과 토판염이 별개의 기준을 가지고 있어 모두 현재 기준에 부합하였다. 또한 사분은 0.2% 이하의 기준을 초과한 시료도 일부 검출되었다. 회분 함량과 염도는 토판염이 장판염에 비해 약 10% 내외로 높아, 생산방법별로 구분하여 장판염은 염도 80% 이하(회분 80% 이하)의 기준을, 토판염은 염도 90%이하(회분 85% 이하)의 기준 적용을 제안하였다. 또한 총염소 이온(40% 이상)에 대한 분석 결과, 9월~10월에 채집한 장판염 시료에서만 기준보다 낮아, 가을에 채취한 천일염의 경우 채취시기를 명확히 하는 등 별도의 관리 강화 방안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식염 규격 기준 외에 무기이온(Na, Mg, K, Ca, Zn, Fe) 및 미생물조사(중온, 대장균, 연쇄상구균, 호염균)를 실시한 결과, 주요 무기 성분에서 토판염보다는 장판염에서 생산시기별 차이를 조금 보였지만, 마그네슘만이 온도가 높은 여름보다 온도가 낮은 봄, 가을에 그 함량이 조금 높을 뿐, 월별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또한 미생물 오염도 실태 조사에서는 생산방법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고, 9~10월에 수집한 시료에서 일반세균, 연쇄상 구균 및 호기성 호염균이 상당히 높게 검출되어 관리 기준 마련 시 생산시기를 고려한 강화 방안도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기후, 토양 등 생산 환경과 생산방법에 따라 뚜렷한 성분 차이를 보이는 우리나라 천일염을 장판염과 토판염으로 구분하여, 우리나라 실정에 적합한 관리 기준이 마련되어 천일염 품질 관리 및 등급 기준에 따라 균일한 천일염이 생산된다면, 세계시장 진출 시고품질의 천일염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관련부서에서는 제도 마련과 지원에 힘써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composition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of domestic sun-dried salt (white and gray salts) according to their collection time and production metho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isture contents of the white and gray sun-dried salts were 1...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 이하), 총염소(40%이상), 황산이온 (5%이하) 등 일반성분 11개 항목에 대해서만 설정되어 있지만, 국외 식염 기준 중 일본 및 프랑스에서는 일반성분 외에도 무기이온(Na, Mg, K, Ca, Zn, Fe) 및 미생물조사(중온, 대장균, 연쇄상구균, 호염균) 등의 항목도 포함되어 있다. 또한 추가로 분석한 회분, 염도, 당도, pH 등 기준 역시 현재 식염에 적용하고 있는 사례는 없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측정 항목에 대하여 채취시기 및 생산방법을 고려하여 천일염의 품질 특성을 정밀하게 조사해 보았다. 천일염 시료 수집은 전국 11개 주요 생산 지역에서 5월~10월 사이에 6회에 걸쳐 총 44종의 천일염 시료를 직접 채취하였는데,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채취한 천일염 시료 1종은 타일염이고, 장판염은 7곳, 토판염은 3곳에서 수집하였다(Table 1).
  • 본 연구는 생산시기별 국내산 천일염(장판염, 토판염)의 성분 비교와 미생물 오염 실태 조사를 통하여 천일염 품질 관리 기준 마련을 위한 기초 데이터를 생산하기 위해 수행 하였다. 월별 천일염 시료의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 15%이상의 높은 수분함량을 보인 시료도 포함되어 식염규격기준에 부적합하였지만, 불용분의 경우 장판염과 토판염이 별개의 기준을 가지고 있어 모두 현재 기준에 부합하였다.
  • 국산 천일염은 K, Mg 및 Ca 등 무기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고 세계 5대 갯벌 중 하나인 서해안 연안에서만 생산되는 희소가치 자원으로서 재조명하여 고부가가치 식품으로 개발하고자 하는 농림수산식품부의 6대 전통 발효 식품의 명품화 육성 정책추진계획(2009년)에 따라 소비자 인식이 개선되고 소비량도 많이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천일염을 생산함에 있어 품질안정성 확보 및 관리에 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를 생산하는데 연구 목적과 필요성이 있다.
  • 천일염에 대한 보고로는 저장연도에 따른 천일염(7,8), 소금 종류에 따른 품질특성(9,10)에 대한 무기성분, 중금속및 미생물 검사 등 성분 조사를 통한 보고(11,12)가 대부분이었지만 근본적으로 생산방식, 즉 바닥재에 따른 천일염의 품질 특성 차이에 관한 연구가 미비하기 때문에 본 연구는 재배방법 및 생산시기에 따른 천일염의 이화학적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바닥재에 따른 천일염의 구분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장판염은 가소성소재를 이용한 장판을 바닥으로 사용하여 만든 천일염을 말하고 토판염은 갯벌을 단단하게 다져서 만든 바닥 위에서 만든 천일염을 말하며 마지막으로 타일염은 타일이나 옹기 등 바닥재를 사용하여 만든 천일염을 말한다(5). 이들 바닥재에 따른 천일염의 구분이 중요한 이유는 소금 결정이 형성될 때 주성분인 NaCl 뿐만 아니라 다양한 무기성분의 결정속도와 함량이 달라지기 때문이다(6).
천일염 가격 형성, 변동 수준은 어떠한가? 국내 천일염 생산량은 2010년 대한염업조합 자료에 따르면 전국 천일염 생산량 222천 톤이며 이 중 87%인 193천 톤은 남부지역에서 생산하고 있고, 경인지역과 중부지역에서도 일부 생산하고 있다(3). 연도별 생산량뿐만 아니라 가격 형성은 기후나 생산 환경 변화에 따라 차이가 나는데 2010년도의 경우 30 kg 기준으로 최소 6,733원에서 최대 11,267원으로 가격 변동이 매우 컸다. 이와 같은 국내의 불안정한 시장 형성에 대한 해결과 점차 증가하는 있는 수입산 천일염과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국내산 천일염의 품질관리 기준 마련 및 제조법 표준화에 따른 산업화 이용 방안 모색이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다.
장판염, 토판염 그리고 타일염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천일염은 ‘염전에서 해수를 자연 증발시켜 얻은 염화나트륨이 주성분인 결정체와 이를 분쇄, 세척, 탈수 또는 건조한 염’으로 정의되며(4), 천일염은 염전에 사용한 바닥소재에 따라 일반적으로 장판염, 토판염 그리고 타일염으로 구분되어진다. 장판염은 가소성소재를 이용한 장판을 바닥으로 사용하여 만든 천일염을 말하고 토판염은 갯벌을 단단하게 다져서 만든 바닥 위에서 만든 천일염을 말하며 마지막으로 타일염은 타일이나 옹기 등 바닥재를 사용하여 만든 천일염을 말한다(5). 이들 바닥재에 따른 천일염의 구분이 중요한 이유는 소금 결정이 형성될 때 주성분인 NaCl 뿐만 아니라 다양한 무기성분의 결정속도와 함량이 달라지기 때문이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Bea DH (2009) Hazardous contaminants in commercial salts. Safe Food, 4, 14-24 

  2. Yoon HH, Chang HC (2011) Growth inhibitory effect of kimchi prepared with four year-old solar salt and topan solar salt on cancer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935-941 

  3. Korea Salt Manufacture Association (2013) The price changes of salt by year. http://www.ksalt.or.kr 

  4. Korean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1) Food standards codex. Korean foods industry association. 

  5. Na JM, Jin YX, Kim SN, Kim JB, Cho YS, Kim KY, Kim HR, Kim SY (2012) Comparison of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radish by soaking using sun-dried salt and Leuconostoc starter. Korean J Food Preserv, 19, 951-956 

  6. Ha JO, Park KY (1998) Comparison of mineral contents and external structure of various salts. Korean J Food Sci Nutr, 27, 413-418 

  7. Shin TS, Park CK, Lee SH, Han KH (2005) Effects of age on chemical composition in sun-dried sal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312-317 

  8. Seo JH, Kim HJ, Lee SP (2012) Evaluation of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solar salts produced in Korea. Korean J Food Preserv, 19, 554-559 

  9. Lee HM, Lee WK, Jin JH, Kim IC (2013)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microbial analysis of Korean solar salt and flower of salt. J Korean Soc Food Sci Nut, 42, 1115-1124 

  10. Jo EJ, Shin DH (1998) Study on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sun-dried, refined, and processed salt produced in Chonbuk area. J Food Hyg Safety, 13, 360-364 

  11. Lee KD, Park JW, Choi CR, Song HW, Yun SK, Yang HC, Ham KS (2007) Salinity and heavy metal contents of solar salts produced in Jeollanamdo province of Korea. Korean J Food Sci Nutr, 36, 753-758 

  12. Park JW, Kim SJ, Kim SH, Kim BH, Kang SG, Nam SH, Jung ST (2000) Determination of mineral and heavy metal contents of various sal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1442-1445 

  13. Oh YS, Lim SB, Kahng HY (2010) Gaetbulibacter jejuensis sp. nov., isolated from seawater. J Microbiol, 48, 307-311 

  14. SAS (2000) SAS user's guide.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 

  15. Jin YX, Je JH, Lee YH, Kim JH, Cho YS, Kim SY (2011) Comparison of the mineral contents of sun-dried salt depending on wet digestion and dissolution. Korean J Food Preserv, 18, 993-997 

  16. Choi JH (2011) Story of sun-dried salt in Korea. Sigmabooks Co., Seoul, Korea, 77-97 

  17. Na JM, Kang MS, Kim JH, Jin YX, Je JH, Kim JB, Cho YS, Kim JH, Kim SY (2011) Distribution and identification of halophilic bacteria in solar salts produced during entire manufacturing process. Korean J Microbiol Biotechonol, 39, 133-139 

  18. Lee HM, Lee WK, Jin JH, Kim IC (2013)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microbial analysis of Korean solar salt and flower of salt. Korean J Food Sci Nutr, 42, 1115-112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